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계와 그 주변계가 열교환이 일어날 경우 폐쇄계와 주변계 각각의 엔트로피는 모두 상승한다.
4.
동일한 온도 범위에서 작동되는 가역 열기관은 비가역 열기관보다 열효율이 높다.
정답 : [
3
] 정답률 : 41%
30.
출력 10000kW의 터빈 플랜트의 시간당 연료소비량이 5000kg/h이다. 이 플랜트의 열효율은 약 몇 %인가? (단, 연료의 발열량은 33440kJ/kg이다.)
1.
25.4%
2.
21.5%
3.
10.9%
4.
40.8%
정답 : [
2
] 정답률 : 49%
31.
저열원 20℃와 고열원 700℃ 사이에서 작동하는 카르노 열기관의 열효율은 약 몇 %인가?
1.
30.1%
2.
69.9%
3.
52.9%
4.
74.1%
정답 : [
2
] 정답률 : 50%
32.
100kPa, 25℃ 상태의 공기가 있다. 이 공기의 엔탈피가 298.615kJ/kg이라면 내부에너지는 약 몇 kJ/kg인가? (단, 공기는 분자량 28.97인 이상기체로 가정한다.)
1.
213.05 kJ/kg
2.
241.07 kJ/kg
3.
298.15 kJ/kg
4.
383.72 kJ/kg
정답 : [
1
] 정답률 : 38%
33.
보일러 입구의 압력이 9800 kN/m2 이고, 응축기의 압력이 4900 N/m2 일 때 펌프가 수행한 일은 약 몇 kJ/kg 인가? (단, 물의 비체적은 0.001m3/kg 이다.)
1.
9.79
2.
15.17
3.
87.25
4.
180.52
정답 : [
1
] 정답률 : 51%
34.
온도 15℃, 압력 100kPa 상태의 체적이 일정한 용기 안에 어떤 이상 기체 5kg이 들어있다. 이 기체가 50℃가 될 때까지 가열되는 동안의 엔트로피 증가량은 약 몇 kJ/K 인가? (단, 이 기체의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은 각각 1.001KJ/kgㆍK , 0.7171KJ/kgㆍK 이다.)
평판 위의 경계층 내에서의 속도분포(u)가 일 때 경계층 배제두께(boundary layer displacement thickness)는 얼마인가? (단, y는 평판에서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이며, U는 자유유동의 속도, δ는 경계층의 두께이다.)
1.
δ/8
2.
δ/7
3.
6/7δ
4.
7/8δ
정답 : [
1
] 정답률 : 30%
47.
밀도가 ρ인 액체와 접촉하고 있는 기체 사이의 표면장력이 σ라고 할 때 그림과 같은 지름 d의 원통 모세관에서 액주의 높이 h를 구하는 식은? (단, g는 중력가속도이다.)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49%
48.
다음 변수 중에서 무차원 수는 어느 것인가?
1.
가속도
2.
동점성계수
3.
비중
4.
비중량
정답 : [
3
] 정답률 : 51%
49.
그림과 같이 반지름 R인 원추와 평판으로 구성된 점도측정기(cone and plate viscometer)를 사용하여 액체시료의 점성계수를 측정하는 장치가 있다. 위쪽의 원추는 아래쪽 원판과의 각도를 0.5˚ 미만으로 유지하고 일정한 각속도 로 회전하고 있으며 갭 사이를 채운 유체의 점도는 위 평판을 정상적으로 돌리는데 필요한 토크를 측정하여 계산한다. 여기서 갭 사이의 속도 분포가 반지름 방향 길이에 선형적일 때, 원추의 밑면에 작용하는 전단응력의 크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단응력의 크기는 반지름 방향 길이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2.
전단응력의 크기는 반지름 방향 길이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3.
전단응력의 크기는 반지름 방향 길이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4.
전단응력의 크기는 반지름 방향 길이의 1/2승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25%
50.
그림과 같이 폭이 2m, 길이가 3m인 평판이 물속에 수직으로 잠겨있다. 이 평판의 한쪽면에 작용하는 전체 압력에 의한 힘은 약 얼마인가?
1.
88kN
2.
176kN
3.
265kN
4.
353kN
정답 : [
3
] 정답률 : 46%
51.
유량 측정 장치 중 관의 단면에 축소부분이 있어서 유체를 그 단면에서 가속시킴으로써 생기는 압력강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있다. 다음 중 이러한 방식을 사용한 측정장치가 아닌 것은?
1.
노즐
2.
오리피스
3.
로터미트
4.
벤투리미터
정답 : [
3
] 정답률 : 40%
52.
나란히 놓인 두 개의 무한한 평판 사이의 층류 유동에서 속도 분포는 포물선 형태를 보인다. 이 때 유동의 평균 속도(Vau)와 중심에서의 최대 속도(Vmax)의 관계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층류 원관 유동일 때 : Vmax = 2*Vav 두 개의 평판 사이의 층류 유동일 때 : Vmax = (3/2)*Vav [해설작성자 : 대충 살자]
53.
안지름 10cm인 파이프에 물이 평균속도 1.5cm/s로 흐를 때(경우ⓐ)와 비중이 0.6이고 점성계수가 물의 1/5인 유체 A가 물과 같은 평균속도로 동일한 관에 흐를 때(경우ⓑ), 파이프 중심에서 최고속도는 어느 경우가 더 빠른가? (단, 물의 점성계수는 0.001kg/(m*s)이다.)
1.
경우ⓐ
2.
경우ⓑ
3.
두 경우 모두 최고속도가 같다
4.
어느 경우가 더 빠른지 알 수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난류 유동에서는 분자 간의 충돌저항으로 유속이 떨어져 최대 유속이 평균속도의 1.2배 정도이다.
무게가 1000N인 물체를 지름 5m인 낙하산에 매달아 낙하할 때 종속도는 몇 m/s가 되는가? (단, 낙하산의 항력계수는 0.8, 공기의 밀도는 1.2kg/m3이다.)
1.
5.3
2.
10.3
3.
18.3
4.
32.2
정답 : [
2
] 정답률 : 44%
55.
점성계수의 차원으로 옳은 것은? (단, F는 힘, L은 길이, T는 시간의 차원이다.)
1.
FLT-2
2.
FL2T
3.
FL-1T-1
4.
FL-2T
정답 : [
4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점성계수는 Pa*s 로 풀면 kg/m*s 로 3번임 일반기계기사 17년 2회문제도 3번으로 되어있음 [해설작성자 : ㅇㅇ]
[오류신고 반론] Pa*s=(N/m^2)*s=FL^(-2)T 위에 오류 신고하신 분이 F를 M으로 착각하신 듯 합니다. 답은 이상이 없습니다... FL^(-2)T = ML^(-1)T^(-1) [해설작성자 : 대충 살자]
56.
스프링클러의 중심축을 통해 공급되는 유량은 총 3L/s이고 네 개의 회전이 가능한 관을 통해 유출된다. 출구 부분은 접선 방향과 30˚의 경사를 이루고 있고 회전 반지름은 0.3m이고 각 출구 지름은 1.5cm로 동일하다. 작동 과정에서 스프링클러의 회전에 대한 저항토크가 없을 때 회전 각속도느 약 몇 rad/s인가? (단, 회전축상의 마찰은 무시한다.)
1.
1.225
2.
42.4
3.
4.24
4.
12.25
정답 : [
4
] 정답률 : 36%
57.
5℃의 물(밀도 1000kg/m3, 점성계수 1.5×10-3kg/(mㆍs))이 안지름 3mm, 길이 9m인 수평파이프 내부를 평균속도 0.9m/s로 흐르게 하는데 필요한 동력은 약 몇 W인가?
1.
0.14
2.
0.28
3.
0.42
4.
0.56
정답 : [
2
] 정답률 : 26%
58.
정상 2차원 속도장 내의 한 점(2,3)에서 유선의 기울기 는?
1.
-3/2
2.
-2/3
3.
2/3
4.
3/2
정답 : [
1
] 정답률 : 43%
59.
압력 용기에 장착된 게이지 압력계의 눈금이 400kPa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실험실에 놓여진 수은 기압계에서 수은의 높이는 750mm이었다면 압력 용기의 절대압력은 약 몇 kPa인가? (단, 수은의 비중은 13.6이다.)
1.
300
2.
500
3.
410
4.
620
정답 : [
2
] 정답률 : 47%
60.
다음 중 2차원 비압축성 유동이 가능한 유동은 어떤 것인가? (단, u는 x방향 속도 성분이고, v는 y방향 속도 성분이다.)
1.
u=x2-y2, v=-2xy
2.
u=2x2-y2, v=4xy
3.
u=x2+y2, v=3x2-2y2
4.
u=2x+3xy, v=-4xy+3y
정답 : [
1
] 정답률 : 44%
61.
절대 진공에 가까운 저압의 기체를 대기압까지 압축하는 펌프는?
1.
왕복 펌프
2.
진공 펌프
3.
나사 펌프
4.
축류 펌프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진공펌프 = 대기압 이하의 저압력 기체를 대기압까지 압축하여 송출시키는 일종의 압축기! [해설작성자 : 천용]
<문제 해설> 공동현상 혹은 캐비테이션이란 유체의 속도변화에 따른 압력 변화로 인해 유체네 공동이 생기는 현상이다. 이해하기 쉽게 비유를 하자면, 휴대용 선풍기를 욕조에 넣는다고 가정할때, 선풍기 날개 이면에서 잠깐이지만 거품이 생기는 걸 확인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Peer]
공동현상 = 물이 관속을 유동할 때 흐르는 물 속의 어느 부분이 정압이 되면, 그때 물의 온도에 해당하는 증기압 이하로 되면 부분적으로 증기가 발생하는 현상,,,,, 원심퍼프에서 회전차 날개의 입구를 조금 지난 날개의 이면에서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천용]
추가> 정확히 말하면 공동현상은 기포가 존재하지 않는 유체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엄청난 압력강하로 인해 액체상태였던 유체가 기체로 변하는 현상으로 즉 액체 자체가 기체가 되어 공기방울이 되는 것이다 물의 상평형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액체가 기체가 되려면 온도를 높이거나 압력을 낮추어 주어야하는데 온도를 높이는 경우를 비등, 압력을 낮추는 경우를 캐비테이션이라고 한다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하여 높이가 동일할때 임펠러를 통과하면서 속도가 매우 빨라지므로 압력이 급격히 강하되면서 액체가 기체로 변하는 것이다 액체 → 기체, 기체 → 액체의 상변화는 부피가 대략 1000배이상 증감하는 급격한 현상이다
임펠러 뒤쪽(이면)에서 속도가 증가면서 압력이 감소하고 임펠러를 통과한 후(앞쪽, 표면)에는 다시 속도가 감소하면서 압력이 회복되므로 캐비테이션 버블은 임펠러 뒤쪽에서 발생하게 되고 이 때 발생하는 충격파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며 급격한 팽창 및 소멸로 인해 프로펠러 침식이 발생한다 때문에 캐비테이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속을 줄이거나 시스템의 압력을 높여야하는데 압력을 높이는 일은 시스템이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해야하기 때문에 유속을 줄이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캐비테이션은 일상생활에서 관찰하기 매우 힘든 현상으로 선풍기를 욕조에 넣는 현상으로는 관찰할 수 없다 정확한 예시는 잠수함의 프로펠러 뒤에 공기방울이 소용돌이 치는 현상이다 선풍기를 욕조에 넣을 때 생기는 거품은 대기중에 있던 기체의 혼입현상이고 깊은 바닷속 잠수함의 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기포가 진정한 캐비테이션 버블이며 그 버블은 수면 위로 올라오기 전에 압력이 회복되면서 원래의 액체 상태로 돌아가기 때문에 소멸되어 수면 위에서 관찰 할 수는 없다 [해설작성자 : 귀둥염이]
69.
970 rpm으로 0.6m3/min의 수량을 방출할 수 있는 펌프가 있는데 이를 1450rpm으로 운전할 때 수량은 약 몇 m3/min인가? (단, 이 펌프는 상사법칙이 적용된다.)
4포트 3위치 방향밸브에서 일명 센터 바이패스형이라고도 하며, 중립위치에서 A, B포트가 모두 닫히면 실린더는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되고, 또 P 포트와 T 포트가 서로 통하게 되므로 펌프를 무부하 시킬 수 있는 형식은?
1.
탠덤 센터형
2.
오픈 센터형
3.
클로즈드 센터형
4.
펌프 클로즈드 센터형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탬덤 센터형 - 무부하 운전 / 센터바이스형 2.오픈 센터 - 아린 사이를 이어줌. 3.라인이 이어져 있지 않음. [해설작성자 : Peer]
76.
다음 중 드레인 배출기 붙이 필터를 나타내는 공유압 기호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3 .드레인 배출기 4 필터 + 드레인 부착 점선은 필터를 뜻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래 가로축 실선은 드레인을 뜻한다고 보면 됩니다. 참고 : 아래 가로축 실선이 상하로 있을 경우 공기드라이어가 됩니다. 아래 가로축 실선이 좌우 하단 (총3군데)있을 경우 기름 분리기를 뜻합니다. [해설작성자 : Peer]
77.
그림과 같은 유압기호의 조작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방향 조작이다.
2.
파일럿 조작이다.
3.
솔레노이드 조작이다.
4.
복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좌측 선이 2개 임으로 2방향 조작 (1개는 1방향) 2. 전자 파일럿 조작 방식 3. 솔레노이드 조작 방식 4. 죄축 선이 2개임으로 복동 (1개는 단동) [해설작성자 : Peer]
<문제 해설> 하부구동체(Under Carriager)의 구성품 -> 트랙롤러(하부롤러), 캐리어롤러(상부롤러), 트랙프레임, 트랙릴리이스(트랙조정기구) ,트랙아이들러(전부유도륜), 리코일스프링, 스프로켓, 트랙 등으로 구성 [해설작성자 : 테오]
클러치 요크: 주행장치가 아닌 동력 전달계 구성품 [해설작성자 : 이재홍]
87.
로더를 적재방식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스윙 로더
2.
리어 엔드 로더
3.
오버 헤드 로더
4.
사이드 덤프형 로더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적재방식에 의한 분류 - 프런트 엔드형 로더(Front end type loader) - 사이드 덤프형 로더(Side dump type loader)(=측면 덤프로더) - 오버 헤드형 로더(Over head type loader) - 스윙형 로더(Swing type loader) - 백호 셔블형 로더(Backhoe shovel type loader) [해설작성자 : 테오]
프런트엔드형 = 앞으로 적하 사이드덤프형 = 좌우로 기울여 적재 작업에 사용,,,광산, 탄광, 터널 및 협소한 장소에 사용 오버헤드형 = 장비의 위를 넘어서 후면으로 덤프 스윙형 - 프런트, 오버헤드 조합,,, 앞, 뒤, 양방에 덤프 백호셔블형 = 유압식 백호 셔블을 장착하여 굴삭이나 적재에 사용 [해설작성자 : 천용]
88.
굴착력이 강력하여 견고한 지반이나 깨어진 암석 등을 준설하는데 가장 적합한 준설선은?
1.
버킷 준설선(bucket dredger)
2.
펌프 준설선(pump dredger)
3.
디퍼 준설선(dipper dredger)
4.
그래브 준설선(grab dredger)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버킷 준설선 → 얇은 물에 다량의 흙을 실을때 사용 -출력(ps) 2.펌프 준설선 → 펌프로 끌어올림(물도 같이 끌어옴) -출력(ps0 3.디퍼 준설선 → 암석등을 깨어서 준설 - 버킷용량(m^3) 4.그래브 준설선 → 클램셀 을 사용해 준설 -버킷 용량(m^3) *움직이면서 연속적으로 가져오면 출력기준! 포크레인처럼 퍼올리면 버킷 기준! [해설작성자 : Peer]
펌프 준설선 : 흙과 물을 같이 빨아올릴때,,,,,항만준설, 매립공사에 사용 버킷 준설선 : 연속적으로 토사를 퍼올릴때,,,,대규모 항로, 정박지 준설작업에 사용 디퍼 준설선 = 굴착력이 강해 견고한 지반이나 깨진 암석을 준설하는데 사용 그랩 준설선 = 기중기에 의해 준설하는 장비,,,,,소규모 항로나 정박지 준설작업에 사용 [해설작성자 : 천용]
89.
플랜트 배관설비에서 열응력이 주요 요인이 되는 경우의 파이프 래크상의 배관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루프형 신축 곡관을 많이 사용한다.
2.
온도가 높은 배관일수록 내측(안쪽)에 배치한다.
3.
관 지름이 큰 것일수록 외측(바깥쪽)에 배치한다.
4.
루프형 신축 곡관은 파이프 래크상의 다른 배관보다 높게 배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온도가 높은 배관이면 외측(바깥)에 배치 [해설작성자 : 천용]
바깥에 배치해야 잘 식을 테니까 [해설작성자 : 첫기사]
90.
6-4황동이라고도 하는 문즈 메탈의 주요 성분은?
1.
Cu:40%, Zn:60%
2.
Cu:40%, Sn:60%
3.
Cu:60%, Zn:40%
4.
Cu:60%, Sn:40%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Zn(아연) Sn(주석) Cu(구리) [해설작성자 : Peer]
구리의 합금 성분에서 대개 Zn계는 황동을, Sn계는 청동을 얻는다. [해설작성자 : ManDownDoc]
91.
배관 공사 중 또는 완공 후에 각종 기기와 배관라인 전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배관 시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수압시험
2.
기압시험
3.
만수시험
4.
통전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4.통수시험 - 물이 안막히고 잘 흐르는지만 체크함 통전시험 은 전기 단선 유무등을 실험할때 쓰는 용어다 [해설작성자 : Peer]
평면상의 변위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변위까지도 안전하게 흡수하므로 어떠한 형상에 의한 신축에도 배관이 안전하며 설치 공간이 적은 신축이음은?
1.
슬리브형 신축이음
2.
벨로즈형 신축이음
3.
볼조인트형 신축이음
4.
스위블형 신축이음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패킹(흑연)을 넣어 사용 단식과 복식이 있으며, 직선이음이다. -곡선시 비틀림이 발생해 파손 위험이 있다. 2.관안쪽에 주름을 주어 온도변화에 유용하게 대응 -재질은 스테인 리스 강으로 고압배관에는 부적당하다. 3.최근 기술이다. 내용은 문제 참조 4. 2개 이상의 엘포를 사용한것. 누설의 염려가 있다. + 루프형 신축이름 강관 또는 동관을 구부려 사용하는 것. 볼조인트 형과 다르게 설치 공간이 넓어야 함. [해설작성자 : Peer]
98.
배관의 지지장치 중 행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리지드 행거
2.
스프링 행거
3.
콘스턴트 행거
4.
스토퍼 행거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배관 지지장치] 행거 - 위에서 거는것 서포트 - 밑에서 지지 레스트 레인트 - 전체적으로 구속 제한 브레이스 - 진동 억제 장치
[행거] 1.리지드 행거 : i빔에 중량을 매다는 것 (수직 방향에 변위가 없는 곳에 사용) 2.스프링 행어 : 스프링 사용 (이동거리 0~12mm) 3.콘스턴트 행어 : 스프링 등을 사용 관의 지지력을 일정 하게 줌 (스프링식 + 중추식) 스프링 행어와 콘스턴트 행어는 특성이 비슷함으로. 일정한 지지력을 주는것은 콘스턴트 라고 외운다. [해설작성자 : Pe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