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첫문자는 LEFT 함수를 쓰고 중간 문자는 MID함수를 쓰고 마지막 문자는 RIGHT 함수를 씁니다. 문자를 나타낼 때는 반드시 문자 양끝에 "(큰따옴표)가 들어가야합니다. 그러므로 답은 1번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데헷오덕후라능]
31.
다음 중 부분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분합을 어느 항목별로 계산할 것인지를 설정하려면 ‘그룹화할 항목’에서 지정한다.
2.
부분합 실행 결과를 워크시트에서 모두 제거하려면 부분합 결과를 범위 지정한 후, [Delete] 키를 누르면 된다.
3.
부분합과 총합계 행을 하위 수준 데이터 아래에 삽입하려면 ‘데이터 아래에 요약 표시’를 선택한다.
4.
부분합으로 계산할 필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32.
다음 중 셀에 입력한 문자가 기존에 입력한 문자와 일치하면 나머지 문자가 자동으로 채워지는 [셀 내용 자동완성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숫자 또는 날짜만으로 구성된 내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2.
[도구]-[옵션]의 [편집] 탭에서 ‘셀 내용을 자동 완성’이 설정되어 있어야 실행된다.
3.
문자만으로 구성된 내용에 해당되는 사항이다.
4.
나머지 글자가 자동으로 채워진 항목을 그대로 입력하려면 [Enter] 키를 입력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33.
다음 중 사용자 정의 도구 명령을 도구모음 줄에 추가하는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보기]-[도구모음]-[사용자 정의]
2.
[도구]-[사용자 정의]
3.
도구모음 줄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 하여 단축 메뉴에서 [사용자 정의]를 클릭 한다.
4.
[보기]-[사용자 정의 보기]
정답 : [
4
] 정답률 : 60%
34.
다음 중 창 다루기에 관련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창]-[정렬] : 두 개 이상의 파일을 함께 볼 수 있도록 한다.
2.
[창]-[새 창] : 한 파일의 내용을 두 개 이상의 창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한다.
3.
[창]-[나누기] : 하나의 시트를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도록 한다.
4.
[창]-[틀 고정] : 행 단위로만 화면을 고정하여 항상 볼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35.
[데이터]-[외부 데이터 가져오기]을 실행하여 텍스트 파일을 워크시트로 불러오는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데이터의 구분 기호로 탭과 세미콜론, 쉼표만 설정할 수 있다.
2.
일단 워크시트로 불러온 텍스트 파일을 사용하려면 데이터를 다른 워크시트로 복사해야 사용할 수 있다.
3.
원본 텍스트 파일이 수정되어도 불러온 데이터는 원본의 수정된 내용으로 수정할 수 없다.
4.
불러온 텍스트 파일에서 필요한 열만을 선택하여 가져올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5%
36.
다음 중 매크로 작성시에 지정하는 바로 가기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매크로에서 지정한 것보다 엑셀의 단축키가 우선 실행된다.
2.
엑셀에서 지정되어 있는 바로 가기 키를 지정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3.
등록된 바로 가기 키는 [Ctrl]키 또는 [Ctrl]키+[Shift]키와 함께 실행한다.
4.
바로 가기 키는 매크로를 처음 작성할 때에만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37.
다음 중 고급 필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급 필터링 결과를 데이터목록과 다른 시트에 추출할 수 있다.
2.
필터링 결과는 ‘현재 위치에 필터’하거나 ‘다른 장소에 복사’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3.
필터링 전의 원래 데이터를 표시하려면 [데이터]-[필터]-[모두표시]를 선택한다.
4.
고급 필터를 사용하려면 먼저 워크시트 상에 조건을 입력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1%
38.
다음 워크시트에서 금액을 단가에 수량을 곱한 것으로 계산하기 위해 [B3:E3] 영역에 입력할 배열 수식으로 적당한 것은?
1.
{=B1:E1*B2:E2}
2.
{=B1:B2*E1:E2}
3.
{=B1:E1*B3:E3}
4.
{=B1:E2*B2:E1}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B1:E1 영역은 단가, B2:E2 영역은 수량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두 영역을 곱하면 당연히 금액의 결과가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데헷오덕후라능]
39.
다음 사용자 정의 폼에서 ‘결과(cmd결과)’ 버튼을 클릭하면 1에서 50까지의 합계가 아래의 텍스트상자(Txt합계)에 표시되는 프로시저를 다음과 작성하였을 때,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은 어느 부분인가?
1.
Do While NUM < 50
2.
SUM = SUM + NUM
3.
Loop
4.
Txt합계.Caption = SUM
정답 : [
4
] 정답률 : 46%
40.
다음 중 VBA 주요 명령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Sub … End Sub : Sub 프로시저 만들기
2.
Do Until... Loop :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무한적으로 실행하는 제어문
3.
Function … End Function : 사용자정의 함수 만들기
4.
Call : 프로시저 호출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Do Until... Loop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동안 실행하는 제어문이다. [해설작성자 : ㅇㅇ]
41.
다음 SQL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성적 테이블에서 영어성적이 30점보다 작은 영어성적을 10점 증가시켜라.
2.
성적 테이블에서 성적이 30점보다 작은 영어성적을 30점으로 고쳐라.
3.
성적 테이블에서 영어성적이 30점보다 작은 영어성적을 40점으로 고쳐라.
4.
성적 테이블에서 영어성적이 30점보다 작은 영어성적을 30점 증가시켜라.
정답 : [
1
] 정답률 : 77%
42.
액세스에서 데이터 형식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텍스트 : 전화번호처럼 계산이 필요 없는 숫자나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숫자의 조합에 적합하다.
2.
메모 : 255자 이상의 긴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3.
예/아니요 : Yes/No, True/False, On/Off 와 같이 두 값 중 하나만 갖는 필드이고 크기는 1byte이다.
4.
통화 : 산술 계산에 사용되는 소수점 한 자리에서 네 자리까지의 통화 값과 숫자 데이터에 적합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여기서 문제를 자세히 봐야 하는게 뭐냐면 2번의 메모에 대한 설명입니다. 메모는 총 65,535자까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데 2번의 보기에서는 255자 이상이라고 쓰여있습니다. 얼핏 잘못 보면 255자까지만 입력이 가능하다라고 생각해서 2번을 정답으로 고르실수 있는데 그렇게 된다면 훌륭하게 잘낚이신겁니다. 결론은 255자 이상의 긴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 적합하다라는말이 맞다는 소리죠.
3번의 예/아니요의 크기는 1byte가 아니라 1bit입니다. [해설작성자 : 데헷난오덕후라능]
43.
폼 바닥글에 다음과 같은 도메인 계산 함수를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결과에 대해 가장 맞게 설명한 것은?
1.
<사원> 테이블에서 ‘점수’ 필드 값이 80인 레코드의 ‘성명’ 필드 값을 구한다.
2.
<사원> 테이블에서 ‘점수’ 필드 값이 80인 레코드의 개수를 구한다.
3.
<사원> 테이블에서 ‘점수’ 필드 값이 80이고 ‘성명’ 필드에 값이 들어있는 레코드의 개수를 구한다.
4.
<사원> 테이블에서 ‘점수’ 필드 값이 80이고 ‘성명’ 필드에 들어 있는 값의 종류수를 구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44.
다음 중 기본키(Primary Key)와 외부키(Foreign Key)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기본키와 외부키는 동일한 테이블에 동시에 존재할 수 없다.
2.
외부키 필드의 값은 이 필드가 참조하는 필드의 값들 중 하나와 일치하거나 널(null)이어야 한다.
3.
기본키를 이루는 필드의 값은 null이 될 수 없다.
4.
기본키는 개체무결성의 제약조건을 외부키는 참조무결성의 제약조건을 가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기본키와 외부키는 동일한 테이블에 동시에 존재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데헷난오덕후라능]
45.
<제품> 테이블에서 ‘판매일자’라는 필드에 2003년 1월1일부터 2003년 12월 31까지만 날짜만 입력되도록 하는 유효성 검사 규칙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in (#2003/01/01#, #2003/12/31#)
2.
between #2003/01/01# and #2003/12/31#
3.
in (#2003/01/01#-#2003/12/31#)
4.
between #2003/01/01# or #2003/12/31#
정답 : [
2
] 정답률 : 74%
46.
데이터베이스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보안, 데이터 복구, 권한 등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언어를 데이터 제어어(DCL)라 한다.
2.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의 생성 또는 변경 등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를 데이터 정의어(DDL)라 한다.
3.
데이터 제어어는 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 의해 사용된다.
4.
데이터 구조의 삭제 또는 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를 데이터 조작어(DML)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데이터 구조의 삭제 또는 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는 데이터 정의어(DDL)라 한다 [해설작성자 : 후...]
47.
다음과 같은 이벤트 프로시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이름이 ‘cmd실행’인 컨트롤을 클릭 했을 때 이 프로시저가 수행된다.
2.
“회원보고서 결과 완료!!”라는 내용이 적힌 메시지 창이 나타난다.
3.
“회원보고서”라는 보고서가 인쇄된다.
4.
‘cmd실행’ 컨트롤의 캡션에 “동작”이 표시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 메시지 창에는 "회원보고서 결과 완료!!" 가 아닌 "결과 완료!!"라는 내용이 적힌 메시지 창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해설작성자 : 제발 붙게 해주세요ㅠ]
48.
매크로 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잘못된 것은?
1.
FindRecord : 현재 폼이나 데이터시트에서 지정한 조건에 맞는 레코드를 찾는다.
2.
MsgBox : 경고나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상자를 나타낸다.
3.
OutputTo : 현재 데이터베이스 개체(데이터시트, 보고서, 모듈 등)를 인쇄한다.
4.
OpenQuery : 선택쿼리 또는 크로스탭 쿼리를 데이터시트 보기, 디자인 보기, 미리 보기 등으로 열거나 실행 쿼리를 수행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OutputTo는 내보내기입니다. 영어를 해석해보면 쉽게 답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데헷오덕후라능]
49.
다음과 같은 직원(사원번호, 부서명, 성명, 직급) 테이블에서 부서별 인원수가 3명 이상인 부서명을 출력하는 질의문은?
1.
select 부서명 from 직원 having count(*)>=3 group by 부서명
2.
select 부서명 from 직원 group by 부서명 having count(*)>=3
3.
select 부서명 from 직원 where count(*)>=3 group by 부서명
4.
select 부서명 from 직원 group by 부서명 where count(*)>=3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일정한 그룹을 설정하고 조건을 준 다음 결과를 나타내는 질의문에는 Group by를 씁니다. 그리고 Group by에는 반드시 having절이 쓰입니다. [해설작성자 : 데헷오덕후라능]
50.
보고서 작성시 "10중 1페이지", "10중 2페이지" 와 같은 형태로 페이지 번호를 넣으려고 한다. 컨트롤 원본으로 가장 옳은 것은? (단, 10은 전체 페이지 수)
1.
=[Pages] & “중” & [Page] & “페이지”
2.
=[Page] & “중” & [Pages] & “페이지”
3.
=“[Pages] & 중” & “[Page] & 페이지”
4.
=“[Page] & 중” & “[Pages] & 페이지”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Pages] : 총페이지를 나타냅니다. [Page] : 현재페이지를 나타냅니다. "(큰따옴표) : 문자를 표현하고 싶다면 반드시 문자 양끝에 붙여줘야 문자가 출력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데헷오덕후라능]
51.
작성된 컨트롤을 클릭한 후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 키를 눌렀을 때, 실행되는 작업은?
1.
컨트롤 속성 대화 상자가 표시
2.
컨트롤 복사
3.
컨트롤 이동
4.
컨트롤 크기 조정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컨트롤 설정) Shift : 컨트롤 크기 조정 Ctrl : 컨트롤 위치 조정 [해설작성자 : 데헷오덕후라능]
52.
관계 편집 대화상자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설정한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성적> 테이블의 ‘과목코드’를 변경하면 이에 관련된 <과목> 테이블의 ‘과목코드’ 필드 값도 모두 변경된다.
2.
<과목> 테이블의 ‘과목코드’를 변경하면 이를 참조하는 <성적> 테이블의 ‘과목코드’ 필드 값도 모두 변경된다.
3.
<과목> 테이블의 특정 레코드를 삭제하면 이를 참조하는 <성적> 테이블의 레코드도 삭제된다.
4.
<성적> 테이블에서 참조하는 있는 <과목> 테이블의 ‘과목코드’ 필드의 값을 변경할 수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53.
입력란(Text Box) 컨트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제목, 캡션 등과 같은 문자열을 나타낼 때 주로 사용한다.
2.
항상 언바운드이다.
3.
다른 폼을 여는 명령 단추를 만드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
4.
테이블의 필드 값을 표시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5%
54.
다음은 색인(Index)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일련번호, 메모, 하이퍼링크, OLE 개체 등과 같은 데이터 형식의 필드에 대해서는 색인을 설정할 수 없다.
2.
색인을 많이 설정하면 테이블의 변경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3.
하나의 필드나 필드 조합에 인덱스를 만들어 레코드 찾기와 정렬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4.
레코드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때마다 자동으로 업데이트 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번보기에서 일련번호는 인덱스로 설정할수 있습니다. 그것때문에 1번이 틀린듯 합니다. 별달리 좋은 문제는 아닌듯 합니다.
55.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만 인쇄」옵션을 선택하면 레이블과 컨트롤의 테두리, 눈금선이나 선, 사각형과 같은 그래픽 요소들은 인쇄되지 않는다.
2.
데이터시트를 인쇄할 경우에는「데이터만 인쇄」옵션이 표시되지 않고「머리글 인쇄」옵션이 표시된다.
3.
보고서에서의 페이지 설정은 저장이 되지 않으므로 인쇄할 때마다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4.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를 표시하려면「파일」-「페이지 설정」을 선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56.
다음 보고서에서 순번 항목과 같이 그룹내의 데이터에 대한 일련번호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입력란 컨트롤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입력란의 컨트롤 원본을 ‘=1’로 지정하고, 누적총계를 ‘그룹’으로 지정한다.
2.
입력란의 컨트롤 원본을 ‘+1’로 지정하고, 누적총계를 ‘그룹’으로 지정한다.
3.
입력란의 컨트롤 원본을 ‘+1’로 지정하고, 누적총계를 ‘전체’로 지정한다.
4.
입력란의 컨트롤 원본을 ‘=1’로 지정하고, 누적총계를 ‘전체’로 지정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57.
다음은 보고서 작성시 입력란(text box)의 속성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관련 있는 속성은?
1.
텍스트 맞춤
2.
형식
3.
테두리 스타일
4.
확장가능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쉽게 생각해보면 확장이라는 말이 나오므로 확장가능을 답으로 고르셔도 됩니다. [해설작성자 : 데헷오덕후라능]
58.
다음 질의를 수행 한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조회 결과의 레코드 수는 4개이다.
2.
조회 결과 필드수는 3개이다.
3.
4.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Distinct : 중복된 값은 한번만 표시 여기서는 학생들의 학년 중 중복된 값을 한번만 표시하라는 질의문이기에 3번이 정답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데헷오덕후라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