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재무제표에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 이있고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는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성훈이]
9.
다음 중 기능별 포괄손익계산서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당기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매출총손익을 표시한다.
2.
당기 매출액은 총매출액에서 매출환입 및 에누리, 매출할인 등을 차감한 금액이다.
3.
당기 상품변동액을 당기 상품매입액에 가감하는 방법으로 표시한다.
4.
포괄손익계산서상 이자수익과 이자비용은 총액에 의하여 기재하여야 하며, 서로 상계하지 아니함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10.
다음 거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는 차변에 건물계정으로 분개한다.
2.
(가)의 회계처리로 유형자산이 증가한다.
3.
(나)는 차변에 토지계정으로 분개한다.
4.
(나)의 회계처리로 투자자산이 증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투자부동산으로 분개한다. [해설작성자 : 나다]
11.
다음 거래 중 당좌예금 계정에 기입하는 거래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품 ₩50,000을 매출하고 대금은 타인발행 당좌수표로 받다.
2.
상품 ₩500,000을 매입하고 당좌수표를 발행하여 지급하다.
3.
외상매출금 ₩50,000을 현금으로 받아 즉시 당좌예금하다.
4.
은행과 당좌거래 계약을 체결하고 현금 ₩50,000을 당좌예금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타인발행 당좌수표는 현금입니다. [해설작성자 : 제노얌얌]
12.
다음의 금융자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채권과 관련되어 발생한 이자를 보고기간 말에 아직 받지 못했으나 기간이 경과해서 이미 발생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자수익으로 인식한다.
2.
금융자산이 유동자산인지 비유동자산인지 여부는 취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처분이나 회수기일이 도래하는지 여부로 결정된다.
3.
금융자산을 최초로 취득할 때나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해 보고기간 말에 취득원가로 평가하면 금융자산의 경제적 실질을 잘 나타낼 수 있다.
4.
금융자산은 거래상대방에게 현금 등 금융자산을 인도하기로 한 계약상의 의무를 나타낸다.
정답 : [
1
] 정답률 : 32%
13.
다음은 받을어음 계정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상품을 매출하고 대금을 약속어음으로 받은 경우 차변에 기록한다.
2.
약속어음이 만기가 되어 거래은행에 추심위임 배서한 경우 대변에 기록한다.
3.
상품 매입 대금으로 거래처 발행 약속어음을 배서 양도하는 경우 대변에 기록한다.
4.
거래은행에 소유하고 있는 약속어음을 매각거래로 할인하는 경우 대변에 기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소유하고 있는 어음의 대금추심을 거래은행에 의뢰하는 경우가 있음. 이런 경우 대금추심을 의뢰한 것일뿐 어음상의 채권이 소멸된것이 아니므로 어음을 계정에 기입하면 안됨. 그러나, 은행으로부터 추심완료 통지를 받았을 때에는 받을어음 계정을 대변에 기입하여 감소시켜야 함.
예를 들자 1. 받을어음 만기가 도래되어 은행에 추심 의뢰하고 수수료 지불할 때 이때는 (차)수수료비용 xxx (대)현금 xxx *추심의뢰만 한 것이지 어음을 은행에 판것이 아니기 대문에 어음에 대해서는 분개X
<문제 해설> 재무제표에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 이있고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는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성훈이]
9.
다음 중 기능별 포괄손익계산서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당기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매출총손익을 표시한다.
2.
당기 매출액은 총매출액에서 매출환입 및 에누리, 매출할인 등을 차감한 금액이다.
3.
당기 상품변동액을 당기 상품매입액에 가감하는 방법으로 표시한다.
4.
포괄손익계산서상 이자수익과 이자비용은 총액에 의하여 기재하여야 하며, 서로 상계하지 아니함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10.
다음 거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는 차변에 건물계정으로 분개한다.
2.
(가)의 회계처리로 유형자산이 증가한다.
3.
(나)는 차변에 토지계정으로 분개한다.
4.
(나)의 회계처리로 투자자산이 증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투자부동산으로 분개한다. [해설작성자 : 나다]
11.
다음 거래 중 당좌예금 계정에 기입하는 거래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품 ₩50,000을 매출하고 대금은 타인발행 당좌수표로 받다.
2.
상품 ₩500,000을 매입하고 당좌수표를 발행하여 지급하다.
3.
외상매출금 ₩50,000을 현금으로 받아 즉시 당좌예금하다.
4.
은행과 당좌거래 계약을 체결하고 현금 ₩50,000을 당좌예금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타인발행 당좌수표는 현금입니다. [해설작성자 : 제노얌얌]
12.
다음의 금융자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채권과 관련되어 발생한 이자를 보고기간 말에 아직 받지 못했으나 기간이 경과해서 이미 발생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자수익으로 인식한다.
2.
금융자산이 유동자산인지 비유동자산인지 여부는 취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처분이나 회수기일이 도래하는지 여부로 결정된다.
3.
금융자산을 최초로 취득할 때나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해 보고기간 말에 취득원가로 평가하면 금융자산의 경제적 실질을 잘 나타낼 수 있다.
4.
금융자산은 거래상대방에게 현금 등 금융자산을 인도하기로 한 계약상의 의무를 나타낸다.
정답 : [
1
] 정답률 : 32%
13.
다음은 받을어음 계정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상품을 매출하고 대금을 약속어음으로 받은 경우 차변에 기록한다.
2.
약속어음이 만기가 되어 거래은행에 추심위임 배서한 경우 대변에 기록한다.
3.
상품 매입 대금으로 거래처 발행 약속어음을 배서 양도하는 경우 대변에 기록한다.
4.
거래은행에 소유하고 있는 약속어음을 매각거래로 할인하는 경우 대변에 기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소유하고 있는 어음의 대금추심을 거래은행에 의뢰하는 경우가 있음. 이런 경우 대금추심을 의뢰한 것일뿐 어음상의 채권이 소멸된것이 아니므로 어음을 계정에 기입하면 안됨. 그러나, 은행으로부터 추심완료 통지를 받았을 때에는 받을어음 계정을 대변에 기입하여 감소시켜야 함.
예를 들자 1. 받을어음 만기가 도래되어 은행에 추심 의뢰하고 수수료 지불할 때 이때는 (차)수수료비용 xxx (대)현금 xxx *추심의뢰만 한 것이지 어음을 은행에 판것이 아니기 대문에 어음에 대해서는 분개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