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기말 현재 수정 전 매출채권은 ₩350,000이고 대손충당금잔액은 ₩5,000이다. 기말 현재 대손추정액은 ₩6,000으로 산출 되었다. 기말 수정분개시 대손상각비를 얼마로 계상하여야 할 것인가? 또한 수정사항 반영 후의 재무상태표에 표시될 매출채권의 장부금액(순액)은 얼마인가?
1. 6월 중 외상매출 총액 = 370,000(○○상점 6/11 매출) + 60,000(○○상점 6/25 매출) + 300,000(△△상점 6/25 매출) + 400,000(△△상점 6/25 매출) = 1,130,000 2. 6월 중 외상매출금 회수액 = 340,000(○○상점 6/24 현금) + 250,000(△△상점 6/17 현금) + 330,000(△△상점 6/29 당좌예금) = 920,000 3. 6월 말 외상매출금 미회수액 = 70,000(○○상점 6/30 차월이월) + 80,000(△△상점 6/30 차월이월) = 150,000 4. 6월 중 매출환입 및 매출에누리액 = 50,000(○○상점 6/13 매출) + 60,000(△△상점 6/24 매출) = 110,000
[해설작성자 : 회계공부하새우]
12.
(주)상공은 제조업 및 도소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다음 중 선급금으로 회계 처리할 수 없는 것은?
1.
미리 지급한 상품 대금의 일부 금액
2.
건물 신축을 위해 지급한 계약금
3.
제품의 외주가공처에 미리 지급한 가공비
4.
원재료를 구입하고 계약금으로 지급한 금액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건물을 살때 드는 부대비용은 건물의 취득원가에 포함시킴, 선급금은 상품이나 재료를 매입할때 먼저 지급한 계약금임 [해설작성자 : 성응이천재]
13.
(주)상공은 사용 중이던 기계장치(취득금액 ₩5,000,000, 감가상각누계액 ₩1,500,000)를 새로운 기계장치와 교환하면서 현금 ₩1,000,000을 지급하였다. 새 기계장치의 공정가치가 ₩5,000,000일 때, 다음 중 기계장치 교환 분개로 옳은 것은? (단, 동 교환거래는 상업적 실질이 없다고 가정한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동종 자산 교환은 교환한 자신의 자산금액만 알면 된다. 1.상공이 가지고 있는 기계장치 취득 금액은 대변에 위치하면 되고 감가 상각금액은 차변에 먼저 위치하도록 하자 차 감가상각누계액 1,500,000 /대 기게장치 5,000,000 2.감가상각한 누계액을 뺀 기계장치를 차변에 두고 나오는 차금은 유형자산처분ㅇㅇ으로 처리하면 원래 동종자산 교환은 끝이 난다. 근데 1,000,000 현금을 지급했다고 하니 더 해야한다. 3. 이 현금은 감가상각한 기계장치에 +를 해야한다.(나도 이해는 조금 안된다. 근데 하라고 하니 해보자 ) 그래서 답은 차변 기계장치 4,500,000(감가상각한 기계장치 3,500,000 + 현금 1,000,000) 차변 감가상각누계액 1,500,000 대변 기계장치 5,000,000 대변 현금 1,000,000
정답은 1번이다. [해설작성자 : 오늘 시험인데 해설이 없어서 내가 씀]
14.
다음은 (주)상공기업의 토지 취득과 관련된 거래이다. 토지의 취득원가는 얼마인가?
1.
₩10,000,000
2.
₩10,500,000
3.
₩10,700,000
4.
₩11,200,000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토지 취득시 관련된 거래들에서 발생했으므로 10,000,000 + 500,000 + 700,000 = 11,200,000원임 (취득세와 중개수수료는 모두 토지 취득시 관련된 거래들임) [해설작성자 : 파카]
15.
다음 중 무형자산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한정내용연수를 가진 무형자산은 상각한다.
2.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는 자산이다.
3.
무형자산은 물리적인 실체가 없다.
4.
무형자산은 특성상 미래경제적 효익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한정내용연수를 가진 무형자산만 상각 가능함 [해설작성자 : 파카]
16.
다음 중 금융부채에 해당하는 것은?
1.
다른 기업의 지분상품
2.
거래상대방으로부터 현금 등 금융자산을 수취할 계약상 권리
3.
거래상대방에게 현금 등 금융자산을 인도하기로 한 계약상 의무
4.
자기지분상품을 미래에 수취하거나 인도하기 위한 계약인 금융상품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부채는 받을 권리를 뜻한다. 1번은 상품이니 자산 2번은 수취는 받을 권리니 자산 4번은 수취는 받을 권리니 자산
회사는 100명의 종업원에게 1년에 5일의 근무일수에 해당하는 유급휴가를 제공하고 있으며, 미사용유급휴가는 다음 1년 동안 이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급휴가의 사용에 관해서는 당기에 부여된 권리가 먼저 사용된 후에 전기에서 이월된 권리가 사용되는 것으로 본다.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서 2018년 12월 31일 현재 추정한 결과 2019년도 중에 종업원 90명이 사용할 유급휴가일수는 5일 이하, 나머지 10명이 사용할 유급휴가일수는 평균 7일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회사의 2018년 말 유급휴가와 관련된 회계처리에서 부채로 인식할 금액은 얼마인가? (단, 유급휴가 1일당 지급할 급여는 ₩100,000이라고 가정한다.)
문제에서 물어보는건 x8년도 유급휴가 비용이다. (당기껄 먼저 쓰고 전기꺼를 쓰라고 하는데 휴가가 5일이하니 전기랑 연관없다고 보면 된다) 90명은 x9년도 휴가를 쓸거니까 제외하고 10명만이 7일 휴가를 쓴다고 본다 문제에서 당기꺼를 먼저 쓰라고 하니 5일은 당기꺼를 쓴다고 보면 2일만 전기꺼를 쓴다고 볼수있다 10명*2일*100,000 = 2,000,000이라고 보면 된다. [해설작성자 : 해설쓰면서 나도 외워야지]
21.
다음 중 경영자가 조직의 희소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계획수립, 집행, 감독, 통제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회계분야는?
1.
회계원리
2.
세무회계
3.
관리회계
4.
재무회계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경영계획을 수립, 통제한다거나 특수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계는 관리회계! [해설작성자 : 프로 N수생]
22.
다음은 (주)상공의 12월 원가자료와 12월 거래내용이다. 이를 토대로 (주)상공의 매출원가를 구하면 얼마인가?
생산부문에서 발생한 원가를 생산 지원(보조)부문에 배부한 후 최종적으로 제품에 배부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부문별 원가계산이라고 한다.
2.
생산부문에서는 부품생산, 조립, 가공처리 등을 수행하면서 제품생산에 직접관여 한다.
3.
지원(보조)부문에서는 재료의 보관, 생산설비 점검과 보수, 시설관리와 청소, 경비 등을 담당한다.
4.
제조간접비를 보다 더 정확하게 배부하기 위해 부문별 원가의 발생과 흐름을 추적하는 것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번 생산에서 보조가 아니라 보조에서 생산이다. 그래서 옳지않다. [해설작성자 : 해설쓰면서 나도 외워야지]
25.
(주)상공은 개별원가계산으로 원가계산을 하며 제조간접원가는 직접노무원가 기준으로 배부한다. 당기에 착수하여 완성된 #1001 작업별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상공의 #1001에 집계된 총제조원가는 얼마인가?
1.
₩93,000
2.
₩142,500
3.
₩148,000
4.
₩180,500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총 제조원가 : 직접원가(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 + 간접원가(제조간접비) 1.배부율: 제조간접비/배부기준의 총액 2.배부액: 특정 제품 배부기준 * 배부율 우선 제조간접비를 구해야 하는데 배부율이 이미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부문의 노무원가비 40,000원 * 2 = 80,000 포장부문 15,000*0.5=7,500 이다. 이제 총 제조원가를 구하면 30,000 + 40,000+80,000 =150,000 8,000+15,000+7,500=30,500 150,000+30,500=180,500 [해설작성자 : 성은이천재]
26.
다음 중 보조부문비를 배분하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문 상호간에 원가통제를 위해
2.
제조직접비를 각 부문별로 집계하기 위해
3.
외부보고를 위한 재고자산 및 이익 측정을 위해
4.
경제적 의사결정을 위한 최적의 자원 배분을 위해
정답 : [
2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2번 제조직접비는 집계할 필요가 없다. 제조간접비가 들어가야한다. [해설작성자 : 해설쓰면서 나도 외워야지]
27.
(주)대한은 제조간접비를 직접노동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하고 있다. 다음 자료에 의하여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율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따라서 당월제품제조원가는 2,500x140+2,500x120 = 650,000 입니다. [해설작성자 : 할뚜있따]
34.
(주)대한은 종합원가계산제도를 택하고 있다. 원재료는 공정의 초기에 모두 투입되고, 가공원가는 공정의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재료원가의 경우 선입선출법에 의해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면 80,000단위이고 평균법에 의해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면 100,000단위이다. 가공원가의 경우 선입선출법에 의해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면 62,000단위이고 평균법에 의해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면 70,000단위이다. 이 경우 (주)대한의 기초재공품의 완성도는 얼마인가?
(주)대한은 단일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원재료는 공정의 초기에 모두 투입되며, 가공비는 공정의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8월 생산자료는 기초재공품 1,000단위(완성도 60%), 당기착수량 12,000단위, 당기완성수량 11,000단위, 그리고 기말재공품 2,000단위(완성도 40%)이다. 선입선출법에 의한 가공비완성품 환산량은 얼마인가?
회계기말 현재 수정 전 매출채권은 ₩350,000이고 대손충당금잔액은 ₩5,000이다. 기말 현재 대손추정액은 ₩6,000으로 산출 되었다. 기말 수정분개시 대손상각비를 얼마로 계상하여야 할 것인가? 또한 수정사항 반영 후의 재무상태표에 표시될 매출채권의 장부금액(순액)은 얼마인가?
1. 6월 중 외상매출 총액 = 370,000(○○상점 6/11 매출) + 60,000(○○상점 6/25 매출) + 300,000(△△상점 6/25 매출) + 400,000(△△상점 6/25 매출) = 1,130,000 2. 6월 중 외상매출금 회수액 = 340,000(○○상점 6/24 현금) + 250,000(△△상점 6/17 현금) + 330,000(△△상점 6/29 당좌예금) = 920,000 3. 6월 말 외상매출금 미회수액 = 70,000(○○상점 6/30 차월이월) + 80,000(△△상점 6/30 차월이월) = 150,000 4. 6월 중 매출환입 및 매출에누리액 = 50,000(○○상점 6/13 매출) + 60,000(△△상점 6/24 매출) = 110,000
[해설작성자 : 회계공부하새우]
12.
(주)상공은 제조업 및 도소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다음 중 선급금으로 회계 처리할 수 없는 것은?
1.
미리 지급한 상품 대금의 일부 금액
2.
건물 신축을 위해 지급한 계약금
3.
제품의 외주가공처에 미리 지급한 가공비
4.
원재료를 구입하고 계약금으로 지급한 금액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건물을 살때 드는 부대비용은 건물의 취득원가에 포함시킴, 선급금은 상품이나 재료를 매입할때 먼저 지급한 계약금임 [해설작성자 : 성응이천재]
13.
(주)상공은 사용 중이던 기계장치(취득금액 ₩5,000,000, 감가상각누계액 ₩1,500,000)를 새로운 기계장치와 교환하면서 현금 ₩1,000,000을 지급하였다. 새 기계장치의 공정가치가 ₩5,000,000일 때, 다음 중 기계장치 교환 분개로 옳은 것은? (단, 동 교환거래는 상업적 실질이 없다고 가정한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동종 자산 교환은 교환한 자신의 자산금액만 알면 된다. 1.상공이 가지고 있는 기계장치 취득 금액은 대변에 위치하면 되고 감가 상각금액은 차변에 먼저 위치하도록 하자 차 감가상각누계액 1,500,000 /대 기게장치 5,000,000 2.감가상각한 누계액을 뺀 기계장치를 차변에 두고 나오는 차금은 유형자산처분ㅇㅇ으로 처리하면 원래 동종자산 교환은 끝이 난다. 근데 1,000,000 현금을 지급했다고 하니 더 해야한다. 3. 이 현금은 감가상각한 기계장치에 +를 해야한다.(나도 이해는 조금 안된다. 근데 하라고 하니 해보자 ) 그래서 답은 차변 기계장치 4,500,000(감가상각한 기계장치 3,500,000 + 현금 1,000,000) 차변 감가상각누계액 1,500,000 대변 기계장치 5,000,000 대변 현금 1,000,000
정답은 1번이다. [해설작성자 : 오늘 시험인데 해설이 없어서 내가 씀]
14.
다음은 (주)상공기업의 토지 취득과 관련된 거래이다. 토지의 취득원가는 얼마인가?
1.
₩10,000,000
2.
₩10,500,000
3.
₩10,700,000
4.
₩11,200,000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토지 취득시 관련된 거래들에서 발생했으므로 10,000,000 + 500,000 + 700,000 = 11,200,000원임 (취득세와 중개수수료는 모두 토지 취득시 관련된 거래들임) [해설작성자 : 파카]
15.
다음 중 무형자산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한정내용연수를 가진 무형자산은 상각한다.
2.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는 자산이다.
3.
무형자산은 물리적인 실체가 없다.
4.
무형자산은 특성상 미래경제적 효익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한정내용연수를 가진 무형자산만 상각 가능함 [해설작성자 : 파카]
16.
다음 중 금융부채에 해당하는 것은?
1.
다른 기업의 지분상품
2.
거래상대방으로부터 현금 등 금융자산을 수취할 계약상 권리
3.
거래상대방에게 현금 등 금융자산을 인도하기로 한 계약상 의무
4.
자기지분상품을 미래에 수취하거나 인도하기 위한 계약인 금융상품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부채는 받을 권리를 뜻한다. 1번은 상품이니 자산 2번은 수취는 받을 권리니 자산 4번은 수취는 받을 권리니 자산
회사는 100명의 종업원에게 1년에 5일의 근무일수에 해당하는 유급휴가를 제공하고 있으며, 미사용유급휴가는 다음 1년 동안 이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급휴가의 사용에 관해서는 당기에 부여된 권리가 먼저 사용된 후에 전기에서 이월된 권리가 사용되는 것으로 본다.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서 2018년 12월 31일 현재 추정한 결과 2019년도 중에 종업원 90명이 사용할 유급휴가일수는 5일 이하, 나머지 10명이 사용할 유급휴가일수는 평균 7일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회사의 2018년 말 유급휴가와 관련된 회계처리에서 부채로 인식할 금액은 얼마인가? (단, 유급휴가 1일당 지급할 급여는 ₩100,000이라고 가정한다.)
문제에서 물어보는건 x8년도 유급휴가 비용이다. (당기껄 먼저 쓰고 전기꺼를 쓰라고 하는데 휴가가 5일이하니 전기랑 연관없다고 보면 된다) 90명은 x9년도 휴가를 쓸거니까 제외하고 10명만이 7일 휴가를 쓴다고 본다 문제에서 당기꺼를 먼저 쓰라고 하니 5일은 당기꺼를 쓴다고 보면 2일만 전기꺼를 쓴다고 볼수있다 10명*2일*100,000 = 2,000,000이라고 보면 된다. [해설작성자 : 해설쓰면서 나도 외워야지]
21.
다음 중 경영자가 조직의 희소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계획수립, 집행, 감독, 통제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회계분야는?
1.
회계원리
2.
세무회계
3.
관리회계
4.
재무회계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경영계획을 수립, 통제한다거나 특수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계는 관리회계! [해설작성자 : 프로 N수생]
22.
다음은 (주)상공의 12월 원가자료와 12월 거래내용이다. 이를 토대로 (주)상공의 매출원가를 구하면 얼마인가?
생산부문에서 발생한 원가를 생산 지원(보조)부문에 배부한 후 최종적으로 제품에 배부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부문별 원가계산이라고 한다.
2.
생산부문에서는 부품생산, 조립, 가공처리 등을 수행하면서 제품생산에 직접관여 한다.
3.
지원(보조)부문에서는 재료의 보관, 생산설비 점검과 보수, 시설관리와 청소, 경비 등을 담당한다.
4.
제조간접비를 보다 더 정확하게 배부하기 위해 부문별 원가의 발생과 흐름을 추적하는 것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번 생산에서 보조가 아니라 보조에서 생산이다. 그래서 옳지않다. [해설작성자 : 해설쓰면서 나도 외워야지]
25.
(주)상공은 개별원가계산으로 원가계산을 하며 제조간접원가는 직접노무원가 기준으로 배부한다. 당기에 착수하여 완성된 #1001 작업별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상공의 #1001에 집계된 총제조원가는 얼마인가?
1.
₩93,000
2.
₩142,500
3.
₩148,000
4.
₩180,500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총 제조원가 : 직접원가(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 + 간접원가(제조간접비) 1.배부율: 제조간접비/배부기준의 총액 2.배부액: 특정 제품 배부기준 * 배부율 우선 제조간접비를 구해야 하는데 배부율이 이미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부문의 노무원가비 40,000원 * 2 = 80,000 포장부문 15,000*0.5=7,500 이다. 이제 총 제조원가를 구하면 30,000 + 40,000+80,000 =150,000 8,000+15,000+7,500=30,500 150,000+30,500=180,500 [해설작성자 : 성은이천재]
26.
다음 중 보조부문비를 배분하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문 상호간에 원가통제를 위해
2.
제조직접비를 각 부문별로 집계하기 위해
3.
외부보고를 위한 재고자산 및 이익 측정을 위해
4.
경제적 의사결정을 위한 최적의 자원 배분을 위해
정답 : [
2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2번 제조직접비는 집계할 필요가 없다. 제조간접비가 들어가야한다. [해설작성자 : 해설쓰면서 나도 외워야지]
27.
(주)대한은 제조간접비를 직접노동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하고 있다. 다음 자료에 의하여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율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따라서 당월제품제조원가는 2,500x140+2,500x120 = 650,000 입니다. [해설작성자 : 할뚜있따]
34.
(주)대한은 종합원가계산제도를 택하고 있다. 원재료는 공정의 초기에 모두 투입되고, 가공원가는 공정의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재료원가의 경우 선입선출법에 의해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면 80,000단위이고 평균법에 의해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면 100,000단위이다. 가공원가의 경우 선입선출법에 의해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면 62,000단위이고 평균법에 의해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면 70,000단위이다. 이 경우 (주)대한의 기초재공품의 완성도는 얼마인가?
(주)대한은 단일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원재료는 공정의 초기에 모두 투입되며, 가공비는 공정의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8월 생산자료는 기초재공품 1,000단위(완성도 60%), 당기착수량 12,000단위, 당기완성수량 11,000단위, 그리고 기말재공품 2,000단위(완성도 40%)이다. 선입선출법에 의한 가공비완성품 환산량은 얼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