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마감후시산표라고도 한다. 영미식(英美式) 결산에서 쓰는 용어로, 기업은 회계연도 말에 장부를 마감하고 기업의 재무상태와 회계기간 동안에 발생한 수익과 비용을 비교하여 순손익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결산을 한다.
이 과정에서 원장을 마감하여 모든 결산분개(決算分介)와 전기(轉記)가 끝난 후 원장의 자산·부채·자본에 속하는 모든 계정을 하나의 표에 집계하여 대차평균(貸借平均)이 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이월시산표 - 작성목적은 차기로 이월된 항구적 계정잔액이 일치하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며, 대차평균의 원리를 적용하여 계산상의 오류를 검증하고 재무제표의 자료인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는데 기초 자료가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월시산표 [Post Closing Trial Balance, 移越試算表]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중이]
자산, 부채, 자본 만 씀 [해설작성자 : 화이팅!!]
3.
다음 중 시산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성 시기에 따라 합계, 잔액, 합계잔액 시산표로 분류할 수 있다.
2.
분개내용의 정확성을 검증할 수 있다.
3.
시산표를 통해 모든 오류를 검증 할 수 있다.
4.
총계정원장에의 전기가 정확한가를 파악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4번 총계정원장"에의" 둘 중 하나만 쓰면 된다.
4.
다음 거래를 전표에 기표할 때 전표의 종류와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 (단, 상품매매는 3분법, 전표제도는 3전표제에 의한다.)
기업의 재무성과정보를 통해서 기업이 현재의 자원으로부터 현금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4번은 현금흐름표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포괄손익계산서(기능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순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매출총이익을 계산한다.
2.
일정기간에 기업의 재무성과를 나타내는 회계 보고서이다.
3.
총포괄손익은 당기순손익과 기타포괄손익의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4.
보험료, 감가상각비, 세금과공과, 이자비용 등은 관리비로 분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이자비용은 영업외비용으로 분류한다. [해설작성자 : 나다]
7.
다음 자료에 의하여 포괄손익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제시된 자료 외에 법인세 비용 등은 고려하지 말 것)
1.
포괄손실 ₩11,000
2.
포괄이익 ₩12,500
3.
포괄이익 ₩14,000
4.
포괄손실 ₩12,500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포괄손익계산서는 [수익,비용,순속익]을 파악하는겁니다. 비용은 종업원급여,이자비용,기부금,임차료,보험료로 [비용 총 합계 37,500원] 수익은 매출총이익,유형자산처분이익,해외사업환산이익으로 [수익 총 합계 50,000원]
50,000원 - 37,500원 = 12,500원 입니다. [해설작성자 : 박선영]
8.
다음은 유동자산으로 분류되는 내용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주로 단기매매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다.
2.
영업주기내에 결제해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3.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한다.
4.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으로서, 교환이나 부채 상환 목적으로의 사용에 대한 제한 기간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번은 유동 부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 거래의 분개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현금과부족 계정 20,000원 중 9,000원은 임차료 계정을 오기 -장부액보다 실재액이 9,000원 더 많음 2. 나머지 11,000원은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음 즉, 현금과부족 20,000원 중 9000원은 원인을 알고 11,000은 원인을 모름 3. 장부액이 실재액 보다 작을경우 분개 =>현금9,000/현금과부족9,000 =>현금과부족9.000/임차료9,000 4. 11,000원이 잡이익임을 알수 있는 이유는 문제 박스안 지문에서 '결산시 현금과부족 계정 대변잔액'을 보고 '현금xxx/현금과부족xxx로 분개'했음을 알수 있기때문임 만일 장부가액이 실재가액보다 많다면 그때 분개는 현금과부족xxx/현금xxx로 나오고 결산 시 원인,잡이익(손실)xxx/현금과계정xxx 로 나옴
*현금과부족 계정은 임시계정으로 결산시 반드시 없애야 함으로 분개시에는 위처럼 <현금xxx/현금과부족xxx>이렇게 나왔지만 결산할때는 현금과부족 계정을 없애고 원인을 안다면 그 원인으로 계정을 만일 원인을 모른다면 잡손실 or 잡이익으로 계정을 바꿔줘야함 [해설작성자 : 인어가잠든밤에]
10.
다음 거래의 분개로 옳은 것은? (단, 정액자금선급법을 사용한다.)
1.
(차) 선급금 200,000 (대) 당좌예금 200,000
2.
(차) 선수금 200,000 (대) 소액현금 200,000
3.
(차) 가지급금 200,000 (대) 당좌수표 200,000
4.
(차) 소액현금 200,000 (대) 당좌예금 200,000
정답 : [
4
] 정답률 : 50%
11.
시장성이 있는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은 20X1년 12월 중에 취득하였다.)
1.
20X1년 말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평가이익은 ₩500,000이다.
2.
20X2년 말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평가손실은 ₩300,000이다.
3.
20X1년 말 재무상태표에 반영될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의 금액은 ₩2,000,000이다.
4.
20X2년 말 재무상태표에 반영될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의 금액은 ₩2,200,000이다
<문제 해설> 마감후시산표라고도 한다. 영미식(英美式) 결산에서 쓰는 용어로, 기업은 회계연도 말에 장부를 마감하고 기업의 재무상태와 회계기간 동안에 발생한 수익과 비용을 비교하여 순손익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결산을 한다.
이 과정에서 원장을 마감하여 모든 결산분개(決算分介)와 전기(轉記)가 끝난 후 원장의 자산·부채·자본에 속하는 모든 계정을 하나의 표에 집계하여 대차평균(貸借平均)이 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이월시산표 - 작성목적은 차기로 이월된 항구적 계정잔액이 일치하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며, 대차평균의 원리를 적용하여 계산상의 오류를 검증하고 재무제표의 자료인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는데 기초 자료가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월시산표 [Post Closing Trial Balance, 移越試算表]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중이]
자산, 부채, 자본 만 씀 [해설작성자 : 화이팅!!]
3.
다음 중 시산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성 시기에 따라 합계, 잔액, 합계잔액 시산표로 분류할 수 있다.
2.
분개내용의 정확성을 검증할 수 있다.
3.
시산표를 통해 모든 오류를 검증 할 수 있다.
4.
총계정원장에의 전기가 정확한가를 파악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4번 총계정원장"에의" 둘 중 하나만 쓰면 된다.
4.
다음 거래를 전표에 기표할 때 전표의 종류와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 (단, 상품매매는 3분법, 전표제도는 3전표제에 의한다.)
기업의 재무성과정보를 통해서 기업이 현재의 자원으로부터 현금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4번은 현금흐름표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포괄손익계산서(기능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순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매출총이익을 계산한다.
2.
일정기간에 기업의 재무성과를 나타내는 회계 보고서이다.
3.
총포괄손익은 당기순손익과 기타포괄손익의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4.
보험료, 감가상각비, 세금과공과, 이자비용 등은 관리비로 분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이자비용은 영업외비용으로 분류한다. [해설작성자 : 나다]
7.
다음 자료에 의하여 포괄손익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제시된 자료 외에 법인세 비용 등은 고려하지 말 것)
1.
포괄손실 ₩11,000
2.
포괄이익 ₩12,500
3.
포괄이익 ₩14,000
4.
포괄손실 ₩12,500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포괄손익계산서는 [수익,비용,순속익]을 파악하는겁니다. 비용은 종업원급여,이자비용,기부금,임차료,보험료로 [비용 총 합계 37,500원] 수익은 매출총이익,유형자산처분이익,해외사업환산이익으로 [수익 총 합계 50,000원]
50,000원 - 37,500원 = 12,500원 입니다. [해설작성자 : 박선영]
8.
다음은 유동자산으로 분류되는 내용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주로 단기매매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다.
2.
영업주기내에 결제해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3.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한다.
4.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으로서, 교환이나 부채 상환 목적으로의 사용에 대한 제한 기간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번은 유동 부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 거래의 분개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현금과부족 계정 20,000원 중 9,000원은 임차료 계정을 오기 -장부액보다 실재액이 9,000원 더 많음 2. 나머지 11,000원은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음 즉, 현금과부족 20,000원 중 9000원은 원인을 알고 11,000은 원인을 모름 3. 장부액이 실재액 보다 작을경우 분개 =>현금9,000/현금과부족9,000 =>현금과부족9.000/임차료9,000 4. 11,000원이 잡이익임을 알수 있는 이유는 문제 박스안 지문에서 '결산시 현금과부족 계정 대변잔액'을 보고 '현금xxx/현금과부족xxx로 분개'했음을 알수 있기때문임 만일 장부가액이 실재가액보다 많다면 그때 분개는 현금과부족xxx/현금xxx로 나오고 결산 시 원인,잡이익(손실)xxx/현금과계정xxx 로 나옴
*현금과부족 계정은 임시계정으로 결산시 반드시 없애야 함으로 분개시에는 위처럼 <현금xxx/현금과부족xxx>이렇게 나왔지만 결산할때는 현금과부족 계정을 없애고 원인을 안다면 그 원인으로 계정을 만일 원인을 모른다면 잡손실 or 잡이익으로 계정을 바꿔줘야함 [해설작성자 : 인어가잠든밤에]
10.
다음 거래의 분개로 옳은 것은? (단, 정액자금선급법을 사용한다.)
1.
(차) 선급금 200,000 (대) 당좌예금 200,000
2.
(차) 선수금 200,000 (대) 소액현금 200,000
3.
(차) 가지급금 200,000 (대) 당좌수표 200,000
4.
(차) 소액현금 200,000 (대) 당좌예금 200,000
정답 : [
4
] 정답률 : 50%
11.
시장성이 있는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은 20X1년 12월 중에 취득하였다.)
1.
20X1년 말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평가이익은 ₩500,000이다.
2.
20X2년 말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평가손실은 ₩300,000이다.
3.
20X1년 말 재무상태표에 반영될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의 금액은 ₩2,000,000이다.
4.
20X2년 말 재무상태표에 반영될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의 금액은 ₩2,200,00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