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2013년 3회때 마름무늬 매미충에 의해 전염되는 수목병이 아닌 것으로 오동나무 빗자루병이 정답으로 출제된 적이 있다.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병은 맞다. [해설작성자 : 르망]
6.
표징(sign)은 관찰되지만, 배양이 어려운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병해로만 나열된 것은?
1.
포도나무 피어스병, 포도나무 노균병
2.
뽕나무 오갈병, 뽕나무 녹병
3.
대추나무 빗자루병, 대추나무 역병
4.
참외 흰가루병, 참외 노균병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흰가루병, 노균병은 표징 있다. 코흐의 원칙을 적용시킬 수 없는 식물병원체: 바이러스. 흰가루병, 노균병 (배양X) 흰가루병은 잎, 어린 가지 등의 표면에 흰가루를 뿌린 듯 하다. 노균병은 잎 뒷면에 흰 서리 또는 가루 모양의 곰팡이가 생기고 표면은 약간 누렇게 된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7.
식물바이러스의 분류 기준이 되는 특성이 아닌 것은?
1.
세포벽의 구조
2.
핵산의 종류
3.
매개체의 종류
4.
입자의 형태적 특성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세포벽 없음 [해설작성자 : 정산석]
8.
아일랜다에 큰 기근으로 인하여 100만명을 굶어 죽게 하였던 식물병은?
1.
밀 녹병
2.
옥수수 깨씨무늬병
3.
감자 바이러스병
4.
감자 역병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학명은 Phytophthora infestans 공기전염성균과 토양전염성균이있다. 점균류 접합균류에 의한 병이다. 균사형태로 흙속의 병든감자나 씨감자에서 월동한다. 잎언저리에 암록색의 수침상 부정형 병반을 형성한다. 역사적으로 1845년경 대발생했다. [해설작성자 : 2022 식보]
9.
보리에 발생하는 병해 중 바이러스에 의한 것은?
1.
흰가루병
2.
줄무늬병
3.
붉은곰팡이병
4.
줄무늬모자이크병
정답 : [
4
] 정답률 : 79%
10.
벼 도열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병원균의 학명은 Magnaporthe grisea 이다.
2.
잎에 처음에는 암녹갈색 같은 작은 무늬가 생기고 나중에 장방추형이 된다.
3.
병원균의 분생포자는 곤봉형이며 3개의 격막을 가지고 있다.
4.
관개하거나 강수량이 많은 곳에서 재배하며, 다량의 질소비료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가장 중요한 병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8~12개의 격막을 갖고 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불완전세대로 Pyricularia grisea (P.Oryzae)이다.공기전염성 식물병이다. 병원균이 균사 또는 분생포자 형태로 월동하고 다음해의 제1차 전염원이 된다. 제1차 전염에 의해 병무늬가 생기고 거기에 분생포자가 형성되면 그것이 바람에 날려 제2차 전염을 계속한다. 야간온도가 높고 습한조건에서 질소비료를 과용한 논에 잘 발병한다. 비가 자주 오고 일조가 부족하며 다습할때 다발한다. [해설작성자 : 2022 식보]
-병원균의 분생포자는 자낭형 혹은 방추형으로 1~3개의 격막이 있으나 보통은 2개이며 격막부는 약간 잘록하다. 색은 무색 혹은 담올리브색이고 기부에는 각포가 있다.
11.
병원균에 감염된 식물체가 이층(abscission)을 형성함으로써 감염부위를 건전부위와 격리시키는 병은?
1.
옥수수 깜부기병
2.
배추 무사마귀병
3.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4.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소나무 잎떨림병 등은 병반부와 건전부 사이 또는 감염된 조직 경계면에 이층이 형성되어 발병은 저지함.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곤충의 체색 중 흑색이나 갈색으로 표피 내, 진피세포 내 또는 혈액 속에 존재하는 색소화합물은?
1.
carotinoid
2.
pterin
3.
blue bile
4.
melanin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멜라닌(melanin)은 자연계에서 흔히 발견되는 색소 중 하나로서 여러 동물의 체색에 관여하는 피부나 그 밖의 조직 내에 존재하는 갈색 또는 흑색의 색소이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22.
가장 기본적인 발생예찰 방법은?
1.
실험적 방법
2.
통계적 방법
3.
컴퓨터 이용 방법
4.
야외조사 및 관찰 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83%
23.
벼의 해충 중 흡즙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 외에도 줄무늬잎마름병과 검은줄오갈병의 바이러스병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피해를 주는 해충은?
1.
이화명나방
2.
혹명나방
3.
벼멸구
4.
애멸구
정답 : [
4
] 정답률 : 79%
24.
곤충의 외부 기관 중 가슴(흉부)의 부속기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날개
2.
생식기
3.
기문
4.
다리
정답 : [
2
] 정답률 : 75%
25.
1세대를 경과하는데 가장 긴 시간을 필요료 하는 곤충은?
1.
장수풍뎅이
2.
뽕나무하늘소
3.
말매미
4.
소나무좀
정답 : [
3
] 정답률 : 78%
26.
한여름 휴한기에 비닐하우스를 밀폐하면 토중 온도가 높아져서 땅속의 해충을 죽이는 방제법은?
1.
생물적 방제법
2.
물리적 방제법
3.
화학적 방제법
4.
법적 방제법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물리적방제법: 잡초나 병충해방제시 화학적, 생물학적 방제가 아닌 물리적 힘을 가하여 방제하는 방법. 해충의 정상적인 생리활동을 저해하거나 해충이 견디기 어려운 환경조건을 만들어 방제하는 방법으로 저온과 고온, 습도, 방사선, 고주파 등을 이용함.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27.
귀뚜라미의 청각기관이 위치하는 곳은?
1.
가슴
2.
앞다리
3.
뒷다리
4.
가운데다리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귀뚜라미, 여치의 청각기관이 위치하는 곳은 앞다리이다. 앞다리의 종아리 마디에 고막이 있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협하기관 - 경절(종아리마디) 기부에 존재하는 현음기관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28.
곤충의 성페로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작물, 인간, 천적, 환경에 무해하다.
2.
성페로몬 성분의 배합에 의한 반응 차이는 없다.
3.
대상 곤충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한다.
4.
저항성이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성 페로몬은 성분의 배합에 의한 반응 차이가 있어 원하는 해충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합성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29.
곤충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몸은 머리가슴ㆍ배의 2부분으로 구분되고 다리는 4쌍이며 7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2.
몸은 머리ㆍ가슴ㆍ배의 3부분으로 구분되고 다리는 4쌍이며 7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3.
몸은 머리가슴ㆍ배의 2부분으로 구분되고 다리는 3쌍이며 5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4.
몸은 머리ㆍ가슴ㆍ배의 3부분으로 구분되고 다리는 3쌍이며 5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30.
쥐똥밀깍지벌레의 암컷 성충의 형태는?
1.
깍지는 1.0mm 정도이며 원형으로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다.
2.
깍지는 2.0~2.5mm 이며 원추형으로 자갈색이다.
3.
성충은 3.0~4.0mm이며 타원형이고 몸에 흰가루로 두껍게 덮여있다.
4.
깍지는 3.0~308mm로서 원형이며 백색 내지 회백색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쥐똥밀깍지벌레의 암컷 성충의 깍지는 1.0mm 정도이며 원형으로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다. 암컷 성충의 깍지는 광택이 있다. 등면은 약간 융기되어 있으며, 작은 검은무늬가 있다. 수컷 성충의 더듬이는 6절, 발톱마디는 고정형, 항문고리는 반달모양이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31.
해충 방제방법 중 생물적 방제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1.
화학합성농약과 사용시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2.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3.
효과가 더디게 나타난다.
4.
안전한 농산물 생산이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32.
참나무류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참나무 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곤충은?
1.
북방수염하늘소
2.
솔수염하늘소
3.
광릉긴나무좀
4.
털두꺼비하늘소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참나무 시들음병의 병원균은 국내 미기록인 레펠리아속의 신종 곰팡이로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은 대부분 5령의 노숙유충으로 월동한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33.
기주와 해충간의 연결로 틀린 것은?
1.
소나무 - 솔잎혹파리
2.
참나무 - 광릉긴나무좀
3.
벚나무 - 미국흰불나방
4.
은행나무 – 천막벌레나방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천막벌레나방은 참나무류, 벚나무, 장미, 살구, 포플러류 등 활엽수를 다수 가해한다. 은행나무는 해충이 거의 없으나 가루깍지벌레 등이 발견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34.
잠자리 유충의 호흡방식은?
1.
주기적으로 수면으로 부상하여 호흡한다.
2.
공기주머니를 통한 수중 호흡방식이다.
3.
기관아가미를 통한 수중 호흡방식이다.
4.
몸 표면 전체의 얇은 막을 통한 가스 교환방식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잠자리 유충은 물 속에 살고, 배의 각 마디에는 쌍으로 된 기관아가미가 있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35.
다음은 무엇을 설명하는 것인가?
1.
Johnston’s organ
2.
Tympanal organ
3.
Chordotonal organ
4.
Ommatidium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존스톤기관은 소리를 듣는 역할을 하며 주로 수컷이 암컷의 날개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도록 발달되었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36.
담배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추의 주요 해충 중 하나이다.
2.
땅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한다.
3.
1년에 1회 발생한다.
4.
담배에 피해를 준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년에 3회발생! [해설작성자 : 즈주상]
37.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못하고 매년 외국에서 날아와 피해를 추는 해충은?
1.
이화명나방
2.
벼메뚜기
3.
벼방나방
4.
멸강나방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비래해충(월동 못 함) 온난화로 인하여 일부 월동하는 사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 비래하지만 월동하지 않고 매년 외국에서 날아와 피해를 주는 비래해충 -벼멸구, 흰등멸구, 멸강나방, 혹명나방, 꽃매미
월동해충(비래해충 아닌 것) -애멸구, 끝동매미충,번개매미충, 이화명나방 [해설작성자 : 부산대 농경제]
38.
기생성 천적곤충으로 이용가치가 높은 곤충목은?
1.
벌목
2.
매미목
3.
나비목
4.
사마귀목
정답 : [
1
] 정답률 : 75%
39.
곤충의 휴면에 대해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곤충의 휴면은 생활하기에 불리한 환경조건하에서 일어난다.
2.
휴면이 일어나는 충태는 종에 따라 다르다.
3.
곤충의 휴면은 저온 조건하에서만 일어난다.
4.
곤충의 종에 따라서 일장조건이 휴면에 관여하기도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40.
약충과 성충이 벼포기의 하단부를 흡즙하여 벼에 피해를 주는 것은?
1.
벼멸구
2.
벼잎벌레
3.
벼메뚜기
4.
멸강나방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벼멸구의 약충과 성충 모두 벼 포기의 아랫부분 (주로 수면 위 10cm 부위)에 서식하면서 흡즙하므로 쉽게 도복하고 벼의 하엽부터 황색으로 변한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41.
벼가 담수재배에 적응하고 침수 저항성이 큰 이유는?
1.
기원지가 습지이다.
2.
통기계(Air Passage System)가 있다.
3.
지상부에 비해 뿌리의 건물중이 무겁다.
4.
요수량이 적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통기계通氣系(통할 통,기운 기,맬 계) -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는 공기 유동체계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42.
우리나라 논토양의 적정 유기물 함량(g/kg)은?
1.
5~10
2.
25~30
3.
40~50
4.
45~60
정답 : [
2
] 정답률 : 69%
43.
탈질현상을 경감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시비법은?
1.
질산태질소 비료를 논의 산화층에 시비
2.
질산태질소 비료를 논의 환원층에 시비
3.
암모늄태질소 비료를 논의 산화층에 시비
4.
암모늄태질소 비료를 논의 환원층에 시비
정답 : [
4
] 정답률 : 58%
44.
완전히 자가수정을 하는 동형접합체의 1개체로부터 불어난 자손의 총칭은?
1.
계통
2.
순계
3.
종
4.
품종
정답 : [
2
] 정답률 : 69%
45.
동사온도(凍死溫度)가 가장 낮은 것은?
1.
수목의 휴면아
2.
겨울철의 보리
3.
겨울철의 유채
4.
포도의 맹아기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수목의 휴면아, 겨울철의 보리, 겨울철의 유채, 포도의 맹아기 중 동사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수목의 휴면아이다! 동사온도(동사점) = 작물이 단시간내에 동사하는 온도, 식물체나 조직에 동결이 생겼을 때 치사를 유발하는 동결온도 동사온도(동사점)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크게 다르며 같은 작물의 같은 기관이라도 조건에 따라 다르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동상해 응급대책으로 물이 얼 때 잠열(숨은열)이 발생되는 점을 이용하여 작물체 표면에 물을 뿌려 주는 방법은?
1.
발연법
2.
연소법
3.
송풍법
4.
살수빙결법
정답 : [
4
] 정답률 : 84%
51.
토양이나 수질 오염을 통하여 인체에 중금속 중독을 초래하기 쉬운 것은?
1.
카드뮴
2.
구리
3.
망간
4.
몰리브덴
정답 : [
1
] 정답률 : 79%
52.
답압(踏壓)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도복 방지
2.
건조해 경감
3.
영양생장 촉진
4.
서릿발에 의한 동사 방지
정답 : [
3
] 정답률 : 68%
53.
윤작(輪作)의 원리로 틀린 것은?
1.
주작물(主作物)은 지역사정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2.
식량작물(食糧作物)이나 사료작물(飼料作物)의 어느 한 쪽에 치중하여 생산한다.
3.
지력유지를 위하여 콩과작물을 포함시킨다.
4.
잡초의 경감을 위해서 중경작물(中耕作物)이나 피복작물(被服作物)을 포함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54.
식물의 거대형(giant form)은 어떤 경우에 생기는가?
1.
장일성 식물을 단일하에 놓아둘 때
2.
장일성 식물을 장일하에 놓아둘 때
3.
단일성 식물을 단일하에 놓아둘 때
4.
단일성 식물을 장일하에 놓아둘 때
정답 : [
4
] 정답률 : 64%
55.
단명종자인 작물은?
1.
배추
2.
완두
3.
메밀
4.
클로버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단명종자 : 1~2년,메밀,고추,양파,팬지,해바라기,베고니아,상추 상명종자 : 2~3년,벼,완두,목화,토마토 장명종자 : 4~6년 또는 그 이상,콩,녹두,오이,가지,배추,연, 수박, 클로버,나팔꽃,오이,연,장두,배치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콩은 단명종자다
56.
벼의 수해(水害)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얼초기에는 침수가 약하다.
2.
수온이 높으면 침수 피해가 크다.
3.
수잉기부터 출수개화기사이에는 침수에 극히 약하다.
4.
침수로 표토가 씻겨내렸을 때에는 새 뿌리의 발생 후에 추비를 준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57.
밭에서의 가뭄 대책이 아닌 것은?
1.
뿌림골을 낮게 한다.
2.
뿌림골을 넓히거나 재식밀도를 촘촘하게 한다.
3.
봄철 보리밭을 밟아 준다.
4.
가뭄에 견디는 작물과 품종을 선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58.
작물이나 과수에서 순지르기의 효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장을 억제시킨다.
2.
측지(側枝)의 발생을 많게 한다.
3.
개화나 착과(着果)수를 적게 한다.
4.
목화나 두류에서도 효과가 크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주경(主莖)이나 주지(主枝)의 순을 질러서 그 생장을 억제하고 측지(側枝)의 발생을 많게 하여, 개화(開花), 착과(着果), 착립(着粒) 등을 촉진하는 것이다. 과수, 과채류, 목화, 두류 등에서 실시된다. 개화 후 담배의 순을 지르면 잎의 성숙이 촉진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적심 [摘心, pinching]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해설작성자 : 전대응생]
59.
다음 논의 용수량(Q) 계산수식에서 A에 해당되는 것은?
1.
강수량
2.
강우량
3.
유효우량
4.
흡수량
정답 : [
3
] 정답률 : 68%
60.
토양의 pH가 낮아질 때 가급도가 가장 감소되기 쉬운 영양분은?
1.
Fe
2.
P
3.
Mn
4.
B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1번 Fe
강알칼리성이 되면 붕소, 철, 망간 등의 용해도가 감소해서 작물생육을 저해한다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ㅇㅇㅇ]
[오류신고 반론] pH가 낮아진다는 것은 강산성쪽으로 변한다는 것이고 강산성에서의 토양양분흡수변화는 P,Ca,Mg,B,Mo의 가급도감소, Al, Cu Zn Mn의 용해도 증가입니다. [해설작성자 : 다이]
[오류신고 반론] ph가 낮아진다는 것은 산성이 낮아진다는 것이기 때문에 (인산,붕소,칼슘,몰리브덴,질소가 해당이됨) ph가 높아진다고 나오면 산성이 높아진다는 것이기 때문에(망간,철,구리,아연,알루미늄,붕소가 해당이됨) [해설작성자 : 농과 18학번]
[오류신고 반론] ph가 낮아진다=산성이 강해짐 ph가 높아진다=알칼리성이 강해짐 ph7(중성)을 기준으로 숫자가 낮아질수록 강산성 높아질수록 강알칼리성 답은 2번 P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국은종 ]
61.
다음 제제 중 농약의 살포 시 비산(飛散)이 가장 적은 것은?
1.
분제
2.
수화제
3.
유제
4.
입제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분제:유효성분을 talc, 점토광물 등의 고체증량제와 소량의 보조제를 홉합 분쇄한 미분말이다. 수화제:분상으로서 물에 희석 시 수화되는 농약 유제:액상으로 물에 희석 시 유화되는 농약 입제:입자가 굵어 다른 제형에 비해 바람에 덜 날림,비산이 가장 적고 안전성이 높다. [해설작성자 : 강원도 남자]
<문제 해설> 증량제의 종류:벤토나이트,제올라이트,활석(탈크),규조토 증량제 아닌 것:덱스트린,젤라틴,카제인 [해설작성자 : 강원도 사나이]
75.
MAFA제(Neoasozin)은 어느 계통의 농약에 속하는가?
1.
유기비소제
2.
유기인제
3.
유기주석제
4.
유기염소제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Neoasozin네오아소진은 철(fe)을 결합해 약해 문제가 적어 벼 잎집얼룩병과 사과부란병에 효과적이다. 비소라는 중금속 잔류문제로 2010년 사용금지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76.
농약의 독성 표시로 사용되는 LD50의 단위는?
1.
g/kg
2.
μg/kg
3.
mg/m3
4.
mg/kg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LD50 단위는 mg/kg 반수치사약량(LD50)은 농약을 경구나 경피 등으로 투여할 경우 독성시험에 사용된 동물의 반수(50%)를 치사에 이르게 할 수 있는 화학물질의 양(mg/kg 체중)으로 중위치사약량 또는 중앙치사약량이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