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 안전ㆍ보건교육 중 채용 시의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의 교육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2.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3.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4.
기계ㆍ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채용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내용> 1) 기계ㆍ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동선에 관한 사항 2)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3)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4)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5)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6)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jyw3304]
보기 3번 선지는 '근로자 정기교육'의 내용임.
2021 개정된 "채용 시의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의 교육내용" (기존 사항에서 추가만 되었음. 즉, 삭제된 건 없으니 오류 없음.) -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2021.01.19 (날짜는 안외워도됨;;)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산업재해보상보험 제도에 관한 사항 ←2021.01.19 - 직무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2020.01.16 - 직장 내 괴롭힘,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 및 관리애 관한 사항 ←2021.01.19 - 기계ㆍ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뀨뀨꺄꺆_210424]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 선지는 관리자 정기교육아닐까요,,? [해설작성자 : 11]
[추가 오류 신고] 3번 선지는 관리감독자 정기교육 [해설작성자 : 정호니]
[관리자 입니다.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답 3번맞아요 출처 2023 구민사 [해설작성자 : ㅈㄴㄷ]
[오류신고 반론] 3번 - 근로자와 관리감독자의 정기교육내용에 포함되어있음
2.
매슬로우(Maslow)의 욕구단계 이론 중 2단계에 해당되는 것은?
1.
생리적 욕구
2.
안전에 대한 욕구
3.
자아실현의 욕구
4.
존경과 긍지에 대한 욕구
정답 : [
2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Maslow의 욕구단계이론 : ① 생리적 욕구 > ② 안전 욕구 > ③ 사회적 욕구 > ④ 인정받으려는 욕구 > ⑤ 자아 실현의 욕구 [해설작성자 : ㅎㅅ]
<문제 해설> 폴리커검사 : 점멸융합주파수 테스트라고도 하며, 피로의 정도를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jyw3304]
4.
라인(Line)형 안전관리 조직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안전에 관한 기술의 축적이 용이하다.
2.
안전에 관한 지시나 조치가 신속하다.
3.
조직원 전원을 자율적으로 안전활동에 참여시킬 수 있다.
4.
권한 다툼이나 조정 때문에 통제수속이 복잡해지며,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LINE형 조직(직계식):안전 관리 모든 권한이 포괄적이고 직선적이며 10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에 적합 장점-1.안전 지시나 개선 조치가 철저하고 그 실시도 빠르다. 2.명령과 보고가 상하 관계뿐이므로 간단 명료하고 스텝이 없다. [해설작성자 : 뜨기]
5.
참가자에게 일정한 역할을 주어 실제적으로 연기를 시켜봄으로써 자기의 역할을 보다 확실히 인식할 수 있도록 체험학습을 시키는 교육방법은?
적응기제=자기 합리화(욕구불만이나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해 나갈수 없을 때 욕구충족을 위해 비합리적인 방법을 취하는 것) [해설작성자 : 뜨기]
해설작성자 : 뜨기 해설에서 적응기제는 방어기제, 도피기제 등을 아울러 부르는 명칭이므로 표현이 부적절하여 혼란을 야기합니다. [해설작성자 : 반대를위한반대]
7.
교육훈련 기법 중 off.J.T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우수한 전문가를 강사로 활용할 수 있다.
2.
특별 교재, 교구, 설비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3.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4.
직장의 실정에 맞는 실제적인 교육이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Off jt는 off the job training의 줄임말로 쉽게말해 직장외에 장소에서 교육을 받는다는 뜻인데 계급층상관없이 다같이 모여서 교육받기때문에 서로 정보공유가 빠르다. [해설작성자 : 박시무스]
Off JT (Off The Job Training)의 특징 1.다수의 근로자들에게 훈련을 할 수 있다 2.훈련에만 전념하게 된다 3.특별설비기구 이용이 가능하다 4.많은 지식이나 경험을 교류할 수 있다 5.교육 훈련 목표에 대하여 집단적 노력이 흐트러질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예린하린]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ㆍ보건표지의 색채와 사용사례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노란색 - 정지신호, 소화설비 및 그 장소 유해행위의 금지
2.
파란색 - 특정 행위의 지시 및 사실의 고지
3.
빨간색 - 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ㆍ위험 경고
4.
녹색 - 비상구 및 피난소,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표지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안전.보건표지 색채 빨간색-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위험 경고 노란색-화학물질 취급장소에서의 유해,위험 경고 이외의 위험경고, 주의표지 또는 기계 방호물 파란색-특정행위의 지시 및 사실의 고지 녹색-비상구 및 피난소,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표지 흰색-파란색 또는 녹색에 대한 보조색 검정색-문자 및 빨간색 또는 노란색에 대한 보조색
<문제 해설> <산업재해 발생 시 조치 순서> 1.재해발생 2.긴급처리 3.재해조사 4.원인강구 5.대책수립 6.대책실시계획 7.실시 8.평가 [해설작성자 : 딘짜]
14.
산업재해의 분석 및 평가를 위하여 재해발생 건수 등의 추이에 대해 한계선을 설정하여 목표 관리를 수행하는 재해통계 분석기법은?
1.
폴리건(polygon)
2.
관리도(control chart)
3.
파레토도(pareto diagram)
4.
특성 요인도(cause & effect diagram)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4. 특성요인도 : 재해분석도구 가운데 재해발생의 유형을 어골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는 것 2. 관리도: 산업재해의 분석 및 평가를 위해 재해발생 건수 등의 추이에 대해 한계선을 설정하여 목표 관리를 수행하는 재해통계 분석기법
3.관리 대상이 많은 경우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분류 항목을 큰 값에서 작은 값의 순서로 도표화 하는데 편리)
15.
ABE종 안전모에 대하여 내수성 시험을 할 때 물에 담그기 전의 질량이 400g 이고, 물에 담근 후의 질량이 410g 이었다면 질량증가율과 합격여부로 옳은 것은?
1.
질량증가율 : 2.5%, 합격여부 : 불합격
2.
질량증가율 : 2.5%, 합격여부 : 합격
3.
질량증가율 : 102.5%, 합격여부 : 불합격
4.
질량증가율 : 102.5%, 합격여부 : 합격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안전모의 구조 1.모체와 착장체의 땀방대의 간격은 5mm이상일 것. 2.착장제의 각도는 수평면으로부터 20도 이상의 각도를 유지할 것. 3.머리 받침고리와 모체 내부와의 간격은 32mm(1.25inch)이상일 것 4.내전압성(AE,ABE의 안전모는 1분간 견디고 또한 충전 전류가 10mA이하) 5.내수성(AE,ABE 질량 증가율이 1%미만이어야 함) 6.난연성(AE,ABE 연소시간이 60초 이상이어야 함)
[추가해설] 질량증가율:(담근후질량-담그기전질량)/담그기전질량×100 (410-400/400)×100=2.5(%) 질량증가율이 1% 미만이어야 하는데 초과했으므로 불합격
16.
무재해운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3자의 행위에 의한 업무상 재해는 무재해로 본다.
2.
작업 시간 중 천재지변 또는 돌발적인 사고로 인한 구조행위 또는 긴급피난 중 발생한 사고는 무재해로 본다.
3.
무재해란 무재해운동 시행사업장에서 근로자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2일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 또는 질병에 이환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4.
작업 시간 외에 천재지변 또는 돌발적인 사고 우려가 많은 장소에서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업무수행 중 발생한 사고는 무재해로 본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무재해란 무재해운동 시행 작업장에서 근로자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4일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 또는 질병에 이환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서정팔]
무재해란 무재해운동 시행사업장에서 근로자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4일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 또는 질병에 이환되지 않는 것을 말하며,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는 무재해로 본다. - 사업장무재해운동시행규정 법령 제2조(용어의 정의)
1. 업무수행 중의 사고 중 천재지변 또는 돌발적인 사고로 인한 구조행위 또는 긴급피난 중 발생한 사고 2. 출.퇴근 도중에 발생한 재해 3. 운동경기 등 각종 행사 중 발생한 재해 4. 제 3자의 행위에 의한 업무상 재해 5. 업무상 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인정기준 중 뇌혈관질환 또는 심장질환에 의한 재해 6. 업무시간외에 발생한 재해. 다만, 사업주가 제공한 사업장내의 시설물에서 발생한 재해 또는 작업개시전의 작업준비 및 작업종료후의 정리정돈과정에서 발생한 재해는 제외한다. [해설작성자 : 시루 밥벌이해야지]
2024년에는 무재해운동 제외 [해설작성자 : 맞지 형들?]
17.
맥그리거(Mcgregor)의 X, Y 이론에서 X 이론에 대한 관리 처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직무의 확장
2.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확립
3.
경제적 보상체제의 강화
4.
면밀한 감독과 엄격한 통제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맥그리거의 X,Y이론 1.X이론의 관리 처방(저차원적 이론) 권위주의적 리더십 확립/ 경제적 보상 체제의 강화/ 면밀한 감독과 엄격한 통제/ 상부책임제도의 강화/ 조직구조의 고충성 2.Y이론의 관리 처방(고차원적 이론) 민주적 리더십 확립/ 목표에 의한 관리/ 분권화와 권한의 위임/ 비공식 조직의 활용/ 자체평가제도의 활성화/ 직무확장/ 조직구조의 평면화 [해설작성자 : 뜨기]
18.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관리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가 아닌 것은?
1.
사업장 순회점검ㆍ지도 및 조치의 건의
2.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ㆍ관리ㆍ분석을 위한 보좌 및 조언ㆍ지도
3.
작업장 내에서 사용되는 전체 환기장치 및 국소 배기장치 등에 관한 설비의 점검
4.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안전교육 실시에 관한 보좌 및 ㆍ지도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산업안전관계법규(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 - 안전관리자의 업무 : 해당사업장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안전교육실시에 관한 보좌및조언지도, 사업장 순회점검지도 및 조치의 건의,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유지관리분석을 위한 보좌및조언지도 -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 : 작업의중지및재개, 수급인의 사업안전보건관리비의 집행감독및이의사용에관한 수급인간의 협의조정, 안전인증대상기계기구 등과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기구 등의 사용여부의 확인 [해설작성자 : 나웅희]
<문제 해설> 프레스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1.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2. 크랭크축ㆍ플라이휠ㆍ슬라이드ㆍ연결봉 및 연결 나사의 풀림 여부 3. 1행정 1정지기구ㆍ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기능 4. 슬라이드 또는 칼날에 의한 위험방지 기구의 기능 5. 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6. 방호장치의 기능 7. 전단기(剪斷機)의 칼날 및 테이블의 상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언로드밸브는 공기 압축기 [해설작성자 : 11]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조종 장치의 우발작동을 방지하는 방법 중 틀린 것은?
1.
오목한 곳에 둔다
2.
조종 장치를 덮거나 방호해서는 안 된다.
3.
작동을 위해서 힘이 요구되는 조종 장치에는 저항을 제공한다.
4.
순서적 작동이 요구되는 작업일 때 순서를 지나치지 않도록 잠김 장치를 설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조종장치 우발작동 방지위해 조종장치 덮개로 덮는 등 방호조치 해야한다.
22.
손이나 특정 신체부위에 발생하는 누적손상장애(CTDs)의 발생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리한 힘
2.
다습한 환경
3.
장시간의 진동
4.
반복도가 높은 작업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1. 과도한 힘 요구 2. 부적절한 작업자세 3. 장시간 진동 4. 한랭환경 5. 날카로운 면 신체접촉 6. 반복적인 동작 [해설작성자 : smi310]
23.
프레스에 설치된 안전장치의 수명은 지수분포를 따르면 평균수명은 100 시간이다. 새로 구입한 안전장치가 50시간 동안 고장없이 작동할 확률(A)과 이미 100 시간을 사용한 안전장치가 앞으로 100 시간 이상 견딜확률(B)은 약 얼마인가?
1.
A : 0.368, B : 0.368
2.
A : 0.607, B : 0.368
3.
A : 0.368, B : 0.607
4.
A : 0.607, B : 0.607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고장나지 않을 확률 R(t)=e^2(- t:앞으로 고장없이 사용할 시간 / t0:평균고장시간&평균수명) A : e^(-50/100)=0.6065 B : e^(-100/100)=0.3678 [해설작성자 : 고호]
수포자분들 e가 뭔지 좌절하실텐데 여기서 e는 자연상수입니다 그냥 공학계산기에 무조건 기호 있습니다 그거 누르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성남폴리텍임지호]
24.
화학설비의 안전성 평가의 5 단계중 제 2단계에 속하는 것은?
1.
작성준비
2.
정량적평가
3.
안전대책
4.
정성적평가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작성준비-> 2)정성적평가-> 3)정량적평가-> 4)안전대책-> 5)재해정보에 의한 재평가-> 6)FTA에 의한 재평가 [해설작성자 : 여원]
25.
그림과 같이 FTA로 분석된 시스템에서 현재 모든 기본사상에 대한 부품이 고장난 상태이다. 부품 X1부터 부품 X5까지 순서대로 복구한다면 어느 부품을 수리 완료하는 순간부터 시스템은 정상가동이 되겠는가?
1.
부품 X2
2.
부품 X3
3.
부품 X4
4.
부품 X5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T아래 모양=AND 게이트, 그 아래 모양=OR 게이트. T가 작동하려면 아래 OR 게이트에서 3개의 신호가 들어와야함. 1) X1이 작동하면, 2개의 신호. 2) X2까지 작동해도 2개의 신호. 3) X3까지 작동하면 3개의 신호 이므로 X3이 정답 [해설작성자 : 여원]
26.
설비보전에서 평균수리시간의 의미로 맞는 것은?
1.
MTTR
2.
MTBF
3.
MTTF
4.
MTBP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 MTTR(Mean time to repair) : 평균수리시간 2.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 : 평균수명 / 수리해서 사용 가능 3. MTTF(Mean time to failure) : 평균수명 / 수리해서 사용 불가능 4. MTBP : 평균보전예방 [해설작성자 : 우신형님]
1. MTTR(Mean time to repair) : 평균 수리시간 2.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 : 평균고장 간격 3. MTTF(Mean time to failure) : 평균고장 시간 [해설작성자 : 강남대학교]
평균수리시간(MTTR : Mean Time To Repair) 총 수리시간을 그 기간의 수리 횟수로 나눈 시간. 즉 사후보전에 필요한 수리시간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유나현준파파]
27.
통화이해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각 옥타브(octave)대의 음성과 잡음의 데시벨(dB)값에 가중치를 곱하여 합계를 구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명료도 지수
2.
통화 간섭 수준
3.
이해도 점수
4.
소음 기준 곡선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통화 이해도 측정 방법(송화자료를 수화자에게 전송하는 실험) 1. 명료도지수의 사용 : 옥타브대의 음성과 잡음의 db값에 가중치를 곱하여 합계를 구하는 방법 2. 이해도 점수 : 송화 내용중에서 알아듣고 인식한 비율(%) 3. 통화간섭수준(SIL) 통화 이해도에 끼치는 잡음의 영향을 추정하는 지수 4. 소음기준(NC)곡선 : 사무실, 회의실, 공장 등에서의 통화평가 방법 [해설작성자 : 우씬형님]
28.
일반적으로 보통 작업자의 정상적인 시선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수평선을 기준으로 위쪽 5° 정도
2.
수평선을 기준으로 위쪽 15° 정도
3.
수평선을 기준으로 아래쪽 5° 정도
4.
수평선을 기준으로 아래쪽 15° 정도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보통 작업자의 시선은 수평선 기준 아래 15도 보통 작업자 모니터 감시 수평선 기준 위쪽 15도 [해설작성자 : 내일광탈]
29.
FT도에 사용되는 다음 기호의 명칭으로 옳은것은?
1.
억제게이트
2.
조합AND게이트
3.
부정게이트
4.
배타적OR게이트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조합 AND 게이트 3개 이상의 입력현상 중에 2개가 일어나면 출력이 생긴다 [해설작성자 : 없다]
30.
일반적으로 위험(Risk)은 3가지 기본요소로 표현되며 3요소(Triplets)로 정의된다. 3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고 시나리오(Si)
2.
사고 발생 확률(Pi)
3.
시스템 불이용도(Qi)
4.
파급효과 또는 손실(Xi)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위험의 3요소 - 사고 시나리오 - 사고발생 확률 - 파급효과 또는 손실 [해설작성자 : 69]
31.
다음 FT도에서 최소 컷셋을 올바르게 구한것은?
1.
(X1, X2)
2.
(X1, X3)
3.
(X2, X3)
4.
(X1, X2, X3)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A1의 경우, 둘 모두 입력되어야 하며 A2의 경우, 둘중 하나 입력.
A1을 위해 X1,X2 모두 입력되는 경우, A2도 X1에 의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쿠라니]
컷셋 : 정상사상을 일으키는 기본사삳ㅇ들의 집합 최소컷셋 : 정상사상이 발생하려면 집합 내의 모든 사상이 발생해야 하는 가장 작은 컷셋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기사합격!!!]
32.
시스템이 저장되어 이동되고 실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작동시스템의 기능이나 과업,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위험에 초점을 맞춘 위험분석 차트는?
1.
결함수분석(FTA: Fault Tree Analysis)
2.
사상수분석(ETA: Event Tree Analysis)
3.
결함위험분석(FHA: Fault Hazard Analysis)
4.
운용위험분석(OHA: Operating Hazard Analysis)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FTA(결함수분석) : 사고의 원인이 되는 장치의 이상이나 고장의 다양한 조합 및 작업자 실수 원인을 연역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ETA(사상수분석) : 특정 자치의 이상이나 운전자의 실수로부터 발생되는 잠재적인 사고 결과를 평가하는 귀납적 기법 FHA(결함위험 분석) : 복작한 시스템에서는 몇 개의 공동 계약자가 서브 시스템을 분담하고 통합 계약업자가 그것을 통합하는 경우가 있는데 FHA는 이런 경우의 서브 시스템의 분석에 사용 되는 분석법이다. [해설작성자 : 우신형님]
OHA(운용위험분석) : 시스템이 저장되어 이동되고 실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작동시스템의 기능이나 과업,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위험에 초점을 맞춘 위험분석 차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자동화시스템에서 인간의 기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설비보전
2.
작업계획 수립
3.
조정 장치로 기계를 통제
4.
모니터로 작업 상황 감시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작업계획은 사람이 만들지만 조정장치로 기계를 통제하는 시스템이라면 자동화가 아니다
[추가 해설] 인간 기계 통합시스템에서 인간의 역할은 제어 기능을 담당하고 힘에 대한 공급은 기계가 응답한다. -조정장치로 기계를 통제하는 것은 == 기계시스템(반자동시스템) [해설작성자 : 고호]
34.
의자 설계에 대한 조건 중 틀린 것은?
1.
좌판의 깊이는 작업자의 등이 등받이에 닿을수 있도록 설계한다.
2.
좌판은 엉덩이가 앞으로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과 구조로 설계한다.
3.
좌판의 넓이는 작은 사람에게 적합하도록, 깊이는 큰 사람에게 적합하도록 설계한다.
4.
등받이는 충분한 넓이를 가지고 요추 부위부터 어깨부위까지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설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좌판의 넓이(폭)은 큰 사람에게 적합하도록, 깊이는 작은 사람에게 적합하도록 설계한다. [해설작성자 : 스바라싀]
35.
시스템 분석 및 설계에 있어서 인간공학의 가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훈련비용의 절감
2.
인력 이용률의 향상
3.
생산 및 보전의 경제성 감소
4.
사고 및 오용으로부터의 손실 감소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체계분석 및 설계의 인간공학적 가치 1. 성능의 향상 2. 훈련비용의 절감 3. 인력이용율의 향상 4. 사고 및 오용으로부터의 손실 감소 5. 생산 및 보전의 경제성 증대 6. 사용자의 수용도 향상 [해설작성자 : 쩗쭓짧]
3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사업은 기계 및 가구를 제외한 금속가공제품 제조업으로서 전기 계약용량이 얼마 이상인 사업을 말하는가?
1.
50 kW
2.
100 kW
3.
200 kW
4.
300 kW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사업 전기 사용 설비의 정격용량의 합이 300kw 이상인 사업을 말한다.
작업대상(제조업) 1. 금속가공제품(기계 및 가구 제외) 제조업 2. 비금속 광물 제품 제조업 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 식료품 제조업 6.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8. 기타 제품 제조업 9. 1차 금속 제조업 10. 가구 제조업 11.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12. 반도체 제조업 13. 전자 부품 제조업
37.
건구온도 30℃, 습구온도 35℃ 일 때의 옥스포드(Oxford) 지수는 얼마인가?
1.
27.75℃
2.
24.58℃
3.
32.78℃
4.
34.25℃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옥스퍼드 지수 WD = 0.85 x W(습구온도) + 0.15 x D(건구온도) [해설작성자 : 69]
s=UTS/허용, UTS=35MPa, 35=F/1800 F=63000N [해설작성자 : 인천대 기계 신]
52.
원동기, 풀리, 기어 등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부위에 설치하는 위험방지 장치가 아닌 것은?
1.
덮개
2.
슬리브
3.
건널다리
4.
램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운반기계 및 양중기 (컨베이어 방호장치) - 비상정지장치 - 덮개 또는 울 - 건널다리 - 역전방지장치 [해설작성자 : 나웅희]
원동기, 회전축 등의 위험방지 1. 덮개 :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는 것 2. 울 : 어떤 범위를 판자나 봉형상의 부품을 사용해 격리하는 구조물 3. 슬리브 : 회전축 등을 둘러싸도록 축 외주에 끼워서 사욕되는 긴 통형의 부품, 회전체에 접촉되거나 말려들어감 방지 4. 건널다리 : 회전축이나 벨트 등의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부분을 횡단해야 할 때 사용되는 소형의 보도(步道)교 [해설작성자 : 우신형님]
램은 수직형 선반 이나 플레이너에서 절삭부분입니다. [해설작성자 : 쉽게쉽게]
53.
아세틸렌 용접장치에서 사용하는 발생기실의 구조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벽의 재료는 불연성의 재료를 사용할 것
2.
천정과 벽은 견고한 콘크리트 구조로 할 것
3.
출입구의 문은 두께 1.5mm 이상의 철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구조로 할 것
4.
바닥 면적의 16분의 1 이상의 단면적을 가진 배기통을 옥상으로 돌출시킬 것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지붕과 천정에는 얇은 철판이나 가벼운 불연성재료
기타산업용기계기구(아세틸렌용접장치 및 가스집합용접장치) 1. 가스용접작업의안전 - 안전기의설치 - 압력의제한 (게이지압력이 127KPA 초과하면 안됨) - 발생기실 설치장소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하며 화기로 부터 3M 이격, 다른건축물로 부터 1.5M 이격) - 발생기실 구조 (벽은 불연성재료로하며 철콘등의 일정한강도 필요, 지붕과 천장은 철판등의 불연성재료 사용, 바닥면적의 1/16 의 배기통 사용하며 1.5M 돌출, 문은 1.5MM 두께의 철판등 사용) [해설작성자 : 나웅희]
54.
롤러기의 급정지장치로 사용되는 정지봉 또는 로프의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복부 조작식은 밑면으로부터 1200 ~ 1400 mm 이내의 높이로 설치한다.
2.
손 조작식은 밑면으로부터 1800 mm 이내의 높이로 설치한다.
3.
손 조작식은 앞면 롤 끝단으로부터 수평거리가 50 mm 이내에 설치한다.
4.
무릎 조작식은 밑면으로부터 400 ~ 600 mm 이내의 높이로 설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손조작식 밑면에서 1.8미터 이내 복부조작식 밑면에서 0.8미터 이상 1.1미터 이내 무릎조작식 밑면에서 0.6미터이내 [해설작성자 : 밈밈]
5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용접장치의 안전에 관한 준수사항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아세틸렌 용접장치의 발생기실을 옥외에 설치한 때에는 그 개구부를 다른 건축물로부터 1m 이상 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2.
가스집합장치로부터 3m 이내의 장소에서는 화기의 사용을 금지시킨다.
3.
아세틸렌 발생기에서 10m이내 또는 발생기실에서 4m이내의 장소에서는 흡연행위를 금지시킨다.
4.
아세틸렌 용접장치를 사용하여 용접작업을 할 경우 게이지 압력이 127kPa을 초과하는 아세틸렌을 발생시켜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아세틸렌 용접장치의 발생기실을 옥외에 설치 할 때에는 그 개구부를 다른 건축물로부터 1.5m 이상 떨어져 있어야한다. 2. 가스집합장치로부터 5m 이내의 장소에서는 화기의 사용을 금지시킨다! 3. 아세틸렌 발생기에서 5m 이내 발생기실에서 3미너 이내의 장소에서는 흡연, 화기의 사용 또는 불꽃이 발생할 위험한 행위를 금지시킨다. [해설작성자 : 우신형님]
아세틸렌 발생기실이나 가스집합용접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에 적합한 '전용'의 발생기실이 있어야 해요!
- 아세틸렌 발생기실은 건물의 최상층이나 옥외에 설치해야 한다. - 아세틸렌 발생기실을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한 경우, 화기를 사용하는 설비로부터 3m를 초과하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 아세틸렌 발생기실을 옥외에 설치한 경우, 개구부를 다른 건축물로 부터 1.5m 이상 떨어지도록 해야 한다.
+ 용해 아세틸렌의 가스용접장치의 배관은 동 또는 동을 70% 이상 함유한 합금을 사용해선 안된다.
♡ 가스집합장치
- 가스집합장치는 화기를 사용하는 설비로부터 '5m' 이상 떨어진 장소에 설치해야 합니다. - 가스집합장치의 지붕, 천장에는 '가벼운' 불연성의 재료(철판)를 사용한다. - 가스집합장치의 벽에는 불연성의 재료(콘트리트)를 사용한다. (벽, 천장이 함께 묶어서 보기에 나오면 틀린거에요!) - 가스집합장치의 배관의 접합부에는 개스킷을 사용하거나 상호 밀착 시켜야 한다. - 가스집합장치의 주관 및 분기관에는 안전기를 설치해야 한다. 이 경우, 하나의 취관에 '2개'이상의 안전기를 설치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정락원짱짱맨]
56.
다음 중 프레스의 방호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수조작식 방호장치는 1행정1정지 기구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손쳐내기식 방호장치는 슬라이드 하행정거리의 3/4 위치에서 손을 완전히 밀어내야 한다,
3.
광전자식 방호장치의 정상동작 표기램프는 붉은색, 위험 표시램프는 녹색으로 하며, 쉽게 근로자가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4.
게이트 가드 방호장치는 가드가 열린 상태에서 슬라이드를 동작시킬 수 없고 또한 슬라이드 작동 중에는 게이트 가드를 열 수 없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광전자식 센서는 정상 상태일 때 녹색, 장애물을 감지했을 때 빨간색을 비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신호등을 생각하세요 정상(통행) 녹색 위험(통행)적색 [해설작성자 : 산안기 할수있다]
57.
다음 중 비파괴 시험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와류 탐상시험
2.
초음파 탐상시험
3.
인장 시험
4.
방사선 투과시험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인장 시험은 물체의 물성치를 측정하는 파단 시험이다. [해설작성자 : 다온애비]
인장시험은 쉽게 설명하면 물체가 얼마나 유연하게 잘늘어나는지 늘려보는 시험입니다. 시험종료 시점은 물체가 끊어지는 시점으로 인장강도가 결정되는것인데 끊어져야 시험이 끝나는것이니 파괴시험으로 들어갑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KFS-435방폭구조의 전기설비기준 제5장 방폭전기설비의 배선 및 보호 5.5 방폭전기설비의 전기적 보호 5.5.4 도전성 노출 부분의 보호접지 5.5.4.3 접지선 (1) 접지선은 원칙적으로 600 V 비닐절연전선 이상의 전선을 사용하고, -> 4번답(X) 그 굵기는 예상 최대지락전류에 의해 발화위험이 발생하지 않는 한도 이내이어야 한다. (2) 내압방폭, 안전증방폭 금속관배선에서 접지선은 전선관 내를 통과하고, -> 2번답(O) 단자함 내의 내부 접속단자에 접속한다. 단, 전선관이 예상 최대지락전류를 안전하게 흐르게 할 경우 접지선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나사결합부는 원칙적으로 본딩할 필요가 있다. (3) 다심형 케이블은 선심의 1개를 접지선으로 사용하고, 단자함의 내부 접지단자에 접속한다. 단, 케이블의 금속외피가 예상 최대지락전류를 안전하게 흐르게 할 경우 접지선으로 이용할 수 있다. (4) 별도의 접지선으로 배선할 경우 이 접지선은 보호관 등으로 외상에 대하여 보호하여야 한다. (5) 이동전기기기의 배선은 이동전선 선심의 1개를 접지선으로 사용하고, 그 단자를 각 단자함 또는 차입접속기 플러그의 내부 접속단자에 접속한다. (6) 접지선과 접지단자와의 접속은 헐거움, 단선 등이 없어야 한다. (7) 접지선으로 사용하는 전선 또는 선심은 그 절연피복을 녹색과 황색의 줄무늬 모양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부득이한 경우 녹색을 사용하거나 그 접속 부분에 같은 색의 테이프를 감아서 표시한다. -> 3번답(X) 5.5.5 전위의 동일화 도전 부분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스파크의 발생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험장소 내의 모든 도전 부분은 본딩 등으로 전위를 동일화하여야 한다. 단, 전선관이 예상 최대지락전류를 안전하게 흐르게 할 경우 본딩을 생략할 수 있다. -> 1번답(X) [해설작성자 : iykim71]
65.
방폭전기설비의 용기내부에서 폭발성가스 또는 증기가 폭발하였을 때 용기가 그 압력에 견디고 접합면이나 개구부를 통해서 외부의 폭발성 가스나 증기에 인화되지 않도록 항 방폭구조는?
1.
내압 방폭구조
2.
압력 방폭구조
3.
유입 방폭구조
4.
본질안전 방폭구조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전기설비의방폭 - 폭발 위험장소 분류 (가스폭발위험장소) : 0종장소(배관), 1종장소(맨홀), 2종장소(패킹) - 방폭구조의 종류 : 내압(용기가폭발압력에견딘고), 압력(침입하는것을방지), 안전증(온도상승에대해안전도증가), 유입(기름에내장), 본질안전(단락단선지락), 비점화(고장이유발되지않도록), 몰드(콤파운드), 충전(충전물질) [해설작성자 : 나웅희]
-압력방폭구조: 아크를 발생시키는 전기설비를 용기에 넣고 용기 내부에 불연성 가스를 압입하여 용기 내부로 폭발성 가스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 -유입방폭구조: 폭발성 분위기가 발화할 수 없도록 전기설비 또는 전기설비의 부품을 보호액에 함침시키는 방폭구조 -본질안전방폭구조: 정상시 또는 단락, 단선, 지락 등의 사고시에 발생하는 아크, 불꽃, 고열에 의하여 폭발성 가스나 증기에 점화되지 않는 것이 확인된 구조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66.
전기시설의 직접 접촉에 의한 감전방지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충전부는 내구성이 있는 절연물로 완전히 덮어 감쌀 것
2.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형 외함이 있는 구조로 할 것
3.
충전부에 충분한 절연효과가 있는 방호망 또는 절연 덮개를 설치할 것
4.
충전부는 관계자 외 출입이 용이한 전개된 장소에 설치하고 위험표시 등의 방법으로 방호를 강화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충전부는 관계자 외의 출입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하면 안됨 [해설작성자 : 송으니]
67.
누전화재가 발생하기 전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인체 감전현상
2.
전등 밝기의 변화현상
3.
빈번한 퓨즈 용단현상
4.
전기 사용 기계장치의 오동작 감소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전기 사용 기계장치의 오동작 "증가" [해설작성자 : Double_h8.24]
68.
인체에 최소감지 전류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인체가 고통을 느끼는 전류이다.
2.
성인 남자의 경우 상용주파수 60Hz 교류에서 약 1mA이다.
3.
직류를 기준으로 한 값이며, 성인남자의 경우 약 1mA에서 느낄 수 있는 전류이다.
4.
직류를 기준으로 여자의 경우 성인 남자의 70%인 0.7mA에서 느낄 수 있는 전류의 크기를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최소감지전류 : 전류의 흐름을 느낄 수 있는 최소의 전류 - 직류 : 남 5.2mA, 여 3.5mA - 교류 : 남 1.1mA, 여 0.7mA - 상용주파수 60Hz에서 1mA 정도
69.
그림에서 인체의 허용 접촉 전압은 약 몇 V 인가? (단, 심실세동 전류는 이며, 인체저항 Rk= 1000Ω, 발의 저항 Rf= 300Ω이고, 접촉 시간은 1초로 한다.)
1.
107
2.
132
3.
190
4.
215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두다리는 병렬 몸체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합성조항은 1150옴입니다. 심실세동 전류를 곱하면 189.75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쪼주사마]
전격방지기 <노동부고시 위험기계.기구 방호장치기준> 중 제16조의 2(전격방지기의 설치) ①의 1. 연직(불가피한 경우는 연직에서 20도 이내)으로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쿠얼]
1. 연직(불가피한 경우는 연직에서 20도 이내)으로 설치할 것. 2. 용접기의 이동, 전자접촉기의 작동 등으로 인한 진동,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할 것. 3. 표시등(외부에서 전격방지기의 작동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램프를 말한다)이 보기 쉽고, 점검용 스위치(전격방지기의 작동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스위치를 말한다)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설치할 것. 4. 용접기의 전원측에 접속하는 선과 출력측에 접속하는 선을 혼동되지 않도록 할 것. 5. 접속부분은 확실하게 접속하여 이완되지 않도록 할 것. 6. 접속부분을 절연테이프, 절연카바 등으로 절연시킬 것. 7. 전격방지기의 외함은 접지시킬 것. 8. 용접기 단자의 극성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접속시 극성이 맞도록 할 것. 9. 전격방지기와 용접기 사이의 배선 및 접속부분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쿠얼]
71.
피뢰침의 제한전압이 800kV, 충격절연강도가 1000kV라 할 때, 보호여유도는 몇 % 인가?
<문제 해설> 아산화질소 출처 해양과학용어사전 | 아산화질소 일산화이질소, 소기(笑氣:웃음 가스)라고도 함. 여러 가지 질소 산화물 중의 하나. 화학식은 N2O. 상쾌하고 달콤한 냄새와 맛을 가진 무색의 기체로, 흡입하면 약한 히스테리 증상이 나타나 고통에 대해 무감각하게 되고, 때때로 웃기까지 함. [해설작성자 : 나웅희]
84.
다음 중 분진 폭발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가스폭발보다 연소시간이 짧고, 발생 에너지가 작다.
2.
압력의 파급속도보다 화염의 파급속도가 빠르다.
3.
가스폭발에 비하여 불완전 연소가 적게 발생한다.
4.
주위의 분진에 의해 2차, 3차의 폭발로 파급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가스폭발보다 발생에너지가 크다. 2.폭발압력과 연소속도는 가스폭발보다 작다. 3.불완전 연소로 인한 가스중독의 위험성은 크다. 4.화염의 파급속도보다 압력의 파급속도가 크다. 5.가스폭발에 비해 불완전 연소가 많이 발생한다. 6.주위 분진에 의해 2차,3차 폭발로 파급될수 있다. [해설작성자 : 동네바보]
추가로 분진폭발은 연소시간이 길고 가스폭발은 연소 속도가 빠릅니다 [해설작성자 : 외우다 머리빠져]
사업주는 특수화학설비를 설치할 때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계측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음 중 이에 해당하는 특수화학설비가 아닌 것은?
1.
발열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장치
2.
증류, 증발 등 분리를 행하는 장치
3.
가열로 또는 가열기
4.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방유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 중 제273조(계측장치 등의 설치) 사업주는 별표 9에 따른 위험물을 같은 표에서 정한 기준량 이상으로 제조하거나 취급하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화학설비(이하 “특수화학설비”라 한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내부의 이상 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온도계·유량계·압력계 등의 계측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1.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장치 2. 증류·정류·증발·추출 등 분리를 하는 장치 3. 가열시켜 주는 물질의 온도가 가열되는 위험물질의 분해온도 또는 발화점보다 높은 상태에서 운전되는 설비 4. 반응폭주 등 이상 화학반응에 의하여 위험물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 5. 온도가 섭씨 350도 이상이거나 게이지 압력이 980킬로파스칼 이상인 상태에서 운전되는 설비 6. 가열로 또는 가열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방유장치는 특수화학설비가 아닌 위험물을 액체상태로 저장할 때 위험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황병만]
90.
가스 또는 분진 폭발 위험장소에 설치되는 건축물의 내화 구조로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건축물 기둥 및 보는 지상 층까지 내화구조로 한다.
2.
위험물 저장ㆍ취급용기의 지지대는 지상으로부터 지지대의 끝부분까지 내화구조로 한다.
3.
건축물 주변에 자동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 건축물 화재 시 1시간 이상 그 안전성을 유지한 경우는 내화구조로 하지 아니할 수 있다.
4.
배관ㆍ전선관 등의 지지대는 지상으로부터 1단까지 내화구조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시간 -> 2시간 [해설작성자 : 백수]
<가스,분진폭발 내화구조> 건축물의 기둥과 보 : 지상1층(6M 까지) 배관 및 전선관의 지지대 : 지상에서 1단(6M 까지) 위험물 저장 및 용기 지지대 : 지상에서 지지대 끝부분까지 자동화기 설치 시 : 건축물 화재 시 2시간 안전성 확보 [해설작성자 : 허찬]
91.
고압가스의 분류 중 압축가스에 해당되는 것은?
1.
질소
2.
프로판
3.
산화에틸렌
4.
염소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압축가스 : 상온에서 압축해도 액화되지 않고 기체로 압축되는 가스(수소 질소 산소 메탄) [해설작성자 : 쿠라니]
압축가스:상온에서 액화하지 아니할 정도로 기압보다 압력을 높인 기체. 압축 공기, 압력 산소 따위가 있으며 대개 봄베에 넣어서 저장한다(산소,수소,질소,아르곤,메탄등) 액화가스:가스 상태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을 식히거나 압축하여 액화한 가스. 액화 석유 가스, 액화 천연가스, 액체 산소, 액체 암모니아 용해가스:물질이 액체 속에서 균일하게 녹아 용액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이세틸렌이있음. [해설작성자 : 마중물]
<문제 해설> 포종이란 Bubble Cap이라고 하며 증기와 액체의 접촉을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한다. [해설작성자 : 동네바보]
101.
작업발판 및 통로의 끝이나 개구부로서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난간등의 설치가 매우 곤란하거나 작업의 필요상 임시로 난간등을 해체하여야 하는 경우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구명구
2.
수직보호망
3.
안전방망
4.
석면포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안전방망ㅡ>추락방호망으로 개정 [해설작성자 : 남돌]
102.
지반조사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토질의 성질 파악
2.
지층의 분포 파악
3.
지하수위 및 피압수 파악
4.
구조물의 편심에 의한 적절한 침하 유도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지반조사는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남돌]
103.
풍화암의 굴착면 붕괴에 따른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굴착면의 적정한 기울기 기준은?(2023년 11월 14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건선업 산업 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이 2023. 10. 5., 일부개정으로 [별표]1 공사종류 및 규모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기준표의 공사종류가 건축공사, 토목공사, 중건설공사, 특수건설공사로 바꼈으니 이 문제는 넘어가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24.4.5 해설작성]
107.
건설공사 시공단계에 있어서 안전관리의 문제점에 해당되는 것은?
1.
발주자의 조사, 설계 발주능력 미흡
2.
용역자의 조사, 설계능력 부실
3.
발주자의 감독 소홀
4.
사용자의 시설 운영관리 능력 부족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발주자의 감독 소홀은 시공단계에서 문제점이다. [해설작성자 : 69]
108.
유해위험방지 계획서를 제출하려고 할 때 그 첨부서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사개요서
2.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작성요령
3.
전체공정표
4.
재해 발생 위험 시 연락 및 대피방법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첨부서류 1. 공사 개요 및 안전보건관리계획 가. 공사 개요서 나. 공사현장의 주변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다. 건설물, 사용 기계설비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라. 전체 공정표 마.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 바. 안전관리 조직표 사. 재해 발생 위험 시 연락 및 대피방법 2. 작업 공사 종류별 유해, 위험방지계획
109.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였을 때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발견 시 즉시 보수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굴착 깊이의 정도
2.
버팀대의 긴압의 정도
3.
부재의 접속부ㆍ부착부 및 교차부의 상태
4.
부재의 손상ㆍ변형ㆍ부식ㆍ변위 및 탈락의 유무와 상태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침하의 정도 [해설작성자 : 남돌]
110.
크레인의 운전실 또는 운전대를 통하는 통로의 끝과 건설물 등의 벽체의 간격은 최대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0.2m
2.
0.3m
3.
0.4m
4.
0.5m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간격 0.3m 1. 크레인의 운전실, 운전대를 통하는 통로의 끝과 건설물 등의 벽체의 간격 2. 크레인 거더의 통로 끝과 크레인 거더의 간격 3. 크레인 거더의 통로로 통하는 통로의 끝과 건설물 등의 벽체의 간격 [해설작성자 : ㅇㅇ]
111.
달비계를 설치할 때 작업발판의 폭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30cm
2.
40cm
3.
50cm
4.
60cm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달비계의 작업발판은 폭을 40cm 이상으로 하고 틈새가 없도록 해야함 [해설작성자 : ㅇㅇ]
비계에 쓰이는 작업발판은 모두 폭 40cm 이상 [해설작성자 : iykim71]
112.
산소결핍이라 함은 공기 중 산소농도가 몇 퍼센트(%) 미만일 때를 의미하는가?
1.
20%
2.
18%
3.
15%
4.
10%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적정산도농도 18%~23.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외우는팁 산소부족해 "18" [해설작성자 : 미노는돈]
113.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에 점검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권과방지장치ㆍ브레이크ㆍ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2.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4.
압력방출방치의 기능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압력방출장치는 보일러 [해설작성자 : 송으니]
114.
흙막이 공법을 흙막이 지지방식에 의한 분류와 구조방식에 의한 분류로 나눌 때 다음 중 지지방식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