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024삭제 [해설작성자 : ㅇ .ㅇ ]
7.
재해원인 분석방법의 통계적 원인분석 중 사고의 유형, 기안물 등 분류항목을 큰 순서대로 도표화한 것은?
1.
파레토도
2.
특성요인도
3.
크로스도
4.
관리도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파레토도 - 관리 대상이 많은 경우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수 있는방법 특성요인도 - 특성과 요인관계를 어골상으로 세분하여 연쇄관계를 나타내는 방법 크로스 - 두가지 또는 그이상의 요인이 서로 밀접한 상호관계를 유지할때 사용되는방법 관리도 - 재해 발생건수 등의 추의파악 [해설작성자 : 기므르]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 안전ㆍ보건교육 중 관리감독자 정기안전ㆍ보건교육의 교육내용이 아닌 것은?
1.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2.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3.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4.
작업공정의 유해ㆍ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사업 내 안전·보건교육(제33조제1항 관련) 가. 근로자 정기안전·보건교육 ○ 산업안전 및 사고 예방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
나. 관리감독자 정기안전·보건교육 ○ 작업공정의 유해·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 표준안전작업방법 및 지도 요령에 관한 사항 ○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임무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
다. 채용 시의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의 교육 ○ 기계·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 사항 ○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퓌스듬히컬쳐]
무재해운동 추진기법 중 위험예지훈련 4라운드 기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현상파악
2.
행동 목표설정
3.
대책수립
4.
안전평가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현상파악 2.본질추구 3.대책수립 4.목표설정
[관리자 입니다. 2024년부터 무재해 운동이 시험범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참고 문제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14.
다음 그림과 같은 안전관리 조직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
2.
생산부분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다.
3.
사업장의 특수성에 적합한 기술연구를 전문적으로 할 수 있다.
4.
권한다툼이나 조정 때문에 통제수속이 복잡해지며,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2, 3, 4는 Staff형에 대한 설명이다. 1은 Line&Staff형에 관한 설명. [해설작성자 : 쿠라니]
라인형 - 100닝겐 미만 스태프형 - 100~1000닝겐 라 & 스 - 1000닝겐 이상 [해설작성자 : 와라떼끼이놈아]
라인형 - 100인 미만 스태프형 - 100이상~1000미만 라 & 스 - 1000인 이상 [해설작성자 : 큐넷접수노예]
* 안전스탭이 안전을 지시하는 형태 : 스태프형 *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 : 라인 스태프형 특징 [해설작성자 : 임태평]
직계식 조직(라인) : 명령계통이 간단 명료하고 안전에 대한 지시와 전달이 신속 정확함, 대신 전문성이 떨어지며 라인에 막대한 책임이 주어짐 참모식 조직(스탭) : 안전지식과 기술축적에 용이, 경영자에게 지도 조언 자문역할 수행 가능 , 대신 생산과 안전을 별개의 취급함, 생산부분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음 직계 참모식 조직 (라인스탭) : 안전에 관한 지시와 전달이 신속 정확, 라인이 스탭에 의존하며 명령계통과 조언 권고적 참여가 혼동하기 쉽다. [해설작성자 : 북삼고김인직]
15.
인간의 행동특성과 관련한 레빈의 법칙(Lewin)중 P가 의미하는 것은?
1.
사람의 경험, 성격 등
2.
인간의 행동
3.
심리에 영향을 주는 인간관계
4.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환경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B:(Behavior)인간의 행동 F:함수 P:(Person)개체:연령,경험 등 개인적 요건 E:(Environment)심리적환경:인간관계, 작업환경 [해설작성자 : 혁스키]
16.
안전교육의 단계에 있어 교육대상자가 스스로 행함으로서 습득하게 하는 교육은?
1.
의식교육
2.
기능교육
3.
지식교육
4.
태도교육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기능교육 : 시범 견학 실습 현장실습교육을 통한 경험 체득과 이해 [해설작성자 : 쿠라니]
17.
부주의의 현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의식의 단절
2.
의식수준 지속
3.
의식의 과잉
4.
의식의 우회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의식수준 지속 > 의식수준 저하 [해설작성자 : 근손실은 사양해]
부주의 원인 1. 의식 단절 2. 의식 우회 3. 의식 수준 저하 4. 의식 혼란 5. 의식 과잉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18.
산업안전보건법상 근로시간 연장의 제한에 관한 기준에서 아래의 ( )안에 알맞은 것은?
1.
㉠ 6, ㉡ 34
2.
㉠ 7, ㉡ 36
3.
㉠ 8, ㉡ 40
4.
㉠ 8, ㉡ 44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는 1일 6시간, 1주 34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직렬 신뢰도=A*B*C ... 병렬 신뢰도=1-(1-A)(1-B)(1-C) ... [해설작성자 : 얍줌마]
직렬 A X B X C 병렬 A, B 는 (A+B)-(AXB)
27.
FTA 결과 다음과 같은 패스셋을 구하였다. X4가 중복사상인 경우, 최소 패스셋(minimal path sets)으로 맞는 것은?
1.
{X3, X4}
2.
{X1, X3, X4}
3.
{X2, X3, X4}
4.
{X2, X3, X4}와 {X3, X4}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FTA(Fault Tree Analysis) : 특정 예상 사고에 대해 원인이 되는 결함이나 오류를 연역적으로 분석하는 안전성 평가 방법
최소 컷셋 : 모든 기본 사상 발생 시 정상 사상을 발생 시키는 기본 사상의 최소 집합
최소패스셋 : 기본 사상이 일어나지 않으면 정상 사상이 발생하지 않는 기본 사상의 집합
28.
인간 - 기계 통합 체계의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본기능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감지
2.
환경
3.
행동
4.
정보보관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인간-기계 시스템의 5대기능 감지기능 정보처리 및 의사결정기능 행동기능 정보보관기능 출력기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인간-기계 통합시스템의 기본기능 유형] - 감지 - 정보보관 - 정보처리 및 의사결정 - 행동기능 - 출력 [해설작성자 : 강꼬비]
29.
시스템의 운용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할 주요한 시스템안전 부문의 작업이 아닌 것은?
1.
생산시스템 분석 및 효율성 검토
2.
안전성 손상 없이 사용설명서의 변경과 수정을 평가
3.
운용, 안전성 수준유지를 보증하기 위한 안전성 검사
4.
운용, 보전 및 위급 시 절차를 평가하여 설계시 고려사항과 같은 타당성 여부 식별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운용단계 - 모든 운용, 보전 및 위급 시에 절차를 평가하여 그들이 설계 때에 고려된 바와 같은 타당성이 있느냐의 여부를 식별할 것 - 안전성에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작장치, 사용설명서의 변경과 수정을 요할 것 - 제조, 조립, 시험단계에서의 확립된 고장의 정보 피드백 시스템을 유지할 것 - 바람직한 운용 안전성 레벨의 유지를 보증하기 위하여 시스템 안전의 실증과 검사를 할 것 사고와 그 유발사고를 조사하고 분석할 것 - 위험상태의 재발방지를 위해 적절한 개량조치를 강구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효율성 검토와 시스템 안전과는 서로 트레이드 오프 관계이다.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기사합격!!!]
30.
인체측정치의 응용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조절식 설계
2.
극단치 설계
3.
평균치 설계
4.
다차원식 설계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인체 측정치 응용원리 (조절식 -> 극단치 -> 평균치) 조절식 설계 : 제일 먼저 고려해야 할 개념 극단치 설계 : 극단에 속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면 모든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경우 평균치 설계 : 다른 기준이 적용되기 어려운 경우 마지막으로 적용되는 기준 [해설작성자 : 일만시간]
인체 계측 자료의 응용원칙 1. 최대 치수와 최소 치수 (극단치 설계) 2. 조절식 설계 (5 % ~ 95 %) 3.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설계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3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의 심사 결과에 따른 구분ㆍ판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문제 해설> 작업공간 설계에 있어 "접근제한 요건" 은 반드시 거리 확보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마중물]
36.
인간의 에러 중 불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기인한 에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Omission error
2.
Sequential error
3.
Extraneous error
4.
Commission error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omission error : 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를 수행하지 않음 commission error : 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의 불확실한 수행 time error : 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의 수행 지연 sequential error : 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의 순서 잘못 이해 extraneous error : 불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를 수행 [해설작성자 : 쿠라니]
37.
FTA(Fault tree analysis)의 기호 중 다음의 사상기호에 적합한 각각의 명칭은?
1.
전이기호와 통상사상
2.
통상사상과 생략사상
3.
통상사상과 전이기호
4.
생략사상과 전이기호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기본 사상기호 - 동그라미 생략 사상기호 - 다이아몬드(문제 그림 참고) 통상 사상기호 - (문제 왼쪽 그림 참고) 결함 사상기호 - 직사각형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1. 수관과 본체의 청소 불량 2. 관수 부족 시 보일러 가동 3. 수면계 고장으로 드럼 내 물의 감소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46.
크레인에서 일반적인 권상용 와이어로프 및 권상용 체인의 안전율 기준은?
1.
10 이상
2.
2.7 이상
3.
4 이상
4.
5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는 달기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의 경우: 10이상 2.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한는 달기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의 경우: 5 이상 3.훅,샤클,리프팅 빔의 경우: 3 이상 4.그 밖의 경우: 4 이상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와이어로프의 안전율 권상용 와이어로프 및 체인, 지브의 기복용 와이어로프 및 케이블, 크레인의 주행용 와이어로프 : 5.0 지브의 지지용 와이어로프, 가이로프 및 고정용 와이어로프 : 4.0 케이블 크레인의 메인 로프, 레일로프 : 2.7 [해설작성자 : 김한성]
47.
컨베이어에 사용되는 방호장치와 그 목적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운전 중인 컨베이어 등의 위로 넘어가고자 할 때를 위하여 급정지장치를 설치한다.
2.
근로자의 신체 일부가 말려들 위험이 있을 때 이를 즉시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한다.
3.
정전, 전압강하 등에 따른 화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 및 역주행 방지장치를 설치한다.
4.
낙하물에 의한 위험 방지를 위한 덮개 또는 울을 설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번은 건널다리에 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나뿡맨]
48.
연삭숫돌의 지름이 20cm이고, 원주속도가 250m/min일 때 연삭숫돌의 회전수는 약 몇 rpm인가?
척 가드의 폭은 공작물의 가공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척 전체 길이를 방호할 수 있을 것
2.
척 가드의 개방 시 스핀들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연동회로를 구성할 것
3.
전면 칩 가드의 폭은 새들 폭 이하로 설치할 것
4.
전면 칩 가드는 심압대가 베드 끝단부에 위치하고 있고 공작물 고정 장치에서 심압대까지 가드를 연장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부착위치를 조정할 수 있을 것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전면 칩 가드의 폭은 새들 폭 이상일 것 [해설작성자 : 누누]
50.
다음 중 용접부에 발생한 미세균열, 용입부족, 융합불량의 검출에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 검사
2.
침투탐상 검사
3.
자분탐상 검사
4.
초음파탐상 검사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초음파 탐상법의 특징 ① 면상 결함 검출 등이 우수, X-선 검사로 탐상하기 불가능한 대형 강재에도 응용된다. ② 초음파 파장은 검출 가능한 결함의 크기 와 전파능력은 파장에 의해 지배된다.
[장점] ① 투과력 우수, 미세한 결함에 대한 감도↑ ② 내부 결함 위치, 크기, 방향을 어느 정도 정확이 측정할 수 있다. ③ 단지 한 면에서 탐상이 가능하며, 검사 결과를 브라운관을 통해 즉시 알 수 있 다. ④ 이동성이 양호, 균열 등 면상 결함의 검 출 능력이 RT보다 훨씬 탁월 [해설작성자 : 오미리]
5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계는?
1.
선반
2.
호방 머신
3.
연삭기
4.
밀링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밀링 작업 시 안전대책 1. 밀링 작업에서 생기는 칩은 가늘고 예리해 부상 확률이 높으므로 보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2. 칩은 기계를 정지시킨 다음 브러쉬로 제거한다. 3. 강력 절삭을 할 때에는 일감을 바이스에 깊게 물린다. 4. 급속이송은 백래시 제거장치가 동작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한 다음에 행동한다.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chip이 가늘고 예리하다 -> 밀링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52.
취성재료의 극한강도가 128MPa이며, 허용응력이 64MPa일 경우 안전계수는?
1.
1
2.
2
3.
4
4.
1/2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극한강도/허용응력 [해설작성자 : 신중환]
53.
프레스기에 금형 설치 및 조정 작업 시 준수 하여야 할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1.
금형을 부착하기 전에 하사점을 확인한다.
2.
금형의 체결은 올바른 치공구를 사용하고 균등하게 체결한다.
3.
금형은 하형부터 잡고 무거운 금형의 받침은 인력으로 하지 않는다.
4.
슬라이드의 불시하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블록을 제거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4.프레스 슬라이드가 하강해서 찡기면 사망... [해설작성자 : 뿌리뉴워]
54.
컨베이어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브레이크 및 클러치 기능의 이상 유무
2.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3.
이탈 등의 방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4.
원동기 및 풀리 기능의 이상 유무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컨베이어등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제2편제1장제11절) 가. 원동기 및 풀리(pulley) 기능의 이상 유무
나. 이탈 등의 방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다.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라. 원동기ㆍ회전축ㆍ기어 및 풀리 등의 덮개 또는 울 등의 이상 유무 [해설작성자 : 예띠]
1번 브레이크 및 클러치 기능의 이상 유무는 프레스 작업시작 전 점검 [해설작성자 : ㅅㅇㅎ]
55.
크레인의 방호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권과방지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크레인에 대해서는 권상용 와이어로프에 위험표시를 하고 경보장치를 설치하는 등 권상용 와이어로프가 지나치게 감겨서 근로자가 위험해질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2.
운반물의 중량이 초과되지 않도록 과부하방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3.
크레인을 필요한 상황에서는 저속으로 중지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장치와 충돌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장치를 설치한다.
4.
작업 중에 이상발견 또는 긴급히 정지시켜야 할 경우에는 비상정지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브레이크장치는 크레인을 필요한 상황에서는 정격속도에서 중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홀트킹]
충돌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장치를 설치한다는 승강기에 해당하는 방호장치 [해설작성자 : Jack]
완충장치는 승강기에 필요한 방호장치이고 충돌방지장치는 크레인의 방호장치입니다. ****문제는 함정으로 수험생들을 혼란 유도 또는 혼동에 빠지게 한 것임 (함정입니다) 크레인은 충돌방지장치입니다. 시험 치는 날 문제를 건성으로 읽거나 덜 읽거나 임의 해석에 주의해야 합니다. 하나의 해석에 두개의 예을 말하는 경우 거의 틀릴 확률이 많은 이유-->꼬아서 출제 내기가 쉽거든요 [해설작성자 : 허찬]
크레인을 필요한 상황에서는 저속으로 중지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장치 가아닌 고속으로 중지시킬수 있어야한다. 고속과 저속의 구분을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오이맛고구마]
56.
프레스의 작업 시작 전 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
1.
권과방지장치 및 그 밖의 경보장치의 기능
2.
슬라이드 또는 칼날에 의한 위험방지 기구의 기능
3.
프레스기의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4.
전단기의 칼날 및 테이블의 상태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권과방지장치는 크레인,리프트 에 설치되는 안전장치 [해설작성자 : 어훌러어훌러]
57.
보일러에서 압력방출장치가 2개 설치된 경우 최고 사용압력이 1MPa일 때 압력방출장치의 설정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2개 모두 1.1MPa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설정하였다.
2.
하나는 1MPa 이하에서 작동되고 나머지는 1.1MPa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설정하였다.
3.
하나는 1MPa 이하에서 작동되고 나머지는 1.05MPa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설정하였다.
4.
2개 모두 1.05MPa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설정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보일러의 안전한 가동을 위하여 보일러 규격에 맞는 압력방출장치가 2개이상 설치된 경우에 최고사용압력 이하에서 1개가 작동되고, 다른 압력방출장치는 최고사용압력의 1.05배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쿠라니]
58.
다음 중 롤러기에 설치하여야 할 방호장치는?
1.
반발예방장치
2.
급정지장치
3.
접촉예방장치
4.
파열판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제2절 안전기준 제22조(방호장치) 로울러기에는 다음 각 호의 방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1. 급정지장치 2. 안전캡 [해설작성자 : 예띠]
[오류신고 반론] Fail Safe : 기계가 고장났을 경우 그대로 폭주해서 사고, 재해로 연결되는 일이 없이 안전을 확보하는 기구 Fail Safe는 기능면에서 다음 3단계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1단계 Fail - Passive 부품이 고장나면 통상기계는 정지하는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2단계 Fail - Active 부품이 고장나면 기계는 경보를 울리는 가운데 짧은 시간 동안의 운전이 가능합니다. 3단계 Fail - Operational 부품이 고장이 있어도 기계는 추후 보수가 될 때까지 안전한 기능을 유지합니다. [해설작성자 : 일만시간]
[오류신고 반론] 페일 세이프는 기계가 문제를 일으켰을때. 풀 프루프는 인간에 의한 문제일때 [해설작성자 : ㄱ]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인체의 손과 발사이에 과도전류를 인가한 경우에 파두장 700μs에 따른 전류파고치의 최대값은 약 몇 mA 이하 인가?
<문제 해설> 단로기(Disconnecting Switch) : 개폐기의 일종으로 수용가 구내 인입구에 설치하여 무부하 상태의 선로를 개폐하는 역할. [해설작성자 : 쿠라니]
단로기: 선로로부터 기기를 분리하거나 변경할 때 사용하는 개폐장치로, 부하 전류의 개폐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즉, 무부하시 상태에서만 전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합니다. 단로기: Disconnecting Switch(DS)라고도 불리며, 차단기와 함께 사용되어 전력계통에서 안전하게 작업하거나 정비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단로기는 눈으로 회로의 개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김툴툴]
66.
전격의 위험을 결정하는 주된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통전전류
2.
통전시간
3.
통전경로
4.
통전전압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차적 감전위험요소 및 영향력 통전전류크기 > 통전시간 > 통전경로 > 전원의 종류(직류보다 교류가 더 위험)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전압은 정전기이므로 처음에는 강한 전기가 발생하지만 후에 인체없는 영향없음 [해설작성자 : 필기는 할만해]
67.
감전되어 사망하는 주된 메커니즘으로 틀린 것은?
1.
심장부에 전류가 흘러 심실세동이 발생하여 혈액순환기능이 상실되어 일어난 것
2.
흉골에 전류가 흘러 혈압이 약해져 뇌에 산소 공급기능이 정지되어 일어난 것
3.
뇌의 호흡중추 신경에 전류가 흘러 호흡기능이 정지되어 일어난 것
4.
흉부에 전류가 흘러 흉부수축에 의한 질식으로 일어난 것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심실세동 - 혈액순환기능 상실 호흡중추 신경마비 - 호흡중지 흉부수축 - 질식 전격이 강하여 동맥절단 - 과다출혈 열 - 고열에 의한 화상 [해설작성자 : 행복한 재호이]
68.
다음은 전기안전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을 기술한 것이다. 옳게 설명된 것은?(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적용됨)
1.
200V 동력용 전동기의 외함에 접지공사를 하였다.
2.
배선에 사용할 전선의 굵기를 허용전류, 기계적강도, 전압강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3.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피뢰침 설비를 설치하였다.
4.
전선 접속시 전선의 세기가 30% 이상 감소되었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400 V 동력용 전동기의 외함에 특별 제3종 접지공사 3.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누전차단기 설치 4. 전선 접속시 전선의 세기가 20%이상 감소 [해설작성자 : 쿠라니]
1. 특별 제 3정 공사를 제 3종 접지공사로 바꾸어야 함 특별 제 3종 400v이상 제 3종 400v 이하 [해설작성자 : 아재퐈]
[관리자 입니다. 2021년 개정된 KEC 규정에서 종별 접지 자체는 규정이 폐지 되었습니다. 따라서 1번 보기를 기존 특별 3종 접지공사에서 접지공사로 변경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9.
정격사용률이 30%, 정격2차전류가 300A인 교류아크 용접기를 200A로 사용하는 경우의 허용사용률(%)은?
<문제 해설> 2. 절연용접봉을 사용하면 전기가 흐르지 않아 용접이 불가능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크용접 작업 시 감전사고 방지대책 1. 절연 장갑의 사용 2. 자동전격방지장치의 사용 3. 적정한 케이블의 사용 4. 절연 용접봉의 홀더의 사용 [해설작성자 : 루피]
72.
인체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체저항은 접촉면적에 따라 변한다.
2.
피부저항은 물에 젖어 있는 경우 건조시의 약 1/12로 저하된다.
3.
인체저항은 한 개의 단일 저항체로 보아 최악의 상태를 적용한다.
4.
인체에 전압이 인가되면 체내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격의 정도를 결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 피부가 물에 젖어 있을 경우 1/25로 저항률 저하 (피부에 땀이 있을 경우 1/12 ~ 1/20로 저항률 저하) [해설작성자 : 얍줌마]
일반적으로 피부저항은 피부에 땀이 나 있는 경우는 건조시의 약1/12~1/20, 물에 젖어 있을 경우는 1/25로 저하된다. [해설작성자 : 루처]
73.
저압방폭전기의 배관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선관용 부속품은 방폭구조에 정한 것을 사용한다.
2.
전선관용 부속품은 유효 접속면의 깊이를 5mm 이상 되도록 한다.
3.
배선에서 케이블의 표면온도가 대상하는 발화온도에 충분한 여유가 있도록 한다.
4.
가요성 피팅(Fitting)은 방폭 구조를 이용하되 내측 반경을 5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오류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정답을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2, 4번 2번 5mm - > 5산 4번 내측반경 -> 외측반경
[오류신고 반론] 2,4번 이라고 나와있는데 제가 참고중인 교재에는 제4항의 가요전선관 공사시에는 구부림 내측반경은 가요전선관 외경의 5배이상으로 하여 비틀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라고 나와 있어서 내측 반경을 << 이라는 부분에 문제가 없어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차지노]
[오류신고 반론] 5산은 나사부의 깊이 5산을 말합니다 [해설작성자 : 옥련데드]
[오류신고 반론] 답은 2번이 맞고 전선관용 부속품은 관용 평형나사를 사용하며 5산 이상 결합되도록 한다. <<<<<< 이게 마즘. [해설작성자 : 공부자(황)]
74.
Freiberger가 제시한 인체의 전기적 등가회로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단, 단위는 다음과 같다. 단위: R(Ω), L(H), C(F))
<문제 해설> 전동기용 퓨즈는 전동기 보호용으로 적합한 특성을 가진 퓨즈로 회로에 흐르는 과전류를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마중물]
76.
누전으로 인한 화재의 3요소에 대한 요건이 아닌 것은?
1.
접속점
2.
출화점
3.
누전점
4.
접지점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누전으로 인한 화재의 3요소 누전점, 발화점(출화점), 접지점
77.
교류아크 용접기의 자동전격 방지장치란 용접기의 2차전압을 25V 이하로 자동조절하여 안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다음 사항 중 어떤 시점에서 그 기능이 발휘 되어야 하는가?
1.
전체 작업시간 동안
2.
아크를 발생시킬 때만
3.
용접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동안만
4.
용접작업 중단 직후부터 다음 아크 발생 시 까지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자동전격방지장치 ① 용접작업 1초 이내 정지하는 순간 자동적으로 접촉하여도 감전재해가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 용접봉 홀더의 출력측 2차전압을 25V 이하로 저하시키는 장치 ② "용접작업을 정지하는 순간에 작동하여 다음 아크 발생 시까지 기능한다." ③ 주회로를 제어하는 장치와 보조변압기로 구성된다 [해설작성자 : 해기]
78.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곳은?
1.
기계기구를 건조한 장소에 시설한 경우
2.
대지전압이 220V에서 기계기구를 물기가 없는 장소에 시설한 경우
3.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2중 절연구조의 기계기구
4.
전원측에 절연변압기(2차 전압이 300V 이하)를 시설한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가반형 전동기기는 누전차단기를 설치 해야함 [해설작성자 : 얍줌마]
<문제 해설> 체크밸브 - 유체 방향이 반대가 되면, 시트링이 닫혀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 [해설작성자 : 쿠라니]
체크밸브 : 유체를 한쪽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밸브 게이트밸브 :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밸브 대기밸브 : ?? 글로브 밸브 : 유체의 흐름의 양을 조절할수 있는 밸브 볼 밸브 : 유체의 흐름을 신속하게 개폐할수 있는 밸브 (집안에서 쓰는 가스 차단 밸브) [해설작성자 : 나다]
공사현장에서 가설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높이가 3m를 초과하는 계단에는 높이 3m 이내마다 최소 얼마 이상의 너비(길이)를 가진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5m
2.
2.5m
3.
1.2m
4.
1.0m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계단의 설치 계단의 강도 -계단 및 계단참의 강도는 500kg/m2이상이어야 하며 안전율은 4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계단의 폭은 1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높이가 3m를 초과하는 계단에는 높이 3m 이내마다 너비 1.2미터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2미터 이내의 공간에 장애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높이 1미터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문제 너비->길이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이 23년 11월 개정되어 '높이가 3미터를 초과하는 계단에 높이 3미터 이내마다 진행방향으로 길이 1.2미터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 변경되었습니다 너비에서 길이로 표현만 바뀌었어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5.
터널 지보공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미리 그 구조를 검토한 후 조립도를 작성하고, 그 조립도에 따라 조립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 조립도에 명시하여야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이음방법
2.
단면규격
3.
재료의 재질
4.
재료의 구입처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터널 지보공 조립도 명시사항 4가지 ① 이음방법 ② 단면규격 ③ 재료의 재질 ④ 설치간격 [해설작성자 : noul]
106.
강관비계를 조립할 때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띠장간격은 2m 이하로 설치하되, 첫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3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2.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 1.5m 이상 1.8m 이하로 할 것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띠장간격은 1.5m 이하로 설치하되, 첫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얍줌마]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 1.5m 이상 1.8m 이하로 할 것 -> 1.85 m 이내 띠장간격 첫단2m이하 그외 1.5m 이하 -> 첫단&그외 2m 이하 20년 개정 됬습니다 [해설작성자 : 씅워이]
1. 비계기둥 간격 : 띠자방향에서는 1.85m 이하, 장선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다만,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의 경우 안전성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하고 조립도를 작성하면 띠장 뱡향 및 장선 방향으로 각각 2.7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107.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 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미리 정하지 않아도 되는 차량계 건설기계는 최대 제한속도가 최대 시속 얼마이하인 것을 의미하는가?
1.
5 km/hr 이하
2.
10 km/hr 이하
3.
15 km/hr 이하
4.
20 km/hr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차량계 건설기계의 최대제한 속도 : 10km/hr 이하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108.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다른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ㆍ기구에 설치하여야 할 방호장치를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 해설> [보일링 방지대책] 1. Filter 및 차수벽 설치 2. 흙막이 근입깊이를 깊게(불투수층까지) 3. 약액주입 등의 굴착면 고결 4. 지하수위저하 5. 압성토공법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배수공법,차수공법으로 지하수위를 낮춰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노잼 산안기]
111.
철골구조의 앵커볼트매립과 관련된 준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둥중심은 기준선 및 인접기둥의 중심에서 3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2.
앵커 볼트는 매립 후에 수정하지 않도록 설치할 것
3.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은 기준 높이 및 인접기둥의 높이에서 3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4.
앵커 볼트는 기둥중심에서 2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정답 : [
1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1. 기둥중심은 기준선 및 인접기둥의 중심에서 5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해설작성자 : 얍줌마]
112.
토사붕괴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흙막기 지보공설비를 구성하는 부재와 거리가 먼 것은?
1.
말뚝
2.
버팀대
3.
띠장
4.
턴버클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지지막대나 지지 와이어 로프 등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기구. 철골 구조나 목조의 현장 조립 등에서 다시 세우기나 철근 가새 등에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턴버클: 두 점 사이에 연결된 지지막대, 와이어 등을 죄는 데 사용하는 죔 기구 [해설작성자 : 해내보자 안전기사자격증]
113.
옥외에 설치되어 있는 주행크레인에 대하여 이탈방지장치를 작동시키는 등 이탈 방지를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하는 풍속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순간풍속이 20m/sec를 초과할 때
2.
순간풍속이 25m/sec를 초과할 때
3.
순간풍속이 30m/sec를 초과할 때
4.
순간풍속이 35m/sec를 초과할 때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0초과:설치,수리,점검,해체작업 중지 15초과:운전작업 중지 30초과위험:옥외설치 주행크레인의 이탈방지조치 30초과이후 또는 중진이상 지진이후:옥외 양중기 각 부위 이상점검 35초과:옥외승강기, 건설작업용리프트에 대해 받침의 수를 증가시키는 등의 도괴 및 붕괴 방지조치 [해설작성자 : 원]
114.
비계(달비계, 달대비계 및 말비계는 제외)의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 설치하는 작업방판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발판의 폭이 40cm 이상이 되도록 한다.
2.
발판재료 간의 틈은 3cm 이하로 한다.
3.
작업발판을 작업에 따라 이동시킬 경우에는 위험 방지에 필요한 조치를 한다.
4.
작업발판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둘 이상 지지물 [해설작성자 : 밍재]
115.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등에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이 아닌 것은?
1.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적재할 것
2.
구내운반차 또는 화물자동차의 경우 화물의 붕괴 또는 낙하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물에 로프를 거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3.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화물을 적재할 것
4.
차륜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차륜의 이상 유무는 지게차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입니다. [해설작성자 : 출저에듀윌]
116.
이동식 비계를 조립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몇 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가?
1.
150kg
2.
200kg
3.
250kg
4.
300kg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이동식 비계 작업 발판의 최대 적대하중 :250kg [해설작성자 : 아줌마합격]
117.
취급ㆍ운반의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속운반을 할 것
2.
생산을 최고로 하는 운반을 생각할 것
3.
운반작업을 집중하여 시킬 것
4.
곡선운반을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이동되는 운반은 직선으로 할 것. 연운반이 되도록 할 것 극한까지 수작업을 없애는 운반일 것 생산을 최고로 하는 운반을 생각할 것 취급 운반 작업을 집중화 할 것 [해설작성자 : 쿠라니]
118.
건설현장에서 작업 중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우려가 있는 경우에 대한 안전조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직보호망 설치
2.
방호선반 설치
3.
울타리설치
4.
낙하물 방지망 설치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낙하.비래 방지대책 ①낙하물 방지망 설치 ②수직보호망 설치 ③방호선반 설치 ③출입급지구역 설정 ⑤보호구 착용 [해설작성자 : noul]
울타리설치는 “사람” 의 추락에 대한 안전조치 [해설작성자 : 오전4시52분]
119.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해야 할 건설공사 대상 사업장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대 지간길이가 40m 이상인 교량건설 등의 공사
2.
지상높이가 31m 이상인 건축물
3.
터널 건설등의 공사
4.
깊이 10m 이상인 굴착공사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최대 지간길이가 50m이상인 교량건설공사 [해설작성자 : 운몽이]
120.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동바리의 구조검토 시 가장 선행되어야 할 작업은?
1.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에 대하여 안전한 단면을 산정한다.
2.
가설물에 작용하는 하중 및 외력의 종류, 크기를 산정한다.
3.
하중ㆍ외력에 의하여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을 구한다.
4.
사용할 거푸집 동바리의 설치간격을 결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구조검토 순서 2, 3, 1, 4 [해설작성자 : otalee]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순서 2,1,3,4 [해설작성자 : (]
[오류신고 반론] 2 3 1 4
[오류신고 반론]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을 구한후(3번) ㅡ> 응력에 대한 안전한 단면을 산출함(1번) [해설작성자 : 사난기]
[오류신고 반론]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동바리의 최우선 구조 검토사항. 제 1단계 : 가설물에 작용하는 하중 및 외력의 종류, 크기를 산정한다. 제 2단계 : 하중. 외력에 의하여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을 구한다. 제 3단계 :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에 대하여 안전한 단면을 산정한다 제 4단계 : 사용할 거푸집 동바리의 설치간격을 측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