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조사에 있어 자료원에 대한 접근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이냐에 따라 1차 자료와 2차 자료로 구분한다. 도시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차 자료는 계획가가 원하는 현실감 있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도시계획을 위한 도시조사에서는 1차 조사와 2차 조사가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3.
2차 자료에 비해 1차 자료는 비교적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계획가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4.
1차 자료는 도시계획의 대상이 되는 단위 지역이나 당해 지역의 주민들로부터 현지조사나 관찰 및 면접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도출한 자료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1차 자료는 많은 노력과 많은비용이듦 [해설작성자 : 볼빨간사춘기]
3.
도시ㆍ군계획시설의 민간 투자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OO 방식 : 시설의 준공과 동시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소유권이 인정되는 방식
2.
BOT 방식 : 시설의 준공 후 일정 기간 동안 사업시행자에게 소유권이 인정되며, 기간 만료 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소유권이 이전되는 방식
3.
BTO 방식 : 시설의 준공과 동시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소유권이 귀속되며, 사업 시행자에게 일정 기간 시설의 관리 운영권을 인정하는 방식
4.
BLT 방식 : 사업시행자가 시설 준공 후 일정 기간 동안 운영권을 정부에 임대하고 임대 기간 종료 후 시설물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이전하는 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도시*군계획시설의 민간 투자방식(SOC) BTL - 건설 이전 후 리스방식 : 민간시행자가 사회간접자본을 건설한 후 주무관청에 소유권을 넘겨주고 관리운영권을 일정기간 리스하여 사용하는 방식 BTO - 건설 양도 후 운영방식 : 사회간접자본시설의 준공과 동시에 당해시설의 소유권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되며 사업시행자에게 일정기간의 시설관리운영권을 인정 BOT - 건설 운영 후 양도방식 : 사회간접자본시설의 준공 후 일정기간동안 사업시행자에게 당해 시설의 소유권이 인정되며 그 기간의 만료 시 시설 소유권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 BOO - 건설 소유 운영방식 : 사회간접자본시설의 준공과 동시에 사업시행자에게 당해 시설의 소유권을 인정
ROT - 시설 정비 후 운영권 위탁방식 : 국가 또는 지방자치 단체 소유의 기존시설을 정비한 사업시행자에게 일정 기간 동시설에 대한 운영권을 인정 ROO - 시설 정비 후 소유권 인정방식 : 기존시설을 정비한 사업시행자에게 당해 시설의 소유권을 인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BLT - 사업 시행자가 시설 준공 후 일정 기간동안 운영권을 정부에 임대하고 임대 기간 종료 후 시설물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이전하는 방식 BTL- 민간 사업자가 사회간접자본을 건설한 후 주무관청에 소유권을 넘겨주고 관리운영권을 일정 기간 리스하여 사용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토지이용계획의 실행수단은 간접적 실행수단과 직접적 실행수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간접적 실행수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총 밀도=순 밀도*주택용지율 입니다. 따라서 210*0.7=147이므로 1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건동홍]
25.
지구단위계획과 도시설계 및 상세계획 간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법적 근거는 3개 제도가 모두 달랐다.
2.
상세계획을 제외하고 지정 기준의 규모제한이 없다.
3.
제도 도입시기는 도시설계, 상세계획, 지구단위계획 순이다.
4.
계획변경은 도시설계의 경우 도시설계 작성절차, 상세계획의 경우 도시계획 결정절차, 지구단위계획의 경우 도시ㆍ군관리계획 결정절차에 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지정 기준 및 규모 제한이 적용된다 [해설작성자 : GJ 17학번 km]
26.
도시설계에 관하여 아래와 같이 주장한 미국의 사회학자는?
1.
Herbert Gans
2.
Jane Jacobs
3.
Kevin Lynch
4.
Paul D.Spreiregen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근대도시의 문제점' → 제인 제이콥스 [해설작성자 : 도린이]
27.
구조물의 높이(H)와 그 외부 공간의 거리(D)의 관계에서 공간 폐쇄감의 상실(공허감)이 시작되는 각도는?
1.
약 14°
2.
약 18°
3.
약 20°
4.
약 25°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D/H = 1 (45°) : 폐쇄감을 느끼기 시작, 건물 높이에 대한 인식 불가능 D/H = 2 (27°) : 균형감, 안정감, 거리감 인식 가능, 곤뮬울 전체적으로 파악 가능 D/H = 3 (18°) : 폐쇄감을 느끼는 최소의 비례(=최소한의 폐쇄감을 느낌), 헷지맨 & 피아츠 曰 개개의 건축보단 일군의 건축으로 볼 경우 적당한 각도 D/H = 4 (14°) : 폐쇄감을 상실, 공허감·노출감을 인식 * D = W 같은 의미입니다. * 양재호 이론편에서 정리가 이상해서 문제 지문과 해설을 보고 다시 정리해봤습니다. [해설작성자 : 도린이]
28.
정연한 도시환경 질서 위에 가변성이 큰 오픈스페이스 체계를 계획함으로써 과도한 정형성을 완화하고 동시에 양호한 접근로를 조성하는 오픈스페이스 배치 형태는?
1.
연속(sequence)
2.
위요(encirclement)
3.
결절화(nodalization)
4.
중첩(superimposition)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오픈스페이스 배치기법] 1. 핵화 :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고, 형태와 기능이 동일하지 않은 여러 구성요소 중에서 규모가 크거나 활동이 활발한 요소 또는 시각적으로 가장 지배적인 요소를 오픈스페이스 체계의 핵, 또는 초점으로 설정하여 그 요소의 영향이 주변으로 확산되게 함 2. 결절화(연결망의 교점) : 방향성이 다른 오픈스페이스 구성요소들이 서로 만나서 형성되는 결절점에 다양한 특성과 용도를 복합적으로 배치 3. 위요(어떤 지역을 둘러쌈) : 핵의 영향권 범위를 뚜렷이 하여 오픈스페이스의 성격을 부각시키기 위해 천변녹지, 도로연변 녹지대 등이 띠형의 오픈스페이스 요소로서 그 주변을 둘러쌈 4. 중첩 : 정연한 인공환경의 질서위에 자유롭고 가변성이 큰 오픈스페이스 체계를 중첩함으로써 도시의 인공성과 정형성을 완화시키고 접근성이 좋은 오픈스페이스 체계를 형성 5. 관통 : 중첩과 유사한 개념이나, 보다 강력한 선형의 오픈스페이스 요소가 인공환경 속을 명쾌하게 뚫고 지나감으로써 중첩의 효과를 이루고 인공성과 단조감을 극복 6. 연속 : 오픈스페이스 체계를 형성하는 개념 중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서, 각 오픈스페이스마다 독립되고 완결된 활동과 체험을 선형으로 연결하여 이용자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각의 체험을 엮어서 보다 풍성하고 총체적인 체험을 얻도록 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qq]
29.
교차로의 우선방향이 명확하기 때문에 교통사고의 위험이 적으며, 주택지에서 적극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교차로 형태는?
1.
T형
2.
+형
3.
Ring형
4.
Loop형
정답 : [
1
] 정답률 : 60%
30.
다음 중 획지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도에 맞는 적정 획지를 계획하도록 한다.
2.
다양한 규모의 획지로 분할하여 여러 계층의 수요를 고르게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획지계획의 기본 목표는 주택용지의 경우 토지이용의 효율성과 주거의 쾌적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4.
간선가로망 주변에 소형가구를 많이 배치하여 상업시설과 부대시설에 의한 가로변의 미관 저해를 방지하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간선가로망 주변에 소형가구를 많이 배치 -> 미관 저해 O [해설작성자 : 츄파츕스님 ]
31.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아래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2
2.
3
3.
5
4.
10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개발제한구역 및 녹지지역을 제외한 경우 - 1인당 3제곱미터 이상 개발제한구역 및 녹지지역을 포함한 경우 - 1인당 6제곱미터 이상 [해설작성자 : 승방이는살아있다]
32.
도시설계이론 중 설계자의 주관, 직관, 창의력 등에 의존해서 이루어지는 설계접근 방식으로 설계 대상의 규모가 작고 규제가 한정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도시설계 방법은?
1.
개괄적 설계방법
2.
내향적 설계방법
3.
다원적 설계방법
4.
점진적 설계방법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해미드 쉬라바니(Hamid Shiravani)는 도시설계 방법을 내향적, 개괄적, 점진적, 단편적, 다원적, 급진적 설계방법으로 분류하였다. (6가지 방법) 이 중 설계자의 주관, 직관, 창의력 등에 의존해서 이루어지는 설계접근방식으로 설계대상의 규모가 작고 규제가 한정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도시설계 방법은 내향적 설계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다음 중 근린주구(Neighborhood Unit)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페리(C. A. Perry)
2.
아디케스(F. Adickes)
3.
래드번(Radburn) 계획
4.
스타인(Clarence S. Stein)
정답 : [
2
] 정답률 : 74%
34.
단지경관의 기본이론인 맥락(context) 중 2차적 맥락을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1.
지역의 특징적 형태나 유형 등을 참조하여 지역의 향토적 흐름을 유추하는 단계를 말한다.
2.
건축언어를 일치시키는 것이 목적이며, 여기에는 색채, mass, 높이, 처마선 등이 포함된다.
3.
외형상 주변 건물의 파사드를 맞추는 작업으로 시각적 조화를 바탕으로 하는 통일성에 초점을 둔다.
4.
이미지 유추와 같은 추상적 형태를 반영하며 역사나 철학을 바탕으로 설계가의 작품관과 합해진 형태는 추구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차적 맥락 1. 외형상 주변건물의 파사드를 맞추는 작업 2. 시각적 조화를 바탕으로 하는 통일성에 초점, 주로 건축언어의 일치가 대상 3. 실현 방안 : 색채, 매스, 높이, 처마선 등
2차적 맥락 1. 지역의 특정적 형태나 유형 등 제반현상들을 참조하여 지역의 향토적 흐름을 형태적으로 유추하는 단계 2. 건축유형학적 관점에 초점 3. 실현 방안 : 건축구조, 재료, 건축양식, 공조규성방법 등
3차적 맥락 1. 이미지 유추와 같은 추상적 형태를 반영하며 역사나 철학을 바탕으로 설계가의 작품관과 합해진 형태로 가능 2. 알도로시의 유추와 유형형태적 변형 등 [해설작성자 : notable]
35.
주차장법 시행규칙상 노외주차장의 설치에 대한 계획기준에 관한 아래 내용 중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 5조] 7. 주차대수 400대를 초과하는 규모의 노외주차장의 경우에는 노외주차장의 출구와 입구를 각각 따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출입구의 너비의 합이 5.5미터 이상으로서 출구와 입구가 차선 등으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함께 설치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비지캣]
36.
조례로 정한 용적률 500%의 근린상업지역 내 대지에 상징시설을 위한 광장면적을 전체대지면적의 20%로 조성하면서 수립하는 지구단위계획에서 인센티브에 의한 최대 용적률은? (단, 가중치는 0.8로 한다.)
1.
550%
2.
600%
3.
650%
4.
700%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도시지역내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 대지 면적의 일부가 공공시설 또는 기반시설 중 학교와 해당 시도 또는 대도시의 도시·군계획조례로 정하는 기반시설의 부지로 제공되는 것으로 계획되는 경우,
*용적률=(조례로 정하는 용적률)x[1+1.5x가중치x(공공시설등의 부지로 제공하는 면적 / 공공시설등의 부지 제공후 대지면적)] 이내
>> 500% x [1+1.5x0.8x(20%)/80%)] = 650% [해설작성자 : ND]
37.
축척이 1/50000인 지형도 위에 20m 간격으로 등고선이 그려져 있고 5줄마다 계곡선이 있다. 어떤 사면의 경사를 알기 위해 측정한 계곡선 간의 수평거리가 1.2cm이었을 때 이 사면의 경사도는?
1.
약 9%
2.
약 12%
3.
약 17%
4.
약 20%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지형도에서 경사도를 구하는 방법 경사도(%)= 등고선의 높이(h) / 실제수평거리(d) *100 등고선의 높이 = 20m자리 등고선 * 5줄 = 100m 실제수평거리 = 1.2cm * 50,000(축척) = 60000cm = 600m 따라서 경사도는 100/600*100 = 16.666666 약 17% [해설작성자 : 강원개발공사]
38.
학교의 결정기준에 관한 아래 내용 중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1
2.
2
3.
3
4.
4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초등학교는 2개의 근린주거구역단위에 1개의 비율로, 중학교 및 고등학교는 3개의 근린주거구역단위에 1개의 비율로 배치한다. [해설작성자 : notable]
39.
지구단위계획에서 도시ㆍ군관리계획도시의 지형도 축척으로 옳은 것은?
1.
1/500~1/1000
2.
1/1000~1/5000
3.
1/5000~1/10000
4.
1/10000~1/25000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지구단위계획은 도시·군관리계획의 하위 계획으로, 특정 지역을 보다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하기 위해 수립됩니다. 지구단위계획 수립 시 사용하는 지형도의 축척은 1/1000에서 1/5000 사이가 일반적입니다.
지형도 축척별 활용
1/1000: 상세한 현황 파악 및 정밀한 계획 수립에 적합합니다. 1/5000: 광범위한 지역의 현황 파악 및 기본적인 계획 수립에 적합합니다. 참고:
도시·군관리계획 수립 시 사용하는 지형도의 축척은 1/1000 또는 1/5000이며, 지구단위계획 역시 이 축척을 따릅니다. [해설작성자 : urbanism_03]
40.
전통적으로 구분되는 유기적 방법과 구성적 방법으로 도시설계 기법을 제시한 학자는?
1.
David Gosling
2.
Paul Meadows
3.
Oscar Newman
4.
Goeffrey Broadbent
정답 : [
3
] 정답률 : 70%
41.
전원도시이론의 영향을 받아 1904년 만들어진 세계 최초의 전원도시 레치워스(Letch worth)를 계획한 사람은?
1.
오웬
2.
페리
3.
언윈
4.
스타인
정답 : [
3
] 정답률 : 64%
42.
재개발의 목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택 및 물리적 시설의 불량, 노후화를 개선, 예방
2.
도시적 형태와 기능을 지니지 않은 토지에서 도시적 기능을 부여
3.
재개발지구 주민들의 사회 경제적 조건을 향상시키며 공동체적 삶의 질을 향상
4.
교통시설과 교통체계의 정비, 지역사회를 위한 학교, 공원, 우체국 등 다양한 공공시설과 서비스를 적정 배치 공급
정답 : [
2
] 정답률 : 68%
43.
다음 중 부동산과 금융을 결합한 형태로서 유동성 문제와 소액투자 곤란의 문제를 증권화라는 방식을 이용하여 해결하고 있는 부동산 펀드의 대표적인 형태는?
1.
부동산 신디케이션
2.
에스크로우(Escrow)
3.
자산담보부증권(ABS)
4.
부동산투자신탁(REITs)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리츠(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
44.
주택재개발사업 시행방식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순환재개발 방식은 오래된 재개발아파트부터 순차적으로 생애주기별로 재개발해 나가는 방식을 말한다.
2.
자력재개발 방식은 도로, 공원 등 도시기반 시설은 공공이 설치하고, 주민은 토지구획정리사업의 환지기법을 적용하여 환지받은 토지에 각자가 건물을 짓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3.
위탁재개발 방식은 철거를 기본수단으로 하는 사업방식으로 정부가 건설업체를 알선하고 주민이 재정을 부담하여 5층 이하의 공동주택을 건립하는 사업이었다.
4.
합동재개발 방식은 주민과 건설업자, 정부의 3자가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사업으로, 점유한 국ㆍ공유지는 싸게 불하받아 주민을 수용하는 주택이외에 여유분의 주택을 지어 매각함으로써 주민은 사업비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는 방식을 일컫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순환재개발(循環再開發) 주택재개발사업방식의 하나로 재개발구역의 일부 지역 또는 당해 재개발구역 외의 지역에 주택을 건설하거나 건설된 주택(양 주택을 합하여 “순환용주택”이라 함)을 활용하여 재개발구역을 순차적으로 개발하거나 재개발구역 또는 재개발사업시행지구를 수개의 공구로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재개발방식이다
45.
도시마케팅의 구성요소 중 고객으로 간주하기 힘든 것은?
1.
주민
2.
투자기업
3.
경쟁도시
4.
관광객 및 방문객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경쟁도시는 고객이 아닌 경쟁적 요소로 작용한다. [해설작성자 : 유봉삼]
46.
지역의 문화전통과 자연환경에 첨단기술산업의 활력을 도입하여 첨단기술산업군, 학술연구기관, 쾌적한 생활환경의 3가지 기능이 잘 조합된 도시 조성을 실현하여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정주체계를 달성하고자 하는 개발은?
1.
연구단지 개발
2.
테크노폴리스 개발
3.
첨단산업단지 개발
4.
기술창업보육센터 개발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테크노폴리스[Tatsuno, 1986] 쾌적한 자연환경과 효율적인 모도시의 생활기반 서비스를 바탕으로 첨단산업의 활력을 도입함으로써 산업(첨단기술 산업군), 대학(학술연구기관), 주거(쾌적한 생활화녕 및 도시 서비스(의 3가지 기능이 잘 조화된 도시환경을 실현시키기 위한 개발방안 [해설작성자 : 미르대디]
47.
‘부동산증권화’의 효과 중 맞는 것은?
1.
자산보유자의 입장에서 증권화를 통해 유동성을 낮출 수 있다.
2.
투자자 입장에서는 위험이 크지만 수익률이 좋은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기회를 가지게 된다.
3.
자산보유자의 입장에서는 대출회전율이 높아져 총수익이 증가하고 대출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
4.
차입자 입장에서는 단기적으로 직접적 혜택이 크며, 장기적으로 대출한도의 확대와 금리인하로 인한 차입여건 개선이 가능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① 자산보유자의 입장에서 증권화를 통해 유동성을 높일 수 있다. ② 투자자 입장에서는 위험이 적은 금융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④ 차입자 입장에서 단기적보다는 장기적으로 안정화되는 자산 관리를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유봉삼]
기업의 자금조달 구조를 크게 내부자금과 외부자금으로 분류할 때에 다음 중 내부자금의 형태에 해당하는 것은?
1.
국제리스
2.
상업차관
3.
회사채 발행
4.
감가상각충당금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기업의 내부자금 = 사내유보금, 준비금, 감가상각충당금 기업의 외부자금 = 국내금융과 해외금융 [해설작성자 : notable]
50.
수출기반모형에서 가정하는 사항들 중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오픈된 경제
2.
동일한 생산비
3.
동일한 생산기술
4.
동일한 소비수준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수출기반 모형의 가정사항 - 동일한 노동 생산성 - 동일한 소비수준 - 폐쇄된 경제 [해설작성자 : 도시공]
51.
도시ㆍ군계획시설로서의 도로의 일반적 결정기준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는 것은?
1.
기존 도로를 확장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양쪽 방향으로 동일한 폭만큼씩 확장한다.
2.
국도대체우회도로에는 집산도로 또는 국지도로가 직접 연결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3.
도로의 폭은 당해 시ㆍ군의 인구 및 발전전망을 감안한 교통수단별 교통량분담계획, 당해 도로의 기능과 인근의 토지이용계획에 의하여 정한다.
4.
도로가 전력전화선 등을 가설하거나 변압기 탑ㆍ개폐기탑 등 지상시설물이나 상하수도ㆍ공동구 등 지하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기반이 되도록 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도시계획시설기준에관한규칙 제 10조(도로에 대한 결정기준)] 6. 도로는 전력전화선 등의 가설, 변압기탑 개폐기탑등 지상시설물의 설치와 상하수도 공동기등 지하시설물의 설치기반에 기여할 수 있도록 결정하여야 한다. 7. 이미 설치된 도록의 확폭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어느 편측으로 확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비지캣]
<2021년 개정> 11. 기존 도로를 확장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한쪽 방향으로 확장하도록 하고, 도로의 선형, 보상비, 공사의 난이도, 공 사비, 주변토지의 이용효율, 다른 공공시설과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도로부지에 국ㆍ공유지가 우선적으로 편 입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산소탱크]
52.
도시정책에서 복합용도개발의 근본적인 목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직주근접 유도
2.
원거리 통행 감소
3.
분산적 도시화 추진
4.
도시의 외연적 확산 완화
정답 : [
3
] 정답률 : 77%
53.
대중교통중심개발(TOD)의 주요 원칙으로 틀린 것은?
1.
지역 내 목적지간 보행친화적인 가로망을 구축한다.
2.
생태적으로 민감함 지역이나 수변지, 양호한 공지의 보전을 추구한다.
3.
TOD내에는 대중교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의 저밀도 공동주택만을 조성한다.
4.
대중교통 정류장으로부터 보행거리 내에 상업, 주거, 업무, 공공시설 등을 혼합 배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TOD 내에는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의 고 밀도 복합용도시설 위주로 계획한다. [해설작성자 : 유봉삼]
54.
다음 중 프로젝트 금융(Project Financ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금융기관이 부담하는 각종 위험이 통상적인 기업금융에 비해 적은 편이다.
2.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상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잡한 금융절차를 가진다.
3.
사업추진 과정상의 제약요인들을 다양하고 유연한 사업기법을 적용하여 사업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4.
별도의 프로젝트회사를 설립하여 사업을 수행하므로 비소구금융 및 부외금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55.
다음 중 도시개발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지방식으로 시행하려 할 때 환지계획의 작성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은?
1.
환지 설계
2.
필지별로 된 환지 명세
3.
환지 청산금 징수 시기
4.
필지별과 권리별로 된 청산 대상 토지 명세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도시개발법 제 28조(환지 계획의 작성)] 1) 시행자는 도시개발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지 방식으로 시행하려면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환지 계획을 작성하여야 한다. 1. 환지 설계 2. 필지별로 된 환지 명세 3. 필지별과 권리별로 된 청산 대상 토지 명세 4. 제 34조에 따른 체비지 또는 보류지의 명세 5. 제 32조에 따른 입체 환지를 계획하는 경우에는 입체 환지용 건축물의 명세와 제 32조의 3에 따른 공급 방법, 규모에 관한 사항. 6. 그밖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비지캣]
56.
개발권양도(Transfer of Development Rights, TDR) 제도에서 개발에 대한 규제가 강한 지역은?
1.
개발유도지역
2.
개발권 발급지역
3.
개발권 이전지역
4.
개발권 유통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개발권양도(Transfer of Development Rights, TDR)제도 는 문화재 보존이나 환경보호 등을 위해 해당 지역의 토지소유 자로 하여금 다른 지역에 대한 개발권을 부여하는 제도로서 개발권 이전지역은 개발에 대한 규제가 강하게 적용된다 [해설작성자 : 유봉삼]
발급지역(Sending site): 규제로 개발권이 생성되는 지역 이전지역(Receiving site): 보전지역의 개발권을 매입할 수 있는 지역 => 개발에 대한 규제가 강한 지역은 개발권을 매입한 이전지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다음 중 급속한 도시화와 과도한 개발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극복하여 지속가능한 개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등장한 도시 개발 패러다임으로 가장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유비쿼터스도시(U-city)
2.
컴팩트시티(Compact City)
3.
어반 빌리지(Urban Village)
4.
뉴어바니즘(New Urbanism)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도시개발 패러다임으로는 스마트성장, 압축도시, 뉴어바니즘, 어반빌리지가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Robert Goodland(1994)가 제안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sustainable urban development)의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경제적 지속성
2.
물리적 지속성
3.
사회적 지속성
4.
환경적 지속성
정답 : [
2
] 정답률 : 63%
59.
계획단위개발(PUD)의 문제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평범한 고밀도단지를 형성할 우려가 있다.
2.
고용기회를 갖추지 못한 채 대량의 인구를 입주시킬 우려가 있다.
3.
PUD의 제안, 심사, 협상, 공청회 등 시행과정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된다.
4.
주택형식 디자인의 유동성이 크고 클러스터링으로 인해 다양한 배치가 불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60.
일반적인 주거용지의 배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파트용지는 각종 제한사항이 적은 지역에 배치
2.
단독주택용지는 주변의 단독주택과 접한 위치에 배치
3.
연립주택용지는 소규모택지, 고도제한지역, 고지대 등에 배치
4.
준주거용지는 대규모 상업지역과 공업지역의 완충역할이 필요한 지역에 배치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공업지역 -> 주거지역으로 [해설작성자 : 츄파츕스님 ]
61.
공간적 거점의 중심으로 기능적 연계가 밀접하게 형성된 공간단위를 의미하는 지역의 종류는?
1.
결절지역
2.
계획지역
3.
동질지역
4.
사업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지역을 구성하는 요소에 공통성이 없고 상호간의 성질이 같지 않더라도 1개의 핵, 또는 극을 중심으로 그것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범위 지역을 말한다. 결절점을 이루는 것에는 상업 ·공업 ·행정 ·문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들 수 있으며, 그것은 다시 교통망 ·통신망의 밀도에 따라 표현되고, 그것들이 집중되는 곳일수록 결절도는 높다.
62.
다음 지역계획의 이론들을 그 발생시기가 빠른 것부터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A - B - C - D
2.
A - B - D - C
3.
A - C - D - B
4.
A - C - B - D
정답 : [
4
] 정답률 : 71%
63.
다음 중 수도권정비계획안의 승인권자는?
1.
대통령
2.
국무총리
3.
경기도지사
4.
국토교통부장관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수도권정비계획법 제 4조] 1) 국토교통부장관은 수도권의 인구 및 산업의 집중을 억제하고 적절하게 배치하기 위하여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 또는 도지사의 의견을 들어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수도권 정비계획안을 입안한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제 1항에 따른 수도권정비계획안을 제 21조에 따른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후 국무회의의 심의와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 결정한다. 결정된 수도권 정비계획을 변경할 때에도 또한 같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은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변경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비지캣]
64.
한센(N. Hansen)이 과밀지역, 중간지역, 낙후지역으로 지역을 구분한 기준은?
1.
기능지역
2.
계획지역
3.
동질지역
4.
사업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64%
65.
P. Cooke(1992)가 제안한 개념으로 “제품ㆍ공정ㆍ지식의 상업화를 촉진하는 기업과 제도들의 네트워크”라고 정의한 대안적 지역개발이론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혁신환경론
2.
신산업공간론
3.
클러스터이론
4.
지역혁신체제론
정답 : [
4
] 정답률 : 60%
66.
다음 외국의 수도이전 사례 중 기존 수도의 혼잡과 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수도를 건설한 사례에 해당하는 것은?
1.
터키의 앙카라
2.
브라질의 브라질리아
3.
말레이시아의 푸트라자야
4.
파키스탄의 이슬라마바드
정답 : [
3
] 정답률 : 60%
67.
입지상은 어떤 지역의 산업이 전국의 동일 산업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그 지역산업의 상대적인 특화정도를 나타낸 계수이다. 보기의 경우 지역산업의 입지계수는?
1.
1
2.
1.5
3.
2.
4.
2.5
정답 : [
2
] 정답률 : 79%
68.
다음 중에서 인구 5만명 이상의 도시를 포함하거나, 도시화지역을 포함하면서 총인구가 10만명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곳은?
1.
미국의 대도시통계지역(Metroploitan Statistical Area)
2.
영국의 표준대도시권(Standard Metroploitan Labour Area)
3.
일본의 기능적 도시권(Functional Urban Region)
4.
우리나라의 광역도시권
정답 : [
1
] 정답률 : 60%
69.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선형모형(직선법)에 의해 추계한 2015년의 인구는? (단, 기준년도는 1995년이다.)
개발제한구역내 토지 중 매수청구가 있는 경우 매수대상여부와 매수예상가격 등을 매수청구인에게 알려주어야 하는 기간은?
1.
토지의 매수를 청구받은 날부터 2개월 이내
2.
토지의 매수를 청구받은 날부터 3개월 이내
3.
토지의 매수를 청구받은 날부터 6개월 이내
4.
토지의 매수를 청구받은 날부터 1년 이내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환 특별조치법 18조(매수청구의 절차 등) ①국토교통부장관은 토지의 매수를 청구받은 날부터 2개월 이내에 매수대상 여부와 매수예상가격 등을 매수청구인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②국토교통부장관은 제 1항에 따라 매수대상토지임을 알린 경우에는 5년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에 매수계획을 수립하여 그 매수대상토지를 매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notable]
82.
다음 중 국토교통부장관이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된 지역에 대하여 해제 후 최초로 결정되는 도시ㆍ군관리계획의 내용이 해제의 목적이나 용도에 부합하지 아니하는 경우, 도시ㆍ군관리계획을 조정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기간은?
1.
도시ㆍ군관리계획이 결정ㆍ고시된 날부터 14일 이내
2.
도시ㆍ군관리계획이 결정ㆍ고시된 날부터 1개월 이내
3.
도시ㆍ군관리계획이 결정ㆍ고시된 날부터 3개월 이내
4.
도시ㆍ군관리계획이 결정ㆍ고시된 날부터 6개월 이내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 5조(해제된 개발제한구역의 재지정 등에 관한 특례] 1) 국토교통부장관은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된 지역에 대하여 해제 후 최초로 결정되는 도시 군관리계획의 내용이 해제의 목적이나 용도 등에 부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 도시 군관리계획이 결정 고시된 날로부터 3개워러 이내에 해제지역을 관할하는 특별시장 광역시장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시자 시장 또는 군수에게 상당한 기한을 정하여 도시 군관리계획을 조정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비지캣]
83.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하여 시행자가 한 처분에 이의가 있을 때 지정권자에게 행정심판을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은?
1.
처분이 있은 것을 안 날부터 3개월 이내
2.
처분이 있은 날로부터 6개월 이내
3.
처분이 있은 것을 안 날부터 1개월 이내, 처분이 있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
4.
처분이 있은 것을 안 날부터 3개월 이내, 처분이 있은 날로부터 6개월 이내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택지개발촉진법 제27조(행정심판)] 이 법에 따라 시행자가 한 처분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때에는 그 처분이 있은 것을 안 날부터 1개월 이내, 처분이 있은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지정구너자에게 행정심판을 제기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비지캣]
84.
건축법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적률”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2.
“건폐율”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3.
“건축”이란 건축물을 신축ㆍ증축ㆍ개축ㆍ재축ㆍ이전 또는 대수선하는 것을 말한다.
4.
“대지”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각 필지로 나눈 토지를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 대수선x [해설작성자 : ㅅㄱㅇ]
85.
주택법상 공동주택 리모델링 지원센터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권리변동계획 수립에 관한 지원
2.
설계자 및 시공자 선정 등에 대한 지원
3.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부정행위 관리감독
4.
리모델링주택조합 설립을 위한 업무 지원
정답 : [
3
] 정답률 : 56%
86.
관광진흥법령상 관광단지 조성사업에 따른 이주자를 위한 이주대책 수립 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이주민 민원처리 방식
2.
이주방법 및 이주시기
3.
택지 및 농경지의 매입
4.
택지 조성 및 주택 건설
정답 : [
1
] 정답률 : 55%
87.
광역도시계획의 수립권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가계획과 관련된 광역도시계획의 수립이 필요한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이 수립한다.
2.
광역계획권이 둘 이상의 시ㆍ도의 관할 구역에 걸쳐 있는 경우 관할 도지사가 단독으로 수립한다.
3.
광역계획권이 같은 도의 관할구역에 속하여 있는 경우 관할 시장 또는 군수가 공동으로 수립한다.
4.
광역계획을 지정한 날부터 3년이 지날 때까지 관할 시ㆍ도지사로부터 광역도시계획의 승인 신청이 없는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이 수립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둘 이상의 시ㆍ도의 관할 구역에 걸쳐 있는 경우 관할 시ㆍ도지사가 공동으로 수립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다. [해설작성자 : 도송]
88.
도시개발법상 도시개발사업에서 토지소유자에 포함되는 자는?
1.
임차권자
2.
전세권자
3.
지역권자
4.
지상권자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지상권자 : 타인의 토지에 건물, 기타 공작물이나 수목을 소유하기 위하여 그 토지를 사용하는 권리가 있는 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다음 중 주차장법상 주차장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노상주차장
2.
노변주차장
3.
노외주차장
4.
부설주차장
정답 : [
2
] 정답률 : 77%
90.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상 아래 내용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300만원 이하의 벌금
2.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제53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 에 처한다. <개정 2015. 1. 6.> 1. 제20조제1항 또는 제21조제1항을 위반하여 위탁 또는 인가를 받지 아니하고 도시공원 또는 공원시설을 설치하거나 관리한 자 2. 제24조제1항, 제27조제1항 단서 또는 제38조제1항을 위반하여 허가를 받지 아니하거나 허가받은 내용을 위반하여 도시공원 또는 녹지에서 시설ㆍ건축물 또는 공작물을 설치한 자 3.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제24조제1항, 제27조제1항 단서 또는 제38조제1항에 따른 허가를 받은 자 4. 제40조제1항을 위반하여 도시공원에 입장하는 사람으로부터 입장료를 징수한 자 [해설작성자 : 냉보리차]
91.
도시개발법에 의한 개발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개발계획은 지정권자가 수립하여야 한다.
2.
개발계획 수립 시 지구단위계획을 첨부하여야 한다.
3.
개발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는 공청회 또는 주민공람을 거쳐 주민의 의견을 청취하여야 한다.
4.
도시개발구역지정권자는 도시개발사업을 환지방식으로 시행하고자 하는 경우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때에는 환지방식이 적용되는 지역의 토지면적의 3분의 2 이상에 해당하는 토지소유자와 그 지역의 토지소유자 총수의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2. 첨부사항 포함 x 3. 공청회, 주민공람과정 x 토지소유자의 동의과정 있음 4. 3분의 2 이상 동의x. 2분의 1 이상의 동의 [해설작성자 : GJ 17학번 km]
3. 제7조(주민 등의 의견청취) ① 제3조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 시ㆍ도지사 또는 대도시 시장이 도시개발구역을 지정(대도시 시장이 아닌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의 요청에 의하여 지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하고자 하거나 대도시 시장이 아닌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도시개발구역의 지정을 요청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공람이나 공청회를 통하여 주민이나 관계 전문가 등으로부터 의견을 들어야 하며, 공람이나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면 이를 반영하여야 한다. -> "개발계획 수립" 시 X, "도시개발구역 지정" 시 의견청취 O
4. 지정권자는 도시개발사업을 환지방식으로 시행하고자 하는 경우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때에는 환지방식이 적용되는 지역의 토지면적의 3분의 2 이상에 해당하는 토지소유자와 그 지역의 토지소유자 총수의 2분의 1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홍대대학교 도시까]
92.
건축법령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는 것은?
1.
지역 및 지구의 지정에 관한 규정
2.
건축물의 유지와 관리에 관한 규정
3.
건축물의 대지 및 도로에 관한 규정
4.
건축물의 구조 및 지료 등에 관한 규정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지역 및 지구의 지정에 관한 규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93.
도시개발법상 환지계획의 작성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환지 설계
2.
권리별로 된 환지 명세
3.
필지별과 권리별로 된 청산 대상 토지 명세
4.
입체 환지를 계획하는 경우에는 입체 환지용 건축물의 명세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환지계획의 작성 1.환지설계 2.필지별로 된 환지명세 ** 3.필지별과 권리별로 된 청산 대상 토지 명세 4.체비지 또는 보류지의 명세 5.입체환지를 계획하는 경우에는 입체 환지용 건축물의 명세와 공급방법, 규모에 관한사항 6.그 밖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ㅅㄱㅇ]
94.
도시ㆍ군계획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상 다음의 도시ㆍ군계획시설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주차장”이라 함은 주차장법 규정에 의한 노외주차장과 노상주차장을 말한다.
2.
유원지의 규모는 1만제곱미터 이상으로 당해 유원지의 성격과 기능에 따라 적정하게 한다.
3.
광장의 결정기준에 따른 분류에는 교통광장, 일반광장, 경관광장, 지하광장 및 건축물부설 광장이 있다.
4.
“운동장”이라 함은 국민의 건강증진과 여가선용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종합운동장으로써, 관람석 수 1천석 이하의 소규모 실내운동장을 제외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한 용어의 정리
주차장 : [주차장법]에 의한 '노외주차장'을 말한다. (노상주차장, 부설주차장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보솜이]
95.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에는 시설설치에 따라 수용될 토지 등의 세목이 첨부되어야 한다.
2.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은 5년 단위로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을 승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4.
개발제한구역관리계획은 개발제한구역안의 취락지구의 지정 및 정비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4%
96.
개발행위의 허가 대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토석의 채취
2.
경작을 위한 토지의 형질 변경
3.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 설치
4.
녹지지역ㆍ관리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 물건을 1개월 이상 쌓아 놓는 행위
정답 : [
2
] 정답률 : 58%
97.
주택법에 의한 사업계획의 승인을 득하였을 때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해 의제처리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실시계획의 인가
2.
도시ㆍ군관리계획의 결정
3.
도시ㆍ군계획시설 사업시행자의 지정
4.
도시ㆍ군계획시설에 대한 지형도면의 고시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지형도면 고시는 행정 절차상 주민에게 계획시설이 결정되었음을 알리기 위한것인데 이는 의제처리(따로 하지 않아도 되는것)이 아니라 여전히 별도로 고시 해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8.
주차장법령상 노외주차장에 설치할 수 있는 부대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시ㆍ군 또는 구의 조례로 정하는 시설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관리사무소
2.
자동차 관련 수리 판매시설
3.
간이매점, 자동차 장식품 판매점
4.
노외주차장의 관리ㆍ운영상 필요한 편의시설
정답 : [
2
] 정답률 : 70%
99.
문화재ㆍ전통사찰 등 역사ㆍ문화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시설 및 지역의 보호와 보존할 필요가 있어 지정하는 용도지구는?
1.
특화경관지구
2.
특정개발진흥지구
3.
중요시설물보존지구
4.
역사문화환경보호지구
정답 : [
4
] 정답률 : 84%
10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도시ㆍ군관리계획의 결정 또는 변경결정에서 주민 및 지방의회의 의견청취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은?
1.
도시철도
2.
주간선도로
3.
여객자동차터미널
4.
소공원 및 어린이공원
정답 : [
4
] 정답률 : 6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③
①
③
①
②
②
④
②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①
③
④
④
②
③
②
①
④
③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④
①
③
②
②
①
④
①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②
②
①
④
③
③
③
②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②
④
①
③
②
③
③
④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③
③
①
③
③
①
②
④
④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④
①
③
④
③
②
①
④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④
④
④
②
②
③
③
②
②
②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③
③
③
③
①
②
④
②
③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①
①
②
①
①
②
④
②
④
④
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9월1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