수정 전 잔액시산표의 차변 합계액은 ₩1,000,000이다. 보험료 미경과액 ₩30,000과 이자수익 미수액 ₩20,000을 계상한 후의 수정 후 잔액시산표 차변 합계액은 얼마인가?
1.
₩970,000
2.
₩990,000
3.
₩1,020,000
4.
₩1,050,000
정답 : [
3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기존 보험료 계상 10만원이라고 가정하고 미경과액 30,000원을 반영하더라도 시산표상 금액의 변화는 없다. 보험료 100,000원 중 30,000원이 차감되지만 그에 상응하는 선급비용 30,000원이 추가되기 때문이다. -기존 : (차) 보험료 100,000 (대) 현 금 100,000 -수정 : (차) 선급비용 30,000 (대) 보험료 30,000 그러나 이자 수익 미수액은 기존에 없던 것이 기말결산정리사항으로 추가되어 해당 금액만큼 잔액시산표의 차변 합계액은 증가 한다. * 수정 : (차) 미수수익 20,000 (대) 이자수익 20,000 따라서 수정후 잔액시산표 합계액 : 1,000,000(수정 전) + 20,000(미수수익) = 1,020,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음은 (주)상공기업의 약속어음 할인과 관련된 거래이다. 이에 대한 분개로 옳은 것은? (단, 회계 처리는 매각거래로 한다.) 1개월 전에 (주)대한기업으로부터 받은 약속어음 ₩1,000,000(만기 3개월)을 은행에서 할인받고 할인료 ₩20,000을 차감한 잔액은 당좌예금하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매각거래여서 처분손실이 와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다음은 (주)상공기업의 받을어음 계정이다. 기중 받을어음 대금 회수액은 얼마인가?
1.
₩400,000
2.
₩450,000
3.
₩500,000
4.
₩600,000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회수액에 해당하는 당좌예금, 외상매입금 중 실질적인 회수액은 당좌예금 500,000원이다. [해설작성자 : 7]
18.
다음은 (주)상공의 거래이다. 이에 대한 회계처리의 결과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동자산이 감소
2.
부채가 감소
3.
이익잉여금이 감소
4.
판매비와 관리비가 증가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장기차입금(부채) 만기일 도래 현금지급 10,000,000 ->금융부채의 감소 차입금(부채)에 대한 이자비용(영업외비용) 발생 500,000 ->영업외비용(금융비용) 증가 현금(유동자산)으로 차입금+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 전액 지급 10,500,000 ->유동자산 감소 자산이 감소하면 자본(이익잉여금)도 감소 판매비와 관리비는 발생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틀렸다면 알려주세오..ㅎ)]
19.
다음은 (주)상공의 기계장치와 (주)서울의 건물과의 교환 내역 이다. 이 거래와 관련하여 (주)상공의 유형자산처분손실 금액으로 옳은 것은? (단, (주)상공은 공정가치의 차액 \10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1.
\100,000
2.
\200,000
3.
\300,000
4.
\400,000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는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이다(예외적으로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가 불분명할 때 취득한 자산의 공정가치를 취득원가로 할 수 있다). 현금 수수액도 취득원가에 반영한다.
차) 감가상각누계액 800,000 (대) 기계장치 2,000,000 건물 1,100,000 현금 100,000 유형자산처분손실 200,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2017년 7월초에 (주)상공은 자사가 발행한 사채(자기사채)를 취득시점까지의 발생이자를 포함하여 ₩950,000에 취득하였다. 동사채의 액면금액은 ₩1,000,000이고 액면이자율은 연 7%이며 이자는 매년 말에 지급한다. 한편, 동 사채의 발행 시 유효이자율은연 10%이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고 있는 동 사채에 대한 (주) 상공의 2017년 6월말의 장부금액이 ₩930,000이라면, 2017년 7월 초에 자기사채의 취득과 관련하여 인식할 사채상환손익은 얼마인가? 결산일은 12월 31일이다. (단, 이자는 월수로 계산한다.)
<문제 해설> 1번 100,000원 만큼의 제품이 완성되었고 재공품이 감소됨. 판매를 한것이 아니기 때문에 매출원가 계정x [해설작성자 : 파카사랑해]
24.
원가는 발생시점에 따라 역사적 원가와 예정원가로 분류한다. 다음 중 옳은 것은?
1.
역사적 원가가 예정원가보다 원가관리에 있어 더 적시성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2.
역사적 원가와 예정원가는 발생시점에 따라 구분되지만, 두 원가는 특정한 회계시스템 내에 동시에 존재하기도 한다.
3.
예정원가는 과거에 발생한 사건에 근거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객관적이며 검증가능하다.
4.
역사적 원가는 특정 사상이 발생하기 전에 분석과 예측을 통하여 결정되는 원가로서, 이미 발생한 사건이 아니라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건에 의해 결정되는 원가 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 예정원가 3. 역사적원가 4. 예정원가
역사적 원가 = 취득 원가 [해설작성자 : 회계공부하새우]
25.
(주)상공의 20X1년 부문별 제조원가예산은 아래와 같다. 20X1년 결산시점 작업지시서 #7000 에 집계된 원가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제조간접원가를 공장전체배부율로 배부한다면 #7000의 총제조원가는 얼마인가? (단, (주)상공은 직접노무원가를 기준으로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하고 있다.)
(주)상공은 20X1년 다음과 같이 작업지시서 #1052에 원가가 집계되었다. 작업지시서#1052직접재료비₩11,000직접노무비₩4,000제조간접비₩6,000₩21,000 제조과정에서 작업지시서 #1052 와 관련하여 품질불량으로 인하여 재작업원가(직접재료비 ₩500, 직접노무비 ₩2,000)가 투입되었던 것을 알게 되었다. 작업 #1052의 총제조원가는 얼마인가? (단, 회사는 제조간접비를 직접노무비의 150%를 배부한다.)
수정 전 잔액시산표의 차변 합계액은 ₩1,000,000이다. 보험료 미경과액 ₩30,000과 이자수익 미수액 ₩20,000을 계상한 후의 수정 후 잔액시산표 차변 합계액은 얼마인가?
1.
₩970,000
2.
₩990,000
3.
₩1,020,000
4.
₩1,050,000
정답 : [
3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기존 보험료 계상 10만원이라고 가정하고 미경과액 30,000원을 반영하더라도 시산표상 금액의 변화는 없다. 보험료 100,000원 중 30,000원이 차감되지만 그에 상응하는 선급비용 30,000원이 추가되기 때문이다. -기존 : (차) 보험료 100,000 (대) 현 금 100,000 -수정 : (차) 선급비용 30,000 (대) 보험료 30,000 그러나 이자 수익 미수액은 기존에 없던 것이 기말결산정리사항으로 추가되어 해당 금액만큼 잔액시산표의 차변 합계액은 증가 한다. * 수정 : (차) 미수수익 20,000 (대) 이자수익 20,000 따라서 수정후 잔액시산표 합계액 : 1,000,000(수정 전) + 20,000(미수수익) = 1,020,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음은 (주)상공기업의 약속어음 할인과 관련된 거래이다. 이에 대한 분개로 옳은 것은? (단, 회계 처리는 매각거래로 한다.) 1개월 전에 (주)대한기업으로부터 받은 약속어음 ₩1,000,000(만기 3개월)을 은행에서 할인받고 할인료 ₩20,000을 차감한 잔액은 당좌예금하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매각거래여서 처분손실이 와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다음은 (주)상공기업의 받을어음 계정이다. 기중 받을어음 대금 회수액은 얼마인가?
1.
₩400,000
2.
₩450,000
3.
₩500,000
4.
₩600,000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회수액에 해당하는 당좌예금, 외상매입금 중 실질적인 회수액은 당좌예금 500,000원이다. [해설작성자 : 7]
18.
다음은 (주)상공의 거래이다. 이에 대한 회계처리의 결과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동자산이 감소
2.
부채가 감소
3.
이익잉여금이 감소
4.
판매비와 관리비가 증가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장기차입금(부채) 만기일 도래 현금지급 10,000,000 ->금융부채의 감소 차입금(부채)에 대한 이자비용(영업외비용) 발생 500,000 ->영업외비용(금융비용) 증가 현금(유동자산)으로 차입금+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 전액 지급 10,500,000 ->유동자산 감소 자산이 감소하면 자본(이익잉여금)도 감소 판매비와 관리비는 발생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틀렸다면 알려주세오..ㅎ)]
19.
다음은 (주)상공의 기계장치와 (주)서울의 건물과의 교환 내역 이다. 이 거래와 관련하여 (주)상공의 유형자산처분손실 금액으로 옳은 것은? (단, (주)상공은 공정가치의 차액 \10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1.
\100,000
2.
\200,000
3.
\300,000
4.
\400,000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는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이다(예외적으로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가 불분명할 때 취득한 자산의 공정가치를 취득원가로 할 수 있다). 현금 수수액도 취득원가에 반영한다.
차) 감가상각누계액 800,000 (대) 기계장치 2,000,000 건물 1,100,000 현금 100,000 유형자산처분손실 200,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2017년 7월초에 (주)상공은 자사가 발행한 사채(자기사채)를 취득시점까지의 발생이자를 포함하여 ₩950,000에 취득하였다. 동사채의 액면금액은 ₩1,000,000이고 액면이자율은 연 7%이며 이자는 매년 말에 지급한다. 한편, 동 사채의 발행 시 유효이자율은연 10%이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고 있는 동 사채에 대한 (주) 상공의 2017년 6월말의 장부금액이 ₩930,000이라면, 2017년 7월 초에 자기사채의 취득과 관련하여 인식할 사채상환손익은 얼마인가? 결산일은 12월 31일이다. (단, 이자는 월수로 계산한다.)
<문제 해설> 1번 100,000원 만큼의 제품이 완성되었고 재공품이 감소됨. 판매를 한것이 아니기 때문에 매출원가 계정x [해설작성자 : 파카사랑해]
24.
원가는 발생시점에 따라 역사적 원가와 예정원가로 분류한다. 다음 중 옳은 것은?
1.
역사적 원가가 예정원가보다 원가관리에 있어 더 적시성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2.
역사적 원가와 예정원가는 발생시점에 따라 구분되지만, 두 원가는 특정한 회계시스템 내에 동시에 존재하기도 한다.
3.
예정원가는 과거에 발생한 사건에 근거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객관적이며 검증가능하다.
4.
역사적 원가는 특정 사상이 발생하기 전에 분석과 예측을 통하여 결정되는 원가로서, 이미 발생한 사건이 아니라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건에 의해 결정되는 원가 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 예정원가 3. 역사적원가 4. 예정원가
역사적 원가 = 취득 원가 [해설작성자 : 회계공부하새우]
25.
(주)상공의 20X1년 부문별 제조원가예산은 아래와 같다. 20X1년 결산시점 작업지시서 #7000 에 집계된 원가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제조간접원가를 공장전체배부율로 배부한다면 #7000의 총제조원가는 얼마인가? (단, (주)상공은 직접노무원가를 기준으로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하고 있다.)
(주)상공은 20X1년 다음과 같이 작업지시서 #1052에 원가가 집계되었다. 작업지시서#1052직접재료비₩11,000직접노무비₩4,000제조간접비₩6,000₩21,000 제조과정에서 작업지시서 #1052 와 관련하여 품질불량으로 인하여 재작업원가(직접재료비 ₩500, 직접노무비 ₩2,000)가 투입되었던 것을 알게 되었다. 작업 #1052의 총제조원가는 얼마인가? (단, 회사는 제조간접비를 직접노무비의 150%를 배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