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연수합계법은 감가상각방법의 종류이다. ㆍ통상적으로 상호 교환될 수 없는 재고항목이나 특정 프로젝트별로 생산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는 개별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개별법은 각 재고자산별로 매입원가 또는 제조원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특수기계를 주문 생산하는 경우와 같이 제품별로 원가를 식별할 수 있는 때에는 개별법을 사용하여 원가를 결정한다. 그러나 이 방법을 상호 교환 가능한 대량의 동질적인 제품에 대해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아니하다.(일반기업회계기준 7.12) ㆍ문단 7.12가 적용되지 않는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선입선출법이나 가중평균법 또는 후입선출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성격과 용도 면에서 유사한 재고자산에는 동일한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적용하여야 하며, 성격이나 용도 면에서 차이가 있는 재고자산에는 서로 다른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일반기업회계기준 7.13) ㆍ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에는 정액법, 체감잔액법(예를 들면, 정률법 등), 연수합계법, 생산량비례법 등이 있다.(일반기업회계기준 10.40)
<문제 해설> 유형자산을 외부로부터 매입한 경우 취득원가는 매입가액뿐만 아니라 당해 자산을 본래의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장소와 상태까지 지출된 모든 부대비용을 취득원가에 포함하며, 토지에 대한 재산세는 취득부대비용이 아니고 취득이후에 발생한 비용으로 세금과공과로 처리한다. 토지대금(15,000,000) + 취득세(1,000,000)=16,000,000원
<문제 해설> 연수합계법은 감가상각방법의 종류이다. ㆍ통상적으로 상호 교환될 수 없는 재고항목이나 특정 프로젝트별로 생산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는 개별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개별법은 각 재고자산별로 매입원가 또는 제조원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특수기계를 주문 생산하는 경우와 같이 제품별로 원가를 식별할 수 있는 때에는 개별법을 사용하여 원가를 결정한다. 그러나 이 방법을 상호 교환 가능한 대량의 동질적인 제품에 대해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아니하다.(일반기업회계기준 7.12) ㆍ문단 7.12가 적용되지 않는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선입선출법이나 가중평균법 또는 후입선출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성격과 용도 면에서 유사한 재고자산에는 동일한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적용하여야 하며, 성격이나 용도 면에서 차이가 있는 재고자산에는 서로 다른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일반기업회계기준 7.13) ㆍ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에는 정액법, 체감잔액법(예를 들면, 정률법 등), 연수합계법, 생산량비례법 등이 있다.(일반기업회계기준 10.40)
<문제 해설> 유형자산을 외부로부터 매입한 경우 취득원가는 매입가액뿐만 아니라 당해 자산을 본래의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장소와 상태까지 지출된 모든 부대비용을 취득원가에 포함하며, 토지에 대한 재산세는 취득부대비용이 아니고 취득이후에 발생한 비용으로 세금과공과로 처리한다. 토지대금(15,000,000) + 취득세(1,000,000)=16,00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