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토양산도에 따른 병 발생 -산성토양 : 배·무사마귀병, 목화 시들음병, 토마토 시들음병 -알칼리성 토양 : 감자 더뎅이병, 가지과 풋마름병, 침엽수 모잘록병, 목화 뿌리썩음병 등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 기출문제 * 산성토양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병은? 배추 무사마귀병 03.1 07.1 * 다음의 식물병 중 토양에 수분이 많고 pH가 5.0인 산성조건에서 많이 발생하고, 석회를 이용한 토양산도 조절로 pH를 7.0 이상으로 조절하여 방제하는 병은? 배추 무사마귀병 13.2 [해설작성자 : 르망]
2.
식물병 방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소독제를 이용한 방법: 처리가 간편하고 시간과 노력에 비해 효과가 크다.
2.
경엽처리제를 이용한 방법: 농약 사용량을 계속 증가하여도 방제 효과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3.
토양처리제를 이용한 방법: 작물을 심기 전 주로 유제나 액제를 토양 표면에 남도록 처리한다.
4.
훈연제를 이용한 방법: 연무기를 이용한 연무를 살포하거나 약제를 태워 훈연입자를 확산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입제나 분제 등의 토양처리제를 토양 전면에 골고루 섞이도록 처리한다. [해설작성자 : gogo]
3.
작물 돌려짓기에 의한 경종적 방제효과가 가장 높은 것은?
1.
종자전염병
2.
토양 전염병
3.
충매 전염병
4.
풍매 전염병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작물 돌려짓기(윤작)는 말 그대로 같은 재배지에서 작물의 종류를 바꿔가며 재배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토양에 잔재하다가 특정 작물을 기주로 하기 위해 침입하는 병원체의 생활사의 필수 조건을 무너뜨리는 것으로, 토양 전염병을 방제하는 데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전남대 농대생]
4.
종자로 인한 병균 전염이 가장 잘 되는것은?
1.
밀 줄기녹병
2.
벼 키다리병
3.
보리 흰가루병
4.
토마토 배꼽썩음병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벼 키다리병은 자낭균류에 의한 병으로 분생포자의 형태로 종자표면에서 월동.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5.
오이 노균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잎과 줄기에 발생한다.
2.
발병이 심하면 병환부가 말라 죽고 잘 찢어진다.
3.
습기가 많으면 병무늬 뒷면에 가루모양의 회색 곰팡이가 생긴다.
4.
병무늬의 가장자리가 잎맥으로 포위되는 다각형의 담갈색 무늬를 나타낸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잎에서만 발생
오이노균병 : 잎에만 발생하고 본 잎에서는 처음에는 수침상의 점무늬가 생기고 병무늬 가장자리가 잎맥으로 포위되어 있는 부정형 다각형의 담갈색무늬로 발전하며, 심하면 잎이 위쪽으로 말리고, 습기가 많으면 병무늬 뒷면에 서리 같은 가루 모양의 흰색 곰팡이가 생기는 병.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6.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병반 부위의 전형적인 병징은?
1.
천공
2.
위조
3.
궤양
4.
비대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궤양 : 피부 또는 점막이 헐어서 상처가 난 상태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병반 부위는 건조하면 병든 부분의 수피가 거칠게 갈라져서 터지고 수피를 떼어내면 황색의 두툼한 균사층이 부채모양으로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gogo]
위조 : 뿌리의 수분흡수나 줄기의 수분이동이 방해되어 나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시드는 것 궤양 : 병반에 의해 융기한 조직이 붕괴되어 중앙이 움푹 들어가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천공穿孔(뚫을 천,구멍 공) 1.구멍이 뚫림. 또는 구멍을 뚫음. 2. 의학 궤양(潰瘍무너질 궤,헐 양), 암종(癌腫암 암,종기 종) 따위로 위벽, 복막 따위에 구멍이 생김. 또는 구멍을 생기게 함.
위조 萎凋(시들 위,시들 조) 1.쇠약하여 마름.
궤양 潰瘍(무너질 궤,헐 양) 1.의학 피부 또는 점막에 상처가 생기고 헐어서 출혈하기 쉬운 상태. 치유되어도 대부분 흉터가 남는다.
비대 肥大(살찔 비,클 대/큰 대) 1.명사 생명 장기나 조직이 세포 용적이 증가하여 커지는 현상.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7.
생물학적 방제의 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이 발생한 후에는 치료의 효과가 낮다.
2.
신속하고 정확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3.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적용하기가 어렵다.
4.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아 처리효과가 일정하지 않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환경의 영항을 '많이 받아서' 처리효과가 일정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만반잘부]
8.
국내에 발생하는 채소류의 균핵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잎, 줄기, 열매 등에 발생한다.
2.
자낭포자나 균핵에서 발아한 균사로 침입한다.
3.
발병 후기에는 발병 조직에 백색 균사가 나타난다.
4.
균핵이 땅 속에 묻혀 있다가 25℃ 이상의 고온이 되면 발아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균핵병은 저온, 약광, 과습 등의 조건에서 다발생하며 12워~3월 비닐하우스의 저온에 발병이 많은 병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병명 : 균핵병 병원균 : 진균(자낭균) 기주 : 채소류(오이,감자,배추,토마토,콩) 월동형태 및 장소 : 균핵의 형태로 병든 식물이나 토양에서 월동 -> 시설재배지 특징 : 저온다습 다발생, 12~3월 사이에 비닐하우스 재배지 채소에서 다발생 방제 : 답전윤환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9.
식물병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0세기 스리랑카는 바나나 시들음병으로 인하여 관련 산업이 황폐화되었다.
2.
19세기 아일랜드 지방에 감자 역병이 크게 발생하여 100만명 이상이 굶어 죽었다.
3.
20세기 미국 동부지방 주요 수종인 밤나무는 밤나무 줄기마름병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4.
20세기 미국 전역에서 옥수수 깨씨무늬병이 크게 발생하여 관련 제품 생산에 큰 차지를 가져왔다.
<문제 해설> 뽕나무 오갈병의 병원체는 파이토플라즈마(Phytoplasma) 속의 원핵생물이며, 테트라사이클린계의 항생제는 식물병원성 Phytoplasma 속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균에 증식 억제력을 보이는 광범위 항생제이다. [해설작성자 : 전남대 농대생]
13.
다른 생물의 사체나 죽은 조직에서만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은?
1.
부생균
2.
절대기생균
3.
임의부생균
4.
임의기생균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부생체] - 죽은 유기물에서만 생장. 절대기생균 - 살아있는 기주에만 생장, 번식 가능. 활물기생체. 임의부생균 - 대부분 기생체로 살아가지만 죽은 유기물에서도 부생적으로 살아감. 반활물영양체. 임의기생균 - 주로 죽은 유기물에서 생활, 때때로 살아있는 식물체 침입. [해설작성자 : 신유정]
14.
병원균이 기주식물에 침입을 하면 병원균에 저항하는 기주식물의 반응으로 항균 물질 및 페놀성 물질 증가 등의 작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침입저항성
2.
감염저항성
3.
확대저항성
4.
수평저항성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침입저항성 : 기주에 의해 병원균의 침입이 억제되는 것 확대저항성 : 병원균의 침입 후 병원균에 저항하는 기주 저항성
외배엽 : 표피, 외분비샘, 뇌 및 신경계, 감각기관, 전장 및 후장, 호흡계, 외부생식기 중배엽 : 심장, 혈액, 순환계, 근육, 내분비샘, 지방체, 생식선(난소 및 정소,=생식소) 내배엽 : 중장
이렇게 나와있네요 그러니까 즉, 중장은 내배엽이고 근육, 지방체, 생식소는 중배엽이므로 1번이 맞습니다. 문제에 오류 없어요 [해설작성자 : 촉촉하규,, 부드럽규,,]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28.
마늘 수확 후 저장 과정에서 피해를 주는 것은?
1.
파굴파리
2.
뿌리응애
3.
파좀나방
4.
고자리파리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고자리파리 : 유충이 마늘 양파 등의 지하부 침해해 작물을 말라죽게함, 특히 유모에 피해 심하고 피해입은 것은 부패해 냄새나고 먹을 수 없음 뿌리응애: 마늘 쪽파 백함 등에 발생하고 저장중에도 피해를 줌 파굴파리 : 성충이 파 잎조직 내 산란하고 유충이 엽육 가해 파좀나방 : 성충이 파 잎 표면에 알을 낳고 유충이 잎살 속으로 파고 들어가 표피만 남기고 먹음, 여름철에 피해 심함
29.
거미와 비교한 곤충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겹눈과 홑눈이 있다.
2.
변태를 하는 종이 있다.
3.
4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4.
몸이 머리, 가슴, 배 3부분으로 되어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곤충은 3쌍의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다리는 5마디로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kyum]
30.
유충이 탈피를 못하게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것은?
1.
호르몬제
2.
페로몬제
3.
대사저해제
4.
섭식저해제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상적인 탈피를 지연시켜 성충이 되지 못하게 하는 탈피억제호르몬 등은 호르몬 균형의 교란을 일으켜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gogo]
[오류신고 반론] 해설만 보면 호르몬제라고 생각 할 수 있으나 탈피를 못하게 하는것은 대사저해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금단]
[추가 오류 신고] 호르몬제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무의사]
[오류신고 반론] 2018년 1회 시험 - 곤충이 탈피를 못하게 하는 것은 대사저해제에 속한다. (성안당 2020 식물보호기사) [해설작성자 : 123456]
[오류신고 반론] 대사저해제는 이름 그대로 대사를 조햐하는 약품으로 유충의 탈피를 방해하여 해충을 방제한다 -2025 올배움 234p- [해설작성자 : 김포혀니]
31.
벼를 가해하여 오갈병을 매개하는 것은?
1.
벼멸구
2.
애멸구
3.
흰둥멸구
4.
끝동매미충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끝동매미충,번개매미충 -> 벼오갈병을 매개 [해설작성자 : kyum]
32.
어떤 곤충을 상규하였을 때 25℃에서 10일이 걸렸다. 이 곤충의 발육영점온도가 13℃이면 유호적산온도(DD, Degree-Days)는?
1.
120
2.
150
3.
180
4.
300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5-13)*10=120 [해설작성자 : 동그리]
33.
다음 중 유시류에 속하는 것은?
1.
낫발이목
2.
톡토기
3.
좀붙이
4.
하루살이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무시아강 = 원래 날개가 없다(톡토기목,낫발이목,좀붙이목,좀목) 유시이강= 날개를 가지고 있지만 2차적으로 퇴화되어 없는것도 있다{신시류,고시류,외시류 내시류) 무시아강 4종이니 아닌것 찾음 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간모를 통해 단위생식을 하는 것은?
1.
배추순나방
2.
점박이응애
3.
가루깍지벌레
4.
복숭아혹진딧물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복숭아혹진딧물 : 1년에 10여 회 이상 발생하고, 월동 태는 알이다. 봄철에 부화하며 성장하면 간모가 된다. 간모는 무시충을 태생하고, 5월경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수세대 생활을 하며, 늦가을이 되면 겨울기주로 이동한 후 겨울 눈 부근에 수정란을 산란한다.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35.
진딧물을 포식하는 천적이 아닌 것은?
1.
꽃등에류
2.
무당벌레류
3.
깍지벌레류
4.
풀잠자리류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해충과 천적
해충 천적 진딧물--------무당벌레,콜레마니진딧벌,풀잠자리,꽃등에,진디혹파리 등 잎굴파리-------굴파리좀벌,잎굴파리고치벌 등 응애----------칠레이리응애,캘리포니쿠스응애,꼬마무당벌레 등 온실가루이-----온실가루이좀벌,카탈리네무당벌레 총채벌레-------오이이리응애,애꽃노린재 나방류--------알벌,곤충병원성선충 작은뿌리파리---마일스응애 [해설작성자 : 왼손쟁이호야]
복숭아심식나방 부화유충이 처음 과일표면을 식해하다가 과일내부로 뚫고 들어가 가해(종실가해) 월동고치는 원형 페로몬 조사법, 성페로몬 트랩
38.
이화명나방의 가해 형태 및 기주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해를 입은 벼의 줄기 속에는 한 마리의 유충만 있다.
2.
피해를 입은 벼의 줄기 속을 보면 유충의 배설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3.
피해를 입은 벼의 잎집이 말라 죽어도 벼의 줄기는 부러지지 않는다.
4.
재배 초기의 피해를 입은 벼의 줄기는 출수하지 못하거나, 출수하더라도 이삭이 하얗게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이화명나방 : 벼줄기 속에서 잎을 말아 줄기를 가해하고 한 마리의 유충이 여러 개의 줄기를 가해 한다.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39.
온실가루이가 속하는 목은?
1.
벌목
2.
노린재목
3.
강도래목
4.
딱정벌레목
정답 : [
2
] 정답률 : 77%
40.
곤충의 배에 있는 부속기관이 아닌 것은?
1.
다리
2.
기문
3.
항문
4.
생식기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곤충의 가슴 앞가슴,가운데가슴,뒷가슴의 3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날개,다리,기문 등의 부속기가 있다. ① 날개 ② 기문 : 가운데 가슴과 뒷가슴에 1쌍씩 있는 것이 많음 ③ 다리 : 앞가슴, 가운데가슴,뒷가슴에 1쌍씩 붙어 있는데 5마디로 되어 있음 ㉠ 기절(밑마디) ㉡ 전절(도래마디) ㉢ 퇴절(넓적마디) ㉡ 경절(종아리마디) ㉤ 부절(발마디) 2. 배 ① 보통 10개 내외의 마디로 되어 있고 피부는 연약하지만 단단한 시초 또는 많은 털에 의해 보호되고 있음 ② 기문,항문,생식기,미각,미모,도약기 등의 부속물이 있음 ㉠ 기문: 배의 마디마다 1쌍씩 있으며 공기를 호흡하는 기관으로 약제가 곤충에 작용하는 곳으로 털·피부·주름에 의해 숨겨져 있거나 단단한 날개로 덮여 보호 ㉡ 항문 : 소화기관의 끝 ㉢ 생식기 : 수컷은 파악기,암컷은 산란관을 이룸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41.
“파종된 종자의 약 40%가 발아한 날”에 해당하는 것은?
1.
발아시
2.
발아전
3.
발아기
4.
발아세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발아시:발아한 것이 처음 나타난 날 발아기:파종된 종사수의 약 50%가 발아한 날 발아세:종자를 치상한 후 일정한 일수(7~10일)를 정하여 놓고, 그 기간 내에 발아한 종자수를 총공시 입수에 대한 비율 [해설작성자 : 행복한스누피]
발아전 : 전체 종자수의 80%가 발아한 날 [해설작성자 : 장]
발아세: 일정한 기간 내의 발아율 발아시: 파종된 종자 중에서 최초로 1개체가 발아한 날 발아기: 전체 종자수의 50%가 발아한 날 발아전: 전체 종자수의 80%가 발아한 날 [해설작성자 : muyaho]
42.
포장을 수평으로 구획하고 관개하는 방법은?
1.
수반법
2.
일류관개
3.
보더관개
4.
고량관개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보더관개 : 밭을 낮은 두둑으로 길게 구획을 만들고 거기에 일정한 기울기를 붙여 물을 급수로에서 끌어들여 물을 주는 방법 -고랑관개 : 고랑을 만들어 옆에서 스며들게 하여 물을 공급하는 관개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보더관개 : 완경사의 포장을 알맞게 구획 (<< 수평), 상단의 수로로부터 전체 표면에 물을 흘려 펼처서 대는 방법. [해설작성자 : 해설집 풀이 ^^]
43.
포장용수량의 수분범위로 알맞은 것은?
1.
pF 1.5 ~ 1.7
2.
pF 2.5 ~ 2.7
3.
pF 3.5 ~ 3.7
4.
pF 4.5 ~ 4.7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잉여수분 : 포장용수량 이상의 토양수분, 너무 많으면 성장에 유해하다. -유효수분 : 영구위조점(pF 4.2)과 포장용수량 (pF 2.5~2.7) 사이의 토양 수분, 식물생육에 이용 -무효수분 : 영구위조점 (pF 4.2) 이상의 수분, 작물이 이용하지 못함.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44.
다음중 C3작물에 해당하는 것은?
1.
밀
2.
수수
3.
기장
4.
명아주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벼, 보리, 밀 등의 식량작물은 C3
45.
재배의 기원지가 중앙아시아에 해당하는 것은?
1.
대추
2.
양배추
3.
양파
4.
고추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대추 : 인도와 중국남부, 인도에서 최초 재배 -양배추 : 지중해 연안 -고추 : 중앙아메리카 - 멕시코에서 재배 시작 -양파 : 중앙아시아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46.
가지를 어미식물에서 분리시키지 않은 채로 흙을 묻거나, 그 밖에 적당한 조건을 주어 발근시킨 다음에 잘라서 독립적으로 번식시키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취목
2.
분주
3.
선취법
4.
고취법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고취법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ㅇㅇ]
[오류신고 반론] 고취법은 어미나무의 가지를 지표면까지 이어내리지 못할 경우 가지를 그대로 두고(흙에 묻지 X) 흙이나 물이끼로 싸매주어 뿌리가 내리도록 하고 뿌리가 내리면 잘라내어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방법.
[오류신고 반론] 시대고시 부민문화사 둘 다 1번 취목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향문사 삼고 재배학원론 301p 가지를 어미식물에서 분리시키지 않은 채로 흙을 묻거나, 그 밖에 적당한 조건을 주어서 발근시킨 다음에 잘라서 독립적으로 번식시키는 방법을 취목이라고 한다. 취목의 자세한 방법으로 선취법, 파상취목법, 당목취법, 고취법, 성토법이 있는 거 [해설작성자 : 충대]
<문제 해설> 깻묵 : 기름을 짜고 남은 들깨나 참깨 덩어리로,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된 질소 비분이 식물에 사용할 수 있는 완효성 비료가 됨(질소 8%, 인산 3%, 칼리 1%)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56.
( ) 에 알맞은 내용은?
1.
휴한작물
2.
동반작물
3.
중경작물
4.
환금작물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중경 : 파종 또는 이식 후 작물 생육기간에 작물 사이의 토양을 호미나 중경기로 표토를 긁어 부드럽게 하는 토양관리 작업으로서 잡초의 방제,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의 개선, 작물자체에 대한 기계적인 영향 등을 통하여 작물 생육을 조장시킬 목적으로 실시.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중경작물[ cultivated crop , intertillage crop , 中耕作物 가운데 중,밭갈 경,지을 작,물건 물 ] 스위트클로버, 알팔파 등과 같이 심근성으로 재식에 의해 토양하종의 이화학성 및 생물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 작물.
환금작물[ cash crops, 換金作物 바꿀 환,쇠 금,지을 작,물건 물] 주로 판매하기 위하여 재배되는 작물(예: 담배, 인삼 등).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57.
다음 중 천연 에틸렌에 해당하는 것은?
1.
GA2
2.
IBA
3.
C2H4
4.
MH-30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GA2 - 지베렐린류이다. 2. IBA - 합성 옥신류이다. 4. MH-30 - 생장억제제이다. [해설작성자 : 챈챈]
[오류신고 반론] 살충제, 살비제 모두 해당되지만, 균충초로 분리할때는 살충제가 맞습니다. 살비제는 일본식 표현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JDM]
[오류신고 반론] 해설 추가 피리다벤 pyridaben 화학 살충제로 사용되는 환경 유해 물질. 색과 냄새가 없는 고체상 물질로, 물ㆍ에탄올ㆍ크실렌ㆍ벤젠에 녹는다. 녹는점은 111~112℃이다. 인체에 유입되거나 눈과 피부에 닿으면 유해하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페나자퀸 fenazaquin 화학 살충제로 사용되는 환경 유해 물질. 색이 없는 고체상 물질로, 물에 잘 녹지 않고, 헥산ㆍ톨루엔ㆍ아세톤에 녹는다. 비중은 1.16, 끓는점은 460℃이다. 인체에 유입되거나 눈과 피부에 닿으면 유해하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65.
농약의 제제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역할은 매우 크다. 계면활성제의 작용에 해당하지 않는것은?
1.
습윤작용
2.
분산작용
3.
침투작용
4.
살균작용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작용 : 습윤, 분산, 고착, 침투작용 [해설작성자 : 2022식보]
66.
살충제 파라티온(Parathion)의 성상 및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침투성 약제이다.
2.
해충 방제 효과는 좋으나 인축에는 독성이 강하여 제한을 받는다.
3.
대부분의 유기용매에 불용이며 알칼리에는 안정하다.
4.
접촉독, 가스독 및 소화중독의 세 가지 작용을 함께 가지고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불용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즈주상]
물에는 녹지 않으며 아세톤 등 대부분의 유기용매에 잘 녹는다. [해설작성자 : 부산대 농경제]
- 신경축색의 전달 저해 기능 DDT나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는 외부자극이 축색막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K+이온의 활성 및 Na+이온의 불활성을 억제시켜 활동전위의 하강이 지연되고 휴지전위로의 회복이 늦어져 지속적으로 축색 말단에 자극이 전달됨으로써 곤충이 죽게 된다. [해설작성자 : 스마일퐁퐁]
68.
다음 급성독성 중 그 강도의 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흡입독성 >경피독성 >경구독성
2.
경구독성 >흡입독성 >경피독성
3.
흡입독성 >경구독성 >경피독성
4.
경피독성 >경구독성 >흡입독성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흡입독성:호흡시 가루나 가스가 몸 안으로 들어가 독작용을 일으킴. 경구독성:입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 독작용을 일으킴. 경피독성: 피부에 접촉되어 약물이 체내로 흡수되어 독작용을 일으킴. [해설작성자 : 행복한스누피]
[오류신고 반론] 시대고시, 부민문화사에도 피가 정답입니다. 그리고 2006.1회, 2008년 4회 때 출제된 문제와 100% 동일하게 출제된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르망]
[추가 오류 신고] 시험문제와 현실이 동떨어져서 생긴 오류 같네요 2010년에 이미 논의 피를 비롯한 보기 안의 모든 잡초들이 설포닐우레아계 농약에 저항성을 보여 문제라는 기사가 있는데 문제은행식이라고 같은 문제를 아무 생각없이 계속 돌려내다보니 이런 오류가 생긴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월년생 잡초는 가을. 초겨울에 발생하여 월동후 다음해 여름까지결실및 고사하는 것으로 둑새풀,냉이,망초,별곷, 벼룩나물 등이있다. [해설작성자 : 요미]
90.
물리적 방제법으로 토양을 피복하는 주요 이유는?
1.
잡초 생육에 필요한 물 차단
2.
잡초 생육에 필요한 빛 차단
3.
잡초 생육에 필요한 공기 차단
4.
잡초 생육에 필요한 공간 축소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물리적 잡초방제법 중 피복은 작물-잡초 간 경합시 어느 요소를 주 대상으로 하는가? 광 2012.4 [해설작성자 : 르망]
91.
잡초 종자에 돌기를 갖고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기 쉬운 것은?
1.
여뀌
2.
민들레
3.
소리쟁이
4.
도꼬마리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 잡초의 전파 방법 중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는 잡초는? 2003.1 △ 잡초의 전파 방법 중에서 사람이나 동물에 쉽게 부착되어 전파되어 지는 잡초는? 2013.1 △ 잡초의 산파 방법 중 주로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는 잡초는? 2013.2 △ 잡초의 전파 방법 중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기 쉬운 잡초는? 2015.1 △ 잡초 종자에 돌기를 갖고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기 쉬운 것은? 2018.1 [해설작성자 : 르망]
92.
벼 재배에 주로 사용하지 않는 제초제는?
1.
이사-디 액제
2.
옥사디아존 유제
3.
뷰타글로르 입제
4.
알라클로르 유제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알라크로르 유제 : 콩, 옥수수, 감자 등의 1년생 밭잡초 방제에 이용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 다음 중 논에 사용하는 것이 부적당한 제초제는? 알라유제 2003.1 알라클로르 유제 2008.4 2011.4
♣ 주로 논제초제로 사용되는 것은? butachlor 2005.4
♣ R1-NHC-O-R2를 기본 골격으로 갖는 제초제군은? 카바메이트계 제초제 2010.1 ♣ R1-NHC-O-R2의 화학구조를 기본 골격으로 갖는 제초제군은? 카바메이트계 제초제 2014.4
<문제 해설> 토양산도에 따른 병 발생 -산성토양 : 배·무사마귀병, 목화 시들음병, 토마토 시들음병 -알칼리성 토양 : 감자 더뎅이병, 가지과 풋마름병, 침엽수 모잘록병, 목화 뿌리썩음병 등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 기출문제 * 산성토양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병은? 배추 무사마귀병 03.1 07.1 * 다음의 식물병 중 토양에 수분이 많고 pH가 5.0인 산성조건에서 많이 발생하고, 석회를 이용한 토양산도 조절로 pH를 7.0 이상으로 조절하여 방제하는 병은? 배추 무사마귀병 13.2 [해설작성자 : 르망]
2.
식물병 방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소독제를 이용한 방법: 처리가 간편하고 시간과 노력에 비해 효과가 크다.
2.
경엽처리제를 이용한 방법: 농약 사용량을 계속 증가하여도 방제 효과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3.
토양처리제를 이용한 방법: 작물을 심기 전 주로 유제나 액제를 토양 표면에 남도록 처리한다.
4.
훈연제를 이용한 방법: 연무기를 이용한 연무를 살포하거나 약제를 태워 훈연입자를 확산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입제나 분제 등의 토양처리제를 토양 전면에 골고루 섞이도록 처리한다. [해설작성자 : gogo]
3.
작물 돌려짓기에 의한 경종적 방제효과가 가장 높은 것은?
1.
종자전염병
2.
토양 전염병
3.
충매 전염병
4.
풍매 전염병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작물 돌려짓기(윤작)는 말 그대로 같은 재배지에서 작물의 종류를 바꿔가며 재배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토양에 잔재하다가 특정 작물을 기주로 하기 위해 침입하는 병원체의 생활사의 필수 조건을 무너뜨리는 것으로, 토양 전염병을 방제하는 데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전남대 농대생]
4.
종자로 인한 병균 전염이 가장 잘 되는것은?
1.
밀 줄기녹병
2.
벼 키다리병
3.
보리 흰가루병
4.
토마토 배꼽썩음병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벼 키다리병은 자낭균류에 의한 병으로 분생포자의 형태로 종자표면에서 월동.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5.
오이 노균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잎과 줄기에 발생한다.
2.
발병이 심하면 병환부가 말라 죽고 잘 찢어진다.
3.
습기가 많으면 병무늬 뒷면에 가루모양의 회색 곰팡이가 생긴다.
4.
병무늬의 가장자리가 잎맥으로 포위되는 다각형의 담갈색 무늬를 나타낸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잎에서만 발생
오이노균병 : 잎에만 발생하고 본 잎에서는 처음에는 수침상의 점무늬가 생기고 병무늬 가장자리가 잎맥으로 포위되어 있는 부정형 다각형의 담갈색무늬로 발전하며, 심하면 잎이 위쪽으로 말리고, 습기가 많으면 병무늬 뒷면에 서리 같은 가루 모양의 흰색 곰팡이가 생기는 병.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6.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병반 부위의 전형적인 병징은?
1.
천공
2.
위조
3.
궤양
4.
비대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궤양 : 피부 또는 점막이 헐어서 상처가 난 상태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병반 부위는 건조하면 병든 부분의 수피가 거칠게 갈라져서 터지고 수피를 떼어내면 황색의 두툼한 균사층이 부채모양으로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gogo]
위조 : 뿌리의 수분흡수나 줄기의 수분이동이 방해되어 나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시드는 것 궤양 : 병반에 의해 융기한 조직이 붕괴되어 중앙이 움푹 들어가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천공穿孔(뚫을 천,구멍 공) 1.구멍이 뚫림. 또는 구멍을 뚫음. 2. 의학 궤양(潰瘍무너질 궤,헐 양), 암종(癌腫암 암,종기 종) 따위로 위벽, 복막 따위에 구멍이 생김. 또는 구멍을 생기게 함.
위조 萎凋(시들 위,시들 조) 1.쇠약하여 마름.
궤양 潰瘍(무너질 궤,헐 양) 1.의학 피부 또는 점막에 상처가 생기고 헐어서 출혈하기 쉬운 상태. 치유되어도 대부분 흉터가 남는다.
비대 肥大(살찔 비,클 대/큰 대) 1.명사 생명 장기나 조직이 세포 용적이 증가하여 커지는 현상.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7.
생물학적 방제의 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이 발생한 후에는 치료의 효과가 낮다.
2.
신속하고 정확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3.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적용하기가 어렵다.
4.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아 처리효과가 일정하지 않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환경의 영항을 '많이 받아서' 처리효과가 일정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만반잘부]
8.
국내에 발생하는 채소류의 균핵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잎, 줄기, 열매 등에 발생한다.
2.
자낭포자나 균핵에서 발아한 균사로 침입한다.
3.
발병 후기에는 발병 조직에 백색 균사가 나타난다.
4.
균핵이 땅 속에 묻혀 있다가 25℃ 이상의 고온이 되면 발아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균핵병은 저온, 약광, 과습 등의 조건에서 다발생하며 12워~3월 비닐하우스의 저온에 발병이 많은 병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병명 : 균핵병 병원균 : 진균(자낭균) 기주 : 채소류(오이,감자,배추,토마토,콩) 월동형태 및 장소 : 균핵의 형태로 병든 식물이나 토양에서 월동 -> 시설재배지 특징 : 저온다습 다발생, 12~3월 사이에 비닐하우스 재배지 채소에서 다발생 방제 : 답전윤환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9.
식물병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0세기 스리랑카는 바나나 시들음병으로 인하여 관련 산업이 황폐화되었다.
2.
19세기 아일랜드 지방에 감자 역병이 크게 발생하여 100만명 이상이 굶어 죽었다.
3.
20세기 미국 동부지방 주요 수종인 밤나무는 밤나무 줄기마름병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4.
20세기 미국 전역에서 옥수수 깨씨무늬병이 크게 발생하여 관련 제품 생산에 큰 차지를 가져왔다.
<문제 해설> 뽕나무 오갈병의 병원체는 파이토플라즈마(Phytoplasma) 속의 원핵생물이며, 테트라사이클린계의 항생제는 식물병원성 Phytoplasma 속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균에 증식 억제력을 보이는 광범위 항생제이다. [해설작성자 : 전남대 농대생]
13.
다른 생물의 사체나 죽은 조직에서만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은?
1.
부생균
2.
절대기생균
3.
임의부생균
4.
임의기생균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부생체] - 죽은 유기물에서만 생장. 절대기생균 - 살아있는 기주에만 생장, 번식 가능. 활물기생체. 임의부생균 - 대부분 기생체로 살아가지만 죽은 유기물에서도 부생적으로 살아감. 반활물영양체. 임의기생균 - 주로 죽은 유기물에서 생활, 때때로 살아있는 식물체 침입. [해설작성자 : 신유정]
14.
병원균이 기주식물에 침입을 하면 병원균에 저항하는 기주식물의 반응으로 항균 물질 및 페놀성 물질 증가 등의 작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침입저항성
2.
감염저항성
3.
확대저항성
4.
수평저항성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침입저항성 : 기주에 의해 병원균의 침입이 억제되는 것 확대저항성 : 병원균의 침입 후 병원균에 저항하는 기주 저항성
외배엽 : 표피, 외분비샘, 뇌 및 신경계, 감각기관, 전장 및 후장, 호흡계, 외부생식기 중배엽 : 심장, 혈액, 순환계, 근육, 내분비샘, 지방체, 생식선(난소 및 정소,=생식소) 내배엽 : 중장
이렇게 나와있네요 그러니까 즉, 중장은 내배엽이고 근육, 지방체, 생식소는 중배엽이므로 1번이 맞습니다. 문제에 오류 없어요 [해설작성자 : 촉촉하규,, 부드럽규,,]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28.
마늘 수확 후 저장 과정에서 피해를 주는 것은?
1.
파굴파리
2.
뿌리응애
3.
파좀나방
4.
고자리파리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고자리파리 : 유충이 마늘 양파 등의 지하부 침해해 작물을 말라죽게함, 특히 유모에 피해 심하고 피해입은 것은 부패해 냄새나고 먹을 수 없음 뿌리응애: 마늘 쪽파 백함 등에 발생하고 저장중에도 피해를 줌 파굴파리 : 성충이 파 잎조직 내 산란하고 유충이 엽육 가해 파좀나방 : 성충이 파 잎 표면에 알을 낳고 유충이 잎살 속으로 파고 들어가 표피만 남기고 먹음, 여름철에 피해 심함
29.
거미와 비교한 곤충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겹눈과 홑눈이 있다.
2.
변태를 하는 종이 있다.
3.
4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4.
몸이 머리, 가슴, 배 3부분으로 되어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곤충은 3쌍의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다리는 5마디로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kyum]
30.
유충이 탈피를 못하게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것은?
1.
호르몬제
2.
페로몬제
3.
대사저해제
4.
섭식저해제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상적인 탈피를 지연시켜 성충이 되지 못하게 하는 탈피억제호르몬 등은 호르몬 균형의 교란을 일으켜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gogo]
[오류신고 반론] 해설만 보면 호르몬제라고 생각 할 수 있으나 탈피를 못하게 하는것은 대사저해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금단]
[추가 오류 신고] 호르몬제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무의사]
[오류신고 반론] 2018년 1회 시험 - 곤충이 탈피를 못하게 하는 것은 대사저해제에 속한다. (성안당 2020 식물보호기사) [해설작성자 : 123456]
[오류신고 반론] 대사저해제는 이름 그대로 대사를 조햐하는 약품으로 유충의 탈피를 방해하여 해충을 방제한다 -2025 올배움 234p- [해설작성자 : 김포혀니]
31.
벼를 가해하여 오갈병을 매개하는 것은?
1.
벼멸구
2.
애멸구
3.
흰둥멸구
4.
끝동매미충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끝동매미충,번개매미충 -> 벼오갈병을 매개 [해설작성자 : kyum]
32.
어떤 곤충을 상규하였을 때 25℃에서 10일이 걸렸다. 이 곤충의 발육영점온도가 13℃이면 유호적산온도(DD, Degree-Days)는?
1.
120
2.
150
3.
180
4.
300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5-13)*10=120 [해설작성자 : 동그리]
33.
다음 중 유시류에 속하는 것은?
1.
낫발이목
2.
톡토기
3.
좀붙이
4.
하루살이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무시아강 = 원래 날개가 없다(톡토기목,낫발이목,좀붙이목,좀목) 유시이강= 날개를 가지고 있지만 2차적으로 퇴화되어 없는것도 있다{신시류,고시류,외시류 내시류) 무시아강 4종이니 아닌것 찾음 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간모를 통해 단위생식을 하는 것은?
1.
배추순나방
2.
점박이응애
3.
가루깍지벌레
4.
복숭아혹진딧물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복숭아혹진딧물 : 1년에 10여 회 이상 발생하고, 월동 태는 알이다. 봄철에 부화하며 성장하면 간모가 된다. 간모는 무시충을 태생하고, 5월경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수세대 생활을 하며, 늦가을이 되면 겨울기주로 이동한 후 겨울 눈 부근에 수정란을 산란한다.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35.
진딧물을 포식하는 천적이 아닌 것은?
1.
꽃등에류
2.
무당벌레류
3.
깍지벌레류
4.
풀잠자리류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해충과 천적
해충 천적 진딧물--------무당벌레,콜레마니진딧벌,풀잠자리,꽃등에,진디혹파리 등 잎굴파리-------굴파리좀벌,잎굴파리고치벌 등 응애----------칠레이리응애,캘리포니쿠스응애,꼬마무당벌레 등 온실가루이-----온실가루이좀벌,카탈리네무당벌레 총채벌레-------오이이리응애,애꽃노린재 나방류--------알벌,곤충병원성선충 작은뿌리파리---마일스응애 [해설작성자 : 왼손쟁이호야]
복숭아심식나방 부화유충이 처음 과일표면을 식해하다가 과일내부로 뚫고 들어가 가해(종실가해) 월동고치는 원형 페로몬 조사법, 성페로몬 트랩
38.
이화명나방의 가해 형태 및 기주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해를 입은 벼의 줄기 속에는 한 마리의 유충만 있다.
2.
피해를 입은 벼의 줄기 속을 보면 유충의 배설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3.
피해를 입은 벼의 잎집이 말라 죽어도 벼의 줄기는 부러지지 않는다.
4.
재배 초기의 피해를 입은 벼의 줄기는 출수하지 못하거나, 출수하더라도 이삭이 하얗게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이화명나방 : 벼줄기 속에서 잎을 말아 줄기를 가해하고 한 마리의 유충이 여러 개의 줄기를 가해 한다.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39.
온실가루이가 속하는 목은?
1.
벌목
2.
노린재목
3.
강도래목
4.
딱정벌레목
정답 : [
2
] 정답률 : 77%
40.
곤충의 배에 있는 부속기관이 아닌 것은?
1.
다리
2.
기문
3.
항문
4.
생식기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곤충의 가슴 앞가슴,가운데가슴,뒷가슴의 3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날개,다리,기문 등의 부속기가 있다. ① 날개 ② 기문 : 가운데 가슴과 뒷가슴에 1쌍씩 있는 것이 많음 ③ 다리 : 앞가슴, 가운데가슴,뒷가슴에 1쌍씩 붙어 있는데 5마디로 되어 있음 ㉠ 기절(밑마디) ㉡ 전절(도래마디) ㉢ 퇴절(넓적마디) ㉡ 경절(종아리마디) ㉤ 부절(발마디) 2. 배 ① 보통 10개 내외의 마디로 되어 있고 피부는 연약하지만 단단한 시초 또는 많은 털에 의해 보호되고 있음 ② 기문,항문,생식기,미각,미모,도약기 등의 부속물이 있음 ㉠ 기문: 배의 마디마다 1쌍씩 있으며 공기를 호흡하는 기관으로 약제가 곤충에 작용하는 곳으로 털·피부·주름에 의해 숨겨져 있거나 단단한 날개로 덮여 보호 ㉡ 항문 : 소화기관의 끝 ㉢ 생식기 : 수컷은 파악기,암컷은 산란관을 이룸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41.
“파종된 종자의 약 40%가 발아한 날”에 해당하는 것은?
1.
발아시
2.
발아전
3.
발아기
4.
발아세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발아시:발아한 것이 처음 나타난 날 발아기:파종된 종사수의 약 50%가 발아한 날 발아세:종자를 치상한 후 일정한 일수(7~10일)를 정하여 놓고, 그 기간 내에 발아한 종자수를 총공시 입수에 대한 비율 [해설작성자 : 행복한스누피]
발아전 : 전체 종자수의 80%가 발아한 날 [해설작성자 : 장]
발아세: 일정한 기간 내의 발아율 발아시: 파종된 종자 중에서 최초로 1개체가 발아한 날 발아기: 전체 종자수의 50%가 발아한 날 발아전: 전체 종자수의 80%가 발아한 날 [해설작성자 : muyaho]
42.
포장을 수평으로 구획하고 관개하는 방법은?
1.
수반법
2.
일류관개
3.
보더관개
4.
고량관개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보더관개 : 밭을 낮은 두둑으로 길게 구획을 만들고 거기에 일정한 기울기를 붙여 물을 급수로에서 끌어들여 물을 주는 방법 -고랑관개 : 고랑을 만들어 옆에서 스며들게 하여 물을 공급하는 관개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보더관개 : 완경사의 포장을 알맞게 구획 (<< 수평), 상단의 수로로부터 전체 표면에 물을 흘려 펼처서 대는 방법. [해설작성자 : 해설집 풀이 ^^]
43.
포장용수량의 수분범위로 알맞은 것은?
1.
pF 1.5 ~ 1.7
2.
pF 2.5 ~ 2.7
3.
pF 3.5 ~ 3.7
4.
pF 4.5 ~ 4.7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잉여수분 : 포장용수량 이상의 토양수분, 너무 많으면 성장에 유해하다. -유효수분 : 영구위조점(pF 4.2)과 포장용수량 (pF 2.5~2.7) 사이의 토양 수분, 식물생육에 이용 -무효수분 : 영구위조점 (pF 4.2) 이상의 수분, 작물이 이용하지 못함.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44.
다음중 C3작물에 해당하는 것은?
1.
밀
2.
수수
3.
기장
4.
명아주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벼, 보리, 밀 등의 식량작물은 C3
45.
재배의 기원지가 중앙아시아에 해당하는 것은?
1.
대추
2.
양배추
3.
양파
4.
고추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대추 : 인도와 중국남부, 인도에서 최초 재배 -양배추 : 지중해 연안 -고추 : 중앙아메리카 - 멕시코에서 재배 시작 -양파 : 중앙아시아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46.
가지를 어미식물에서 분리시키지 않은 채로 흙을 묻거나, 그 밖에 적당한 조건을 주어 발근시킨 다음에 잘라서 독립적으로 번식시키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취목
2.
분주
3.
선취법
4.
고취법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고취법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ㅇㅇ]
[오류신고 반론] 고취법은 어미나무의 가지를 지표면까지 이어내리지 못할 경우 가지를 그대로 두고(흙에 묻지 X) 흙이나 물이끼로 싸매주어 뿌리가 내리도록 하고 뿌리가 내리면 잘라내어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방법.
[오류신고 반론] 시대고시 부민문화사 둘 다 1번 취목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향문사 삼고 재배학원론 301p 가지를 어미식물에서 분리시키지 않은 채로 흙을 묻거나, 그 밖에 적당한 조건을 주어서 발근시킨 다음에 잘라서 독립적으로 번식시키는 방법을 취목이라고 한다. 취목의 자세한 방법으로 선취법, 파상취목법, 당목취법, 고취법, 성토법이 있는 거 [해설작성자 : 충대]
<문제 해설> 깻묵 : 기름을 짜고 남은 들깨나 참깨 덩어리로,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된 질소 비분이 식물에 사용할 수 있는 완효성 비료가 됨(질소 8%, 인산 3%, 칼리 1%)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56.
( ) 에 알맞은 내용은?
1.
휴한작물
2.
동반작물
3.
중경작물
4.
환금작물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중경 : 파종 또는 이식 후 작물 생육기간에 작물 사이의 토양을 호미나 중경기로 표토를 긁어 부드럽게 하는 토양관리 작업으로서 잡초의 방제,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의 개선, 작물자체에 대한 기계적인 영향 등을 통하여 작물 생육을 조장시킬 목적으로 실시.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중경작물[ cultivated crop , intertillage crop , 中耕作物 가운데 중,밭갈 경,지을 작,물건 물 ] 스위트클로버, 알팔파 등과 같이 심근성으로 재식에 의해 토양하종의 이화학성 및 생물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 작물.
환금작물[ cash crops, 換金作物 바꿀 환,쇠 금,지을 작,물건 물] 주로 판매하기 위하여 재배되는 작물(예: 담배, 인삼 등).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57.
다음 중 천연 에틸렌에 해당하는 것은?
1.
GA2
2.
IBA
3.
C2H4
4.
MH-30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GA2 - 지베렐린류이다. 2. IBA - 합성 옥신류이다. 4. MH-30 - 생장억제제이다. [해설작성자 : 챈챈]
[오류신고 반론] 살충제, 살비제 모두 해당되지만, 균충초로 분리할때는 살충제가 맞습니다. 살비제는 일본식 표현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JDM]
[오류신고 반론] 해설 추가 피리다벤 pyridaben 화학 살충제로 사용되는 환경 유해 물질. 색과 냄새가 없는 고체상 물질로, 물ㆍ에탄올ㆍ크실렌ㆍ벤젠에 녹는다. 녹는점은 111~112℃이다. 인체에 유입되거나 눈과 피부에 닿으면 유해하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페나자퀸 fenazaquin 화학 살충제로 사용되는 환경 유해 물질. 색이 없는 고체상 물질로, 물에 잘 녹지 않고, 헥산ㆍ톨루엔ㆍ아세톤에 녹는다. 비중은 1.16, 끓는점은 460℃이다. 인체에 유입되거나 눈과 피부에 닿으면 유해하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65.
농약의 제제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역할은 매우 크다. 계면활성제의 작용에 해당하지 않는것은?
1.
습윤작용
2.
분산작용
3.
침투작용
4.
살균작용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작용 : 습윤, 분산, 고착, 침투작용 [해설작성자 : 2022식보]
66.
살충제 파라티온(Parathion)의 성상 및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침투성 약제이다.
2.
해충 방제 효과는 좋으나 인축에는 독성이 강하여 제한을 받는다.
3.
대부분의 유기용매에 불용이며 알칼리에는 안정하다.
4.
접촉독, 가스독 및 소화중독의 세 가지 작용을 함께 가지고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불용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즈주상]
물에는 녹지 않으며 아세톤 등 대부분의 유기용매에 잘 녹는다. [해설작성자 : 부산대 농경제]
- 신경축색의 전달 저해 기능 DDT나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는 외부자극이 축색막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K+이온의 활성 및 Na+이온의 불활성을 억제시켜 활동전위의 하강이 지연되고 휴지전위로의 회복이 늦어져 지속적으로 축색 말단에 자극이 전달됨으로써 곤충이 죽게 된다. [해설작성자 : 스마일퐁퐁]
68.
다음 급성독성 중 그 강도의 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흡입독성 >경피독성 >경구독성
2.
경구독성 >흡입독성 >경피독성
3.
흡입독성 >경구독성 >경피독성
4.
경피독성 >경구독성 >흡입독성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흡입독성:호흡시 가루나 가스가 몸 안으로 들어가 독작용을 일으킴. 경구독성:입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 독작용을 일으킴. 경피독성: 피부에 접촉되어 약물이 체내로 흡수되어 독작용을 일으킴. [해설작성자 : 행복한스누피]
[오류신고 반론] 시대고시, 부민문화사에도 피가 정답입니다. 그리고 2006.1회, 2008년 4회 때 출제된 문제와 100% 동일하게 출제된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르망]
[추가 오류 신고] 시험문제와 현실이 동떨어져서 생긴 오류 같네요 2010년에 이미 논의 피를 비롯한 보기 안의 모든 잡초들이 설포닐우레아계 농약에 저항성을 보여 문제라는 기사가 있는데 문제은행식이라고 같은 문제를 아무 생각없이 계속 돌려내다보니 이런 오류가 생긴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월년생 잡초는 가을. 초겨울에 발생하여 월동후 다음해 여름까지결실및 고사하는 것으로 둑새풀,냉이,망초,별곷, 벼룩나물 등이있다. [해설작성자 : 요미]
90.
물리적 방제법으로 토양을 피복하는 주요 이유는?
1.
잡초 생육에 필요한 물 차단
2.
잡초 생육에 필요한 빛 차단
3.
잡초 생육에 필요한 공기 차단
4.
잡초 생육에 필요한 공간 축소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물리적 잡초방제법 중 피복은 작물-잡초 간 경합시 어느 요소를 주 대상으로 하는가? 광 2012.4 [해설작성자 : 르망]
91.
잡초 종자에 돌기를 갖고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기 쉬운 것은?
1.
여뀌
2.
민들레
3.
소리쟁이
4.
도꼬마리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 잡초의 전파 방법 중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는 잡초는? 2003.1 △ 잡초의 전파 방법 중에서 사람이나 동물에 쉽게 부착되어 전파되어 지는 잡초는? 2013.1 △ 잡초의 산파 방법 중 주로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는 잡초는? 2013.2 △ 잡초의 전파 방법 중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기 쉬운 잡초는? 2015.1 △ 잡초 종자에 돌기를 갖고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기 쉬운 것은? 2018.1 [해설작성자 : 르망]
92.
벼 재배에 주로 사용하지 않는 제초제는?
1.
이사-디 액제
2.
옥사디아존 유제
3.
뷰타글로르 입제
4.
알라클로르 유제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알라크로르 유제 : 콩, 옥수수, 감자 등의 1년생 밭잡초 방제에 이용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 다음 중 논에 사용하는 것이 부적당한 제초제는? 알라유제 2003.1 알라클로르 유제 2008.4 2011.4
♣ 주로 논제초제로 사용되는 것은? butachlor 2005.4
♣ R1-NHC-O-R2를 기본 골격으로 갖는 제초제군은? 카바메이트계 제초제 2010.1 ♣ R1-NHC-O-R2의 화학구조를 기본 골격으로 갖는 제초제군은? 카바메이트계 제초제 20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