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P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의 기본 요소 중 설계변경 사항, 자재변경사항, 생산가공순서 등의 제품 구성자료정보를 나타내는 것은?
1.
종합생산계획(MPS)
2.
자재명세서(BOM)
3.
재고기록철(IRF)
4.
생산계획(PP)
정답 : [
2
] 정답률 : 60%
56.
체계적 워크샘플링(systematic work sampling)을 쓰기가 곤란한 경우는?
1.
작업에 주기성이 없는 경우
2.
작업시간의 산포가 클 경우
3.
관측간격이 주기의 정수배일 경우
4.
관측간격이 작업요소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워크샘플링 (ws법) - 비반복적 작업과 그룹 작업에 효과적 - 다수의 작업자에 대한 동시 관측 - 긴 사이클 타임 작업에 효과적
#체계적 워크샘플링 - 균등간격으로 관측하며, 주기가 있으면 적용이 곤란하다.
=> 즉, 보기 3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니 실수다 이거야]
57.
공정별 배치의 장점을 기술한 내용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수요변화, 제품변경 등에 대한 유연성이 크다.
2.
한 공정의 영향이 전 공정에 대해 적게 미친다.
3.
다양한 작업으로 직무만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4.
단위당 생산시간이 짧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58.
다음은 무엇을 설명하는 것인가?
1.
공정계획
2.
공수계획
3.
일정계획
4.
진도계획
정답 : [
3
] 정답률 : 74%
59.
작업우선순위 결정법으로 긴급율(Critical Ratio : CR) 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R=잔여납기일수/잔여작업일수
2.
CR=1.0을 기준으로 해서 작업우선순위의 높낮이가 결정된다.
3.
CR은 음의 값이 나올 수 없다.
4.
CR은 1976년 “American Production Inventory Control Society"에서 발표한 기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39%
60.
철근을 생산, 판매하고 있는 K철강의 2003년 10월 판매 예측치는 150,000톤이고, 실적치는 135,000톤이었다. 지수평활법에 의하여 11월의 판매예측치를 구하면? (단, α=0.5 이다)
1.
82,500톤
2.
142,500톤
3.
218,250톤
4.
225,000톤
정답 : [
2
] 정답률 : 70%
61.
10개의 제품을 모두 고장이 날 때 까지 시험하였다. 6번째 고장시간에 대한 중앙순위(median rank)는?
1.
40%
2.
45%
3.
55%
4.
60%
정답 : [
3
] 정답률 : 72%
62.
고장률이 각각 λ1, λ2, λ3 인 부품 3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시스템의 고장률은?
1.
λ1·λ2·λ3
2.
λ1+λ2+λ3
3.
1-(λ1·λ2·λ3)
4.
1-(1-λ1)(1-λ2)(1-λ3)
정답 : [
2
] 정답률 : 61%
63.
시스템의 MTBF를 두 배로 늘리기 위해서는 몇 개 이상의 동일부품을 병렬로 연결해야 하는가? (단, 부품의 수명은 지수분포를 따른다.)
1.
2
2.
3
3.
4
4.
6
정답 : [
3
] 정답률 : 66%
64.
그림과 같은 신뢰성 블록도를 갖는 시스템의 MTTF는 얼마인가? (단, 모든 부품의 MTBF는 104 시간이다.)
1.
2×104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44%
65.
아이템이 규정된 신뢰성 및 보전성을 요구조건 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운용기법 및 활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신뢰성 평가
2.
신뢰성보증
3.
신뢰성통제
4.
신뢰성프로그램
정답 : [
3
] 정답률 : 26%
66.
각종 보전시간을 분류할 때 고장수리 회복시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리시간
2.
교체시간
3.
대체시간
4.
제 운전 서비스 시간
정답 : [
4
] 정답률 : 67%
67.
표와 같은 수명 테스트 자료에서 구간 20 ~ 30에서의 고장률은 얼마인가?
1.
0.33×10-1
2.
0.35×10-1
3.
0.37×10-1
4.
0.39×10-1
정답 : [
2
] 정답률 : 48%
68.
고장확률 밀도함수가 지수분포에 따르는 제품의 샘플 15개를 5개가 고장날 때까지 교체없이 시험하고 관측된 고장시간 데이터는 17.5, 18.8, 21.0, 31.0, 42.3 시간이다. 평균수명의 점 추정치는?
1.
55.4 시간
2.
84.6 시간
3.
110.7 시간
4.
130.6 시간
정답 : [
3
] 정답률 : 63%
69.
FMEA 용지에 반드시 들어가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고장원인/메커니즘
2.
고장모드
3.
부품의 기능
4.
고장률
정답 : [
4
] 정답률 : 53%
70.
AGREE란 무엇을 말하는가?
1.
전파연구소
2.
전자기기 신뢰성 자문위원회
3.
미사일 신뢰성 조사위원회
4.
전자관 개발부
정답 : [
2
] 정답률 : 72%
71.
어떤 제품의 고장확률밀도함수는 평균고장률이 10-3/시간인 지수분포에 따르고 있다. 이 제품을 1,000시간 사용한 경우의 신뢰도는 얼마인가?
1.
0.37
2.
0.52
3.
0.63
4.
1.00
정답 : [
1
] 정답률 : 70%
72.
부품을 가속온도 100℃에서 수명시험을 하고 얻은 고장시간 데이터에 의거 추정한 평균수명이 1,500시간이다. 이부품의 정상 사용온도는 50℃이고, 이 두 온도간의 가속계수 가 32일 때 정상사용 조건에서의 평균수명은 몇 시간인가?
1.
3,000
2.
4,800
3.
48,000
4.
60,000
정답 : [
3
] 정답률 : 59%
73.
어떤 제품에 대하여 MTBF를 추정하기 위하여 n=50개의 제품의 수명을 정시마감 t0=100일을 정하여 놓고 관측하였더니 총 고장수는 10개이고, 총 동작시간은 4,500시간 이었다. 신뢰수준 90%로 양측 검정에 의한 MTBF의 신뢰구간을 추정하면? (단, , , , )
1.
(265.3, 829.5)
2.
(286.5, 729.3)
3.
(286.5, 829.5)
4.
(265.3, 729.3)
정답 : [
1
] 정답률 : 42%
74.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간섭이론에서는 스트레스와 강도의 평균 및 산포에 대한 시간적 변화를 고려하여 고장 확률을 구한다.
2.
고장해석이란 고장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다.
3.
고장해석에는 FMEA와 FTA가 효과적이다.
4.
제품을 소형화, 고밀도화 하면 중량도 적어지고 고장도 적어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75.
지수분포를 따르는 수리계 시스템의 고장률은 0.02/시간이고, 이 시스템의 평균수리시간(MTTR)이 30시간이라면, 이 기기의 유용성(Availability)은?
1.
74.2%
2.
62.5%
3.
48.8%
4.
37.5%
정답 : [
2
] 정답률 : 61%
76.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설계의 요점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사용하는 부품의 종류를 줄인다.
2.
스트레스를 집중시킨다.
3.
부품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경감시킨다.
4.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갖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77.
신뢰성 시험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비파괴시험인 경우가 많다.
2.
대체로 시간이 오래 걸린다.
3.
개발 단계에서는 시작품을 사용하므로 샘플 수는 제한 받지 않는다.
4.
시험은 반드시 모든 샘플이 고장 날 때 까지 실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78.
그림과 같은 고장수목에서 정상사상의 발생확률은 얼마인가? (단, 모든 사상의 발생확률은 0.1이다.)
1.
0.8821
2.
0.0036
3.
0.0987
4.
0.0324
정답 : [
2
] 정답률 : 70%
79.
번인 (burn-in) 시험의 목적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초기고장의 감소
2.
고장률의 확인
3.
우발고장의 감소
4.
마모고장의 감소
정답 : [
1
] 정답률 : 78%
80.
제품의 고장시간은 와이블분포를 따르고 형상모수의 값이 0.5라고 한다. 제품의 평균수명이 100시간 이라면 50시간에서의 신뢰도는? (단, m=0.5 일 때 , 위치모수 r=0 이다.)
1.
0.37
2.
0.50
3.
0.57
4.
0.63
정답 : [
1
] 정답률 : 46%
81.
고객의 요구와 기대를 규명하고 이들을 설계 및 생산 사이클을 통하여 목적과 수단의 계열에 따라 계통적으로 전개되는 포괄적인 계획화 과정은?
1.
VE
2.
QFD
3.
FMEA
4.
QA
정답 : [
2
] 정답률 : 60%
82.
품질방침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사항 중 틀린 것은?
1.
제품의 판매대상
2.
품질 리더십의 정도
3.
이익 실현 정도
4.
제품 전략의 중점
정답 : [
3
] 정답률 : 68%
83.
표준화에 의한 이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균일한 제품의 염가제공
2.
경제적 생산의 실현
3.
상거래의 단순화 및 공정화 실현
4.
고객요구사항의 즉각적인 수용
정답 : [
4
] 정답률 : 70%
84.
수치맺음법에 의하여 1.2501를 유효 숫자 두자리에서 처리하면?
1.
1.3
2.
1.25
3.
1.2
4.
1.250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품질관리를 위한 데이터의 처리시에는 일반적으로 많은 실험치, 측정치, 계산치를 취급하는데 그런 수치들은 대개 적당한 자리수만을 남기고 끝수는 잘라버리거나 또는 끝올림을 한다. 그런데 남겨야 할 자리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특성, 성능 등을 나타내는 데 필요한 精度와 측정 가능한 정도의 양쪽을 고려해야 한다.
수치의 끝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단순처리에 의한 오차를 될 수 있는 대로 줄일 수 있는 처리방법이 KS A 0021(수치의 맺음법)에 규정되어 있다.
어떤 수치를 유효수자 n자리의 수치로, 또는 소수점 이하 n자리까지 처리할 경우, (n+1)자리수 이하의 수치는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① (n+1)자리수의 숫자가 5미만일 때는 버리고, 5를 넘을 때는 끝올림을 한다.
② (n+1)자리수의 숫자가 5일 경우
㉮ 5다음에 숫자가 없든가 혹은 전부 0일 때는 n자리수의 수자가 0, 2, 4, 6, 8이면 버리고, 1, 3, 5, 7, 9이면 끝올림을 한다.
㉯ 5의 다음에 수자가 계속될 겻우에는 끝올림을 한다.
㉰ (n+1)자리수의 숫자가 5라고 하더라도 (n+1)자리수 이하의 숫자가 끝수가 처리된 것임을(요약된 것임을) 알고 있을 경우는 ①의 방법에 의해 처리한다.
이 처리방법은 숫자의 처리에 의한 오차를 될 수 있는 대로 줄이려는 것이므로 그 값을 끝올림한 값과 잘라버린 값 가운데 가까운 쪽의 값을 취하는 방법이다. 그 값이 5와 같을 때는 끝올림을 하거나 잘라버리거나 그 오차는 같다. 따라서 그런 경우는 앞의 숫자가 짝수일 때는 버리고 홀수일 때는 끝올림하여 버리는 경우와 끝올림하는 경우를 같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끝수의 처리방법은「四捨五入法」보다는 오차가 줄어져 보다 정확한 값을 얻게 된다. [해설작성자 : 스마일천사]
85.
Single PPM 세부 추진 내용 중에서 Master Plan 작성, CTQ 선정, 분위기 조성 등은 어떤 단계에서 추진하는가?
1.
S단계 (Scope)
2.
I단계 (Illumination)
3.
N단계 (Nonconformity Analysis)
4.
G단계 (Goal)
정답 : [
1
] 정답률 : 42%
86.
품질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고려해야 하는 TQM의 실천원칙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고객에 초점을 둔다.
2.
결과 뿐 아니라 과정도 중시한다.
3.
예방보다는 검사에 치중한다.
4.
사실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87.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목적과 수단의 계열을 계통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최적의 수단을 탐구하는 방법이다. 즉 문제의 영향을 미치는 원인은 밝혀졌지만 이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나 방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는 기법은?
1.
계통도
2.
연관도
3.
친화도
4.
PDPC
정답 : [
1
] 정답률 : 60%
88.
품질코스트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품질코스트에는 직접노무비와 재료비도 포함된다.
2.
품질코스트는 요구된 설계품질을 실현하기 위한 원가라 할 수 있다.
3.
평가코스트와 예방코스트가 실패코스트보다 크면 QC활동의 성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4.
고객에 대한 불만처리에 필요한 비용은 평가코스트에 속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0%
89.
품질은 주관적 특성과 객관적 특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중 주관적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에 대한 적합성
2.
안전성
3.
소유의 우월감
4.
신뢰성
정답 : [
4
] 정답률 : 60%
90.
계측 목적에 의한 분류 중 관리계측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환경 조건에 관한 계측
2.
자재, 에너지에 관한 계측
3.
생산 능률에 관한 계측
4.
시험, 연구를 위한 계측
정답 : [
4
] 정답률 : 74%
91.
다음 중에서 품질보증부문의 임무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내용은?
1.
고객요구를 최대로 만족시키는 품질설계
2.
부적합품의 발생억제를 위한 공정관리
3.
부적합품 출하방지를 위한 공정관리
4.
각 부서의 품질보증활동의 종합조정통제
정답 : [
4
] 정답률 : 52%
92.
ISO 9000 : 2000 품질경영시스템 규격의 기초가 되는 품질경영원칙이 아닌 것은?
1.
고객중심
2.
리더십
3.
종합조정
4.
지속적인 개선
정답 : [
3
] 정답률 : 72%
93.
제조부문에서 작업표준의 설정이나 유지 등의 작업관리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공정능력 정보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검사능력
2.
관리능력
3.
단기공정능력
4.
장기공정능력
정답 : [
4
] 정답률 : 35%
94.
돗수분포표는 자료를 정리하는 방법으로써 자료들의 흩어진 모양이나 중심을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돗수분포표는 수집된 자료 개개치들을 나타낼 수 없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한 자료정리 도구는 무엇인가?
1.
특성요인도
2.
파레토도
3.
줄기-잎-그림
4.
레이더 그래프
정답 : [
3
] 정답률 : 52%
95.
사내표준화 규격을 규격대상에 의해 분류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본규격
2.
방법규격
3.
잠정규격
4.
제품규격
정답 : [
3
] 정답률 : 60%
96.
다음 문장의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1.
① PLD ② PLP
2.
① QC ② QA
3.
① PL ② PLP
4.
① TQC ② PLD
정답 : [
3
] 정답률 : 74%
97.
두께가 3±0.002mm인 4개의 부품을 임의 조립 방법에 의해 겹쳐서 조립할 경우 조립공차는?
MRP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의 기본 요소 중 설계변경 사항, 자재변경사항, 생산가공순서 등의 제품 구성자료정보를 나타내는 것은?
1.
종합생산계획(MPS)
2.
자재명세서(BOM)
3.
재고기록철(IRF)
4.
생산계획(PP)
정답 : [
2
] 정답률 : 60%
56.
체계적 워크샘플링(systematic work sampling)을 쓰기가 곤란한 경우는?
1.
작업에 주기성이 없는 경우
2.
작업시간의 산포가 클 경우
3.
관측간격이 주기의 정수배일 경우
4.
관측간격이 작업요소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워크샘플링 (ws법) - 비반복적 작업과 그룹 작업에 효과적 - 다수의 작업자에 대한 동시 관측 - 긴 사이클 타임 작업에 효과적
#체계적 워크샘플링 - 균등간격으로 관측하며, 주기가 있으면 적용이 곤란하다.
=> 즉, 보기 3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니 실수다 이거야]
57.
공정별 배치의 장점을 기술한 내용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수요변화, 제품변경 등에 대한 유연성이 크다.
2.
한 공정의 영향이 전 공정에 대해 적게 미친다.
3.
다양한 작업으로 직무만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4.
단위당 생산시간이 짧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58.
다음은 무엇을 설명하는 것인가?
1.
공정계획
2.
공수계획
3.
일정계획
4.
진도계획
정답 : [
3
] 정답률 : 74%
59.
작업우선순위 결정법으로 긴급율(Critical Ratio : CR) 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R=잔여납기일수/잔여작업일수
2.
CR=1.0을 기준으로 해서 작업우선순위의 높낮이가 결정된다.
3.
CR은 음의 값이 나올 수 없다.
4.
CR은 1976년 “American Production Inventory Control Society"에서 발표한 기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39%
60.
철근을 생산, 판매하고 있는 K철강의 2003년 10월 판매 예측치는 150,000톤이고, 실적치는 135,000톤이었다. 지수평활법에 의하여 11월의 판매예측치를 구하면? (단, α=0.5 이다)
1.
82,500톤
2.
142,500톤
3.
218,250톤
4.
225,000톤
정답 : [
2
] 정답률 : 70%
61.
10개의 제품을 모두 고장이 날 때 까지 시험하였다. 6번째 고장시간에 대한 중앙순위(median rank)는?
1.
40%
2.
45%
3.
55%
4.
60%
정답 : [
3
] 정답률 : 72%
62.
고장률이 각각 λ1, λ2, λ3 인 부품 3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시스템의 고장률은?
1.
λ1·λ2·λ3
2.
λ1+λ2+λ3
3.
1-(λ1·λ2·λ3)
4.
1-(1-λ1)(1-λ2)(1-λ3)
정답 : [
2
] 정답률 : 61%
63.
시스템의 MTBF를 두 배로 늘리기 위해서는 몇 개 이상의 동일부품을 병렬로 연결해야 하는가? (단, 부품의 수명은 지수분포를 따른다.)
1.
2
2.
3
3.
4
4.
6
정답 : [
3
] 정답률 : 66%
64.
그림과 같은 신뢰성 블록도를 갖는 시스템의 MTTF는 얼마인가? (단, 모든 부품의 MTBF는 104 시간이다.)
1.
2×104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44%
65.
아이템이 규정된 신뢰성 및 보전성을 요구조건 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운용기법 및 활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신뢰성 평가
2.
신뢰성보증
3.
신뢰성통제
4.
신뢰성프로그램
정답 : [
3
] 정답률 : 26%
66.
각종 보전시간을 분류할 때 고장수리 회복시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리시간
2.
교체시간
3.
대체시간
4.
제 운전 서비스 시간
정답 : [
4
] 정답률 : 67%
67.
표와 같은 수명 테스트 자료에서 구간 20 ~ 30에서의 고장률은 얼마인가?
1.
0.33×10-1
2.
0.35×10-1
3.
0.37×10-1
4.
0.39×10-1
정답 : [
2
] 정답률 : 48%
68.
고장확률 밀도함수가 지수분포에 따르는 제품의 샘플 15개를 5개가 고장날 때까지 교체없이 시험하고 관측된 고장시간 데이터는 17.5, 18.8, 21.0, 31.0, 42.3 시간이다. 평균수명의 점 추정치는?
1.
55.4 시간
2.
84.6 시간
3.
110.7 시간
4.
130.6 시간
정답 : [
3
] 정답률 : 63%
69.
FMEA 용지에 반드시 들어가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고장원인/메커니즘
2.
고장모드
3.
부품의 기능
4.
고장률
정답 : [
4
] 정답률 : 53%
70.
AGREE란 무엇을 말하는가?
1.
전파연구소
2.
전자기기 신뢰성 자문위원회
3.
미사일 신뢰성 조사위원회
4.
전자관 개발부
정답 : [
2
] 정답률 : 72%
71.
어떤 제품의 고장확률밀도함수는 평균고장률이 10-3/시간인 지수분포에 따르고 있다. 이 제품을 1,000시간 사용한 경우의 신뢰도는 얼마인가?
1.
0.37
2.
0.52
3.
0.63
4.
1.00
정답 : [
1
] 정답률 : 70%
72.
부품을 가속온도 100℃에서 수명시험을 하고 얻은 고장시간 데이터에 의거 추정한 평균수명이 1,500시간이다. 이부품의 정상 사용온도는 50℃이고, 이 두 온도간의 가속계수 가 32일 때 정상사용 조건에서의 평균수명은 몇 시간인가?
1.
3,000
2.
4,800
3.
48,000
4.
60,000
정답 : [
3
] 정답률 : 59%
73.
어떤 제품에 대하여 MTBF를 추정하기 위하여 n=50개의 제품의 수명을 정시마감 t0=100일을 정하여 놓고 관측하였더니 총 고장수는 10개이고, 총 동작시간은 4,500시간 이었다. 신뢰수준 90%로 양측 검정에 의한 MTBF의 신뢰구간을 추정하면? (단, , , , )
1.
(265.3, 829.5)
2.
(286.5, 729.3)
3.
(286.5, 829.5)
4.
(265.3, 729.3)
정답 : [
1
] 정답률 : 42%
74.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간섭이론에서는 스트레스와 강도의 평균 및 산포에 대한 시간적 변화를 고려하여 고장 확률을 구한다.
2.
고장해석이란 고장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다.
3.
고장해석에는 FMEA와 FTA가 효과적이다.
4.
제품을 소형화, 고밀도화 하면 중량도 적어지고 고장도 적어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75.
지수분포를 따르는 수리계 시스템의 고장률은 0.02/시간이고, 이 시스템의 평균수리시간(MTTR)이 30시간이라면, 이 기기의 유용성(Availability)은?
1.
74.2%
2.
62.5%
3.
48.8%
4.
37.5%
정답 : [
2
] 정답률 : 61%
76.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설계의 요점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사용하는 부품의 종류를 줄인다.
2.
스트레스를 집중시킨다.
3.
부품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경감시킨다.
4.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갖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77.
신뢰성 시험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비파괴시험인 경우가 많다.
2.
대체로 시간이 오래 걸린다.
3.
개발 단계에서는 시작품을 사용하므로 샘플 수는 제한 받지 않는다.
4.
시험은 반드시 모든 샘플이 고장 날 때 까지 실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78.
그림과 같은 고장수목에서 정상사상의 발생확률은 얼마인가? (단, 모든 사상의 발생확률은 0.1이다.)
1.
0.8821
2.
0.0036
3.
0.0987
4.
0.0324
정답 : [
2
] 정답률 : 70%
79.
번인 (burn-in) 시험의 목적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초기고장의 감소
2.
고장률의 확인
3.
우발고장의 감소
4.
마모고장의 감소
정답 : [
1
] 정답률 : 78%
80.
제품의 고장시간은 와이블분포를 따르고 형상모수의 값이 0.5라고 한다. 제품의 평균수명이 100시간 이라면 50시간에서의 신뢰도는? (단, m=0.5 일 때 , 위치모수 r=0 이다.)
1.
0.37
2.
0.50
3.
0.57
4.
0.63
정답 : [
1
] 정답률 : 46%
81.
고객의 요구와 기대를 규명하고 이들을 설계 및 생산 사이클을 통하여 목적과 수단의 계열에 따라 계통적으로 전개되는 포괄적인 계획화 과정은?
1.
VE
2.
QFD
3.
FMEA
4.
QA
정답 : [
2
] 정답률 : 60%
82.
품질방침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사항 중 틀린 것은?
1.
제품의 판매대상
2.
품질 리더십의 정도
3.
이익 실현 정도
4.
제품 전략의 중점
정답 : [
3
] 정답률 : 68%
83.
표준화에 의한 이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균일한 제품의 염가제공
2.
경제적 생산의 실현
3.
상거래의 단순화 및 공정화 실현
4.
고객요구사항의 즉각적인 수용
정답 : [
4
] 정답률 : 70%
84.
수치맺음법에 의하여 1.2501를 유효 숫자 두자리에서 처리하면?
1.
1.3
2.
1.25
3.
1.2
4.
1.250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품질관리를 위한 데이터의 처리시에는 일반적으로 많은 실험치, 측정치, 계산치를 취급하는데 그런 수치들은 대개 적당한 자리수만을 남기고 끝수는 잘라버리거나 또는 끝올림을 한다. 그런데 남겨야 할 자리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특성, 성능 등을 나타내는 데 필요한 精度와 측정 가능한 정도의 양쪽을 고려해야 한다.
수치의 끝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단순처리에 의한 오차를 될 수 있는 대로 줄일 수 있는 처리방법이 KS A 0021(수치의 맺음법)에 규정되어 있다.
어떤 수치를 유효수자 n자리의 수치로, 또는 소수점 이하 n자리까지 처리할 경우, (n+1)자리수 이하의 수치는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① (n+1)자리수의 숫자가 5미만일 때는 버리고, 5를 넘을 때는 끝올림을 한다.
② (n+1)자리수의 숫자가 5일 경우
㉮ 5다음에 숫자가 없든가 혹은 전부 0일 때는 n자리수의 수자가 0, 2, 4, 6, 8이면 버리고, 1, 3, 5, 7, 9이면 끝올림을 한다.
㉯ 5의 다음에 수자가 계속될 겻우에는 끝올림을 한다.
㉰ (n+1)자리수의 숫자가 5라고 하더라도 (n+1)자리수 이하의 숫자가 끝수가 처리된 것임을(요약된 것임을) 알고 있을 경우는 ①의 방법에 의해 처리한다.
이 처리방법은 숫자의 처리에 의한 오차를 될 수 있는 대로 줄이려는 것이므로 그 값을 끝올림한 값과 잘라버린 값 가운데 가까운 쪽의 값을 취하는 방법이다. 그 값이 5와 같을 때는 끝올림을 하거나 잘라버리거나 그 오차는 같다. 따라서 그런 경우는 앞의 숫자가 짝수일 때는 버리고 홀수일 때는 끝올림하여 버리는 경우와 끝올림하는 경우를 같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끝수의 처리방법은「四捨五入法」보다는 오차가 줄어져 보다 정확한 값을 얻게 된다. [해설작성자 : 스마일천사]
85.
Single PPM 세부 추진 내용 중에서 Master Plan 작성, CTQ 선정, 분위기 조성 등은 어떤 단계에서 추진하는가?
1.
S단계 (Scope)
2.
I단계 (Illumination)
3.
N단계 (Nonconformity Analysis)
4.
G단계 (Goal)
정답 : [
1
] 정답률 : 42%
86.
품질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고려해야 하는 TQM의 실천원칙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고객에 초점을 둔다.
2.
결과 뿐 아니라 과정도 중시한다.
3.
예방보다는 검사에 치중한다.
4.
사실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87.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목적과 수단의 계열을 계통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최적의 수단을 탐구하는 방법이다. 즉 문제의 영향을 미치는 원인은 밝혀졌지만 이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나 방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는 기법은?
1.
계통도
2.
연관도
3.
친화도
4.
PDPC
정답 : [
1
] 정답률 : 60%
88.
품질코스트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품질코스트에는 직접노무비와 재료비도 포함된다.
2.
품질코스트는 요구된 설계품질을 실현하기 위한 원가라 할 수 있다.
3.
평가코스트와 예방코스트가 실패코스트보다 크면 QC활동의 성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4.
고객에 대한 불만처리에 필요한 비용은 평가코스트에 속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0%
89.
품질은 주관적 특성과 객관적 특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중 주관적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에 대한 적합성
2.
안전성
3.
소유의 우월감
4.
신뢰성
정답 : [
4
] 정답률 : 60%
90.
계측 목적에 의한 분류 중 관리계측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환경 조건에 관한 계측
2.
자재, 에너지에 관한 계측
3.
생산 능률에 관한 계측
4.
시험, 연구를 위한 계측
정답 : [
4
] 정답률 : 74%
91.
다음 중에서 품질보증부문의 임무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내용은?
1.
고객요구를 최대로 만족시키는 품질설계
2.
부적합품의 발생억제를 위한 공정관리
3.
부적합품 출하방지를 위한 공정관리
4.
각 부서의 품질보증활동의 종합조정통제
정답 : [
4
] 정답률 : 52%
92.
ISO 9000 : 2000 품질경영시스템 규격의 기초가 되는 품질경영원칙이 아닌 것은?
1.
고객중심
2.
리더십
3.
종합조정
4.
지속적인 개선
정답 : [
3
] 정답률 : 72%
93.
제조부문에서 작업표준의 설정이나 유지 등의 작업관리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공정능력 정보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검사능력
2.
관리능력
3.
단기공정능력
4.
장기공정능력
정답 : [
4
] 정답률 : 35%
94.
돗수분포표는 자료를 정리하는 방법으로써 자료들의 흩어진 모양이나 중심을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돗수분포표는 수집된 자료 개개치들을 나타낼 수 없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한 자료정리 도구는 무엇인가?
1.
특성요인도
2.
파레토도
3.
줄기-잎-그림
4.
레이더 그래프
정답 : [
3
] 정답률 : 52%
95.
사내표준화 규격을 규격대상에 의해 분류할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본규격
2.
방법규격
3.
잠정규격
4.
제품규격
정답 : [
3
] 정답률 : 60%
96.
다음 문장의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1.
① PLD ② PLP
2.
① QC ② QA
3.
① PL ② PLP
4.
① TQC ② PLD
정답 : [
3
] 정답률 : 74%
97.
두께가 3±0.002mm인 4개의 부품을 임의 조립 방법에 의해 겹쳐서 조립할 경우 조립공차는?
1.
0.006
2.
0.080
3.
0.040
4.
0.004
정답 : [
4
] 정답률 : 63%
98.
품질분임조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지켜야 할 내용 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품질분임조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종업원 교육에 투자하여야 한다.
2.
종업원은 각 부서별로 자발적으로 가입하도록 유도 하여야 한다.
3.
품질 분임조 활동은 일상 활동과 구별해서는 안된다.
4.
품질 분임조 활동의 주제 선정은 분임조장이 연구하여 결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99.
한국산업규격의 부문 분류기호가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1.
E-광산
2.
K-섬유
3.
P-의료
4.
W-선박
정답 : [
4
] 정답률 : 59%
100.
품질감사의 중점분야 선정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감(피감사)분위기
2.
현재의 문제점 및 그 우선순위
3.
기초 계획 수립시 고려된 사항
4.
이전 감사 결과 및 해결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4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①
①
①
③
④
④
④
③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①
③
④
④
②
①
③
④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①
①
④
②
④
①
①
③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③
①
②
③
①
②
③
②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②
④
③
④
④
①
④
④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②
③
①
②
③
④
③
③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②
③
④
③
④
②
③
④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③
①
④
②
②
②
②
①
①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②
③
④
①
①
③
①
②
④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④
③
④
③
③
③
④
④
④
④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3월0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