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 7mm, 세로 6mm 크기의 직사각형을 중앙에 두고 그의 4변에 접하여 같은 규격으로 4개의 직사각형을 제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② 제명 및 축척은 도곽선 윗부분 여백의 중앙에 "ㅇㅇ시·군·구 ㅇㅇ읍·면 ㅇㅇ동·리 지적도 또는 임야도 ㅇㅇ장중 제ㅇㅇ호 축척ㅇㅇㅇㅇ분의 1"이라 제도한다. 이 경우 그 제도방법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글자의 크기는 5밀리미터로 하고, 글자사이의 간격은 글자크기의 2분의 1정도 띄어 쓴다. 2. 축척은 제명끝에서 10밀리미터를 띄어 쓴다. [해설작성자 : ㅈㅈ]
13.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을 다각망도선법으로 시행 할 경우 1도선의 거리의 기준은?
1.
1km 이하
2.
2km 이하
3.
3km 이하
4.
4km 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78%
14.
평판측량방법으로 임야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 세부측량을 실시할 경우의 거리측정단위는?
1.
5cm
2.
10cm
3.
50cm
4.
100cm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거리측정단위는 지적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는 5센티미터로 하고, 임야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는 50센티미터로 할 것 [해설작성자 : ㅈㅈ]
<문제 해설> 1.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동굴이나 절벽이 아닌 곳은 교차X 동굴이나 절벽인 지형은 반드시 교차. [해설작성자 : 부타]
27.
수십MHz~수GHz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자기파의 반사와 회절 현상 등을 측정하고 이를 해석하여 지하구조의 파악 및 지하시설물을 측량하는 방법은?
1.
지표 투과 레이더(GPR) 탐사법
2.
초장기선 전파간섭계법
3.
전자유도 탐사법
4.
자기 탐사법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지표투과레이더 : 초광대역 전자기파로 내부 구조물을 탐지하는 비파괴탐사법, 전자기파를 지표면이나 구조물에 방사한 뒤, 특정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전파를 수신 후 분석하여 대상의 특징을 영상화
2. 초장기선 전파간섭계 : 수십억 광년에 있는 전파성 퀘이사의 전파를 지구상의 2지점 이상에서 동시에 수신하여 수천 km 이상의 거리를 mm 수준으로 측정하는 우주측지기술
3. 전자유도탐사법 : 송신기로부터 매설관이나 케이블에 교류 전류를 흐르게 하여, 그 주변에 교류 자장을 발생시켜 지표면에서 발생된 교류 자장을 수신기의 측정코일의 감도 방향성을 이용하여 평면위치를 측정하고 지표면으로부터 전위경도에 대해 심도를 탐사하는 방법
4. 자기 탐사법 : 지구내부 자장의 공간적 변화를 관측하여 지하의 자성체 분포를 탐사하는 기법으로 지층의 전기적 성질의 차이(지표의 전위 분포, 전기저항 분포)를 관측하여 지층상황을 탐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수준점 A, B, C에서 수준측량을 한 결과가 표와 같을 때 P점의 최확값은?
1.
20.839m
2.
20.842m
3.
20.855m
4.
20.869m
정답 : [
3
] 정답률 : 61%
29.
클로소이드 곡선설치의 평면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본형은 직선-클로소이드-직선으로 연결한 선형이다.
2.
S형은 반향곡선 사이에 두개의 클로소이드를 연결한 선형이다.
3.
블록(凸)형은 복심곡선 사이에 클로소이드를 삽입한 것이다.
4.
복합형은 같은 방향으로 구부러진 2개의 클로소이드를 직선적으로 삽입한 것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기본형은 직선-완화곡선-단곡선으로 연결. 3.블록(ㅗ)형은 직선-완화곡선1-완화곡선2-직선으로 연결. 4.복합형은 같은 방향으로 구부러진 2개 이상의 클로소이드를 연결. [해설작성자 : 부타]
30.
그림과 같이 C와 평행한 y로 면적을 m:n=1:4의 비율로 분할하고자 한다. AB=75m일 때 Ax의 거리는?
1.
15.0m
2.
18.8m
3.
33.5m
4.
37.5m
정답 : [
3
] 정답률 : 59%
31.
사진축척 1:20000, 초점거리 15cm, 사진크기 23cm×23cm로 촬영한 연직 사진에서 주점으로부터 100mm 떨어진 위치에 철탑의 정상부가 찍혀 있다. 이 철탑이 사진 상에서 길이가 5mm 이었다면 철탑의 실제 높이는?
1.
50m
2.
100m
3.
150m
4.
200m
정답 : [
3
] 정답률 : 61%
32.
GNSS 측량방법 중 후처리방식이 아닌 것은?
1.
Static방법
2.
Kinematic방법
3.
Pseudo-Kinematic방법
4.
Real-Time Kinematic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실시간 이동측량 : 광범위한 관측점의 정밀좌표를 빠른 시간 내에 취득하기 위해서 이동측량을 수행하는 동시에 후처리를 따로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한 측량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곡률반지름이 현의 길이에 반비례하는 곡선으로 시가지 철도 및 지하철 등에 주로 사용되는 완화곡선은?
1.
렘니스케이트
2.
반파장 체감곡선
3.
클로소이드
4.
3차포물선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렘니스케이트 완화곡선의 한 종류로서, 곡률반경이 현의 길이에 비례하는 곡선이다. 곡률반경이 시점에서 현 길이에 비례하는 곡선으로, 곡률반경의 변화량은 클로소이드보다 완만하지만 3차포물선보다는 급하다. 일반적으로 시가(市街)철도, 지하철과 같은 급한 각도의 곡선에서 유리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Lemniscate - 렘니스케이트 (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2016. 1. 3., 이강원, 손호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사진판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진판독 요소는 색조, 형태, 질감, 크기, 형상, 음영 등이 있다.
2.
사진의 판독에는 보통 흑백 사진보다 천연색 사진이 유리하다.
3.
사진판독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는 사진의 질과 사진판독의 기술, 전문적 지식 및 경험 등에 좌우된다.
4.
사진판독의 작업은 촬영계획, 촬영과 사진작성, 정리, 판독, 판독기준의 작성 순서로 진행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사진판독의 작업 순서는 촬영계획, 촬영과 사진의 작성, 판독기준의 작성, 판독, 조정의 순서로 진행된다. [해설작성자 : 부타]
35.
GNSS 위치결정에서 정확도와 관련된 위성의 위치 상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결정좌표의 정확도는 정밀도 저하율(DOP)과 단위관측정확도의 곱에 의해 결정된다.
2.
3차원 위치는 TDOP(Time DOP)에 의해 정확도가 달라진다.
3.
최적의 위성배치는 한 위성은 관측자의 머리 위에 있고 다른 위성의 배치가 각각 120°를 이룰 때이다.
4.
높은 DOP는 위성의 배치 상태가 나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3차원 위치는 PDOP에 의해 정확도가 달라진다. [해설작성자 : ㅈㅈ]
36.
수준측량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후시는 기지점에 세운 표척의 읽음값이다.
2.
전시는 미지점 표척의 읽음값이다.
3.
중간점은 오차가 발생해도 다른 지점에 영향이 없다.
4.
이기점은 전시와 후시값이 항상 같게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이기점 : 수준 측량에 있어서 고저차, 거리, 장해물 등의 관계로 시준이 불가능할 때 기계를 이동하기 위하여 표척을 세우고 전시와 후시를 읽어 수준 노선의 연락을 취하는 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등고선 측량방법 중 표고를 알고 있는 기지점에서 중요한 지성선을 따라 측선을 설치하고, 측선을 따라 여러 점의 표고와 거리를 측량하여 등고선을 측량하는 방법은?
1.
방안법
2.
횡단점법
3.
영선법
4.
종단점법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방안법 : 간접법의 한 가지로서 구역을 다수의 장방향으로 나누어, 각 모서리 점의 표고를 구해서 비례에 따라서 등고선을 그리는 방법 2. 횡단점법 : 도로·철도 등 노선 측량의 중심선과 직각 방향으로 일정 거리 또는 지형이 변화하는 위치의 표고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등고선을 그리기 위한 자료를 구하는 방법 3. 영선법 : 게바법, 우모법, 단선상의 사이, 굵기, 길이 등에 의해 표시되며 급경사는 굵고 짧게 완경사는 가늘고 길게 표시 4. 종단점법 : 기준점으로부터 지성선에 몇 개 측선을 정하여 측선상 여러 점의 거리와 표고를 정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등고선을 삽입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GNSS 측량에서 위도, 경도, 고도, 시간에 대한 차분해(differential solution)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 몇 개의 위성이 필요한가?
1.
2
2.
4
3.
6
4.
8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GNSS에 의한 측량시 최소 4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 [해설작성자 : 부타]
시·군·구(자치구가 아닌 구 포함) 단위의 지적 공부에 관한 지적전산자료의 이용 및 활용에 관한 승인권자로 옳은 것은?
1.
지적소관청
2.
시·도지사 또는 지적소관청
3.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시·도지사
4.
국토교통부장관, 시·도지사 또는 지적소관청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전국 단위의 전산자료:국토교통부장관,시•도지사,소관청의 승인. 2.시•도 단위의 전산자료:시•도지사,소관청의 승인. 3.시•군•구 단위의 전산자료:소관청의 승인. [해설작성자 : 부타]
43.
다음 중 토지정보시스템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적자원
2.
처리시간
3.
소프트웨어
4.
공간데이터베이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4대 구성요소:조직,자료,소프트웨어,하드웨어 7대 구성요소:하드,소프트웨어,네트워크,방법,사람,자료,GIS APP [해설작성자 : 부타]
44.
해상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상력은 일반적으로 mm당 선의 수를 말한다.
2.
해상력은 자료를 표현하는 최대단위를 의미한다.
3.
수치영상시스템에서의 공간해상력은 격자나 픽셀의 크기를 의미한다.
4.
일반적으로 항공사진이나 인공위성 영상의 경우에 해상력은 식별이 가능한 최소 객체를 의미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해상력 : 두 점 사이 또는 등간격의 흑백의 선에서 분별할 수 있는 최소간격을 길이로 나타낸 값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다음 중 속성정보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임야도의 등록사항인 경계
2.
경계점좌표등록부의 등록사항인 지번
3.
대지권등록부의 등록사항인 대지권 비율
4.
공유지연명부의 등록사항인 토지의 소재
정답 : [
1
] 정답률 : 75%
46.
GIS의 구축 및 활용을 위한 과정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 : [
1
] 정답률 : 75%
47.
토지정보체계(LIS)와 지리정보체계(GIS)의 차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리정보체계의 공간기본단위는 지역과 구역이다.
2.
토지정보체계는 일반적으로 대축척 지적도를 기본도로 한다.
3.
토지정보체계의 공간기본단위는 필지(parcel)이다.
4.
지리정보체계는 일반적으로 소축척 행정구역도를 기본도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지리정보체계는 일반적으로 소축척 지형도를 기본도로 한다. [해설작성자 : ㅈㅈ]
48.
공간자료의 표현 형태 중 점(poi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공간객체 중 가장 복잡한 형태를 가진다.
2.
최소한의 데이터 요소로 위치와 속성을 가진다.
3.
공간분석에 있어서 가장 많은 양의 데이터를 요구한다.
4.
좌표계 없이 위치를 나타내며 관련 속성데이터가 연결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82%
49.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모델(relational database model)의 기본 구조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속성(attribute)
2.
행(record)
3.
테이블(table)
4.
소트(sort)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관계형 DB모델은 2차원테이블 형태, 테이블은 다수의 열로 구성되며, 정해진 범위의 값이 저장(행,레코드,속성) [해설작성자 : 부타]
50.
토지소유자나 이해관계인이 지적재조사사업과 관련한 정보를 인터넷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구축한 공개시스템의 명칭은?
1.
지적재조사측량시스템
2.
지적재조사행정시스템
3.
지적재조사관리공개시스템
4.
지적재조사정보공개시스템
정답 : [
2
] 정답률 : 51%
51.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정의하거나 수정하는데 사용하는 데이터 언어는?
1.
DBL
2.
DCL
3.
DML
4.
DDL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DDL(데이터 정의 언어)은 사용자에게 비도형 속성을 포함한 파일에 대한 특성과 스키마(Schema)를 설명할 수 있게 한다 1. DBL : 데이터베이스 언어 2. DCL : 데이터 제어 언어 3. DML : 데이터 처리 언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토지의 고유번호의 총 자리 수는?
1.
20자리
2.
19자리
3.
18자리
4.
17자리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고유번호는 행정구역 10자리,대장구분1자리,본번4자리,부번4자리 총 19자리로 구성. [해설작성자 : 부타]
53.
다음 중 유럽의 지형공간 데이터의 표준화 작업을 위한 지리 정보 표준화 기구로 옳은 것은?
1.
OGC
2.
FGDC
3.
CEN/TC287
4.
ISO/TC211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OGC : 개방형 공간정보 컨소시엄, 공간정보 콘텐츠와 서비스, 데이터 처리와 교환을 위한 표준 개발과 지원을 하는 비영리 민·관 참여 GIS관련 국제기구 2. FGDC : 미국 연방 지리정보 위원회 3. CEN/TC287 : 유럽 표준 및 기술 위원회 287 4. ISO/TC211 : 국제 표준화 기구 지리정보 전문위원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필지중심 토지정보시스템에서 도형정보와 속성정보를 연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변성이 없는 고유번호는?
1.
객체식별번호
2.
단일식별번호
3.
유일식별번호
4.
필지식별번호
정답 : [
4
] 정답률 : 77%
55.
데이터에 대한 정보로서 데이터의 내용, 품질, 조건 및 기타 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의 이력서라 할 수 있는 것은?
1.
인덱스(Index)
2.
라이브러리(Library)
3.
메타데이터(Metadata)
4.
데이터베이스(Database)
정답 : [
3
] 정답률 : 80%
56.
다음 중 국가공간정보위원회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위원회는 회의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간사 1명을 둔다.
2.
위원장은 회의 개최 7일 전까지 회의 일시·장소 및 심의안건을 각 위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3.
회의는 재적위원 3분의 1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3분의 2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4.
위원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위원장이 지명하는 위원의 순으로 그 직무를 대행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위원회는 회의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간사 2명을 둔다. 2. 위원장은 회의 개최 5일 전까지 회의 일시·장소 및 심의안건을 각 위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3. 회의는 재적위원의 과반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해설작성자 : ㅈㅈ]
57.
다음 중 TIGER파일의 도형자료를 수치지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국가는?
1.
한국
2.
호주
3.
미국
4.
캐나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TIGER: U.S.Census Bureau에서 인구조사를 위해 개발한 벡터형 파일형식 [해설작성자 : ㅈㅈ]
58.
공간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이 서로 다른 것은?
1.
GPS
2.
원격탐측
3.
디지타이징
4.
토탈스테이션
정답 : [
3
] 정답률 : 68%
59.
지적정보관리체계로 처리하는 지적공부정리 등의 사용자권한 등록파일을 등록할 때의 사용자 비밀번호 설정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4자리부터 12자리까지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정하여 사용한다.
2.
6자리부터 16자리까지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정하여 사용한다.
3.
영문을 포함하여 3자리부터 12자리까지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정하여 사용한다.
4.
영문을 포함하여 5자리부터 16자리까지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정하여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제77조(사용자번호 및 비밀번호 등) ① 사용자권한 등록파일에 등록하는 사용자번호는 사용자권한 등록관리청별로 일련번호로 부여하여야 하며, 한번 부여된 사용자번호는 변경할 수 없다. ② 사용자권한 등록관리청은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권한 등록관리청으로 소속이 변경되거나 퇴직 등을 한 경우에는 사용자번호를 따로 관리하여 사용자의 책임을 명백히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③ 사용자의 비밀번호는 6자리부터 16자리까지의 범위에서 사용자가 정하여 사용한다. ④ 제3항에 따른 사용자의 비밀번호는 다른 사람에게 누설하여서는 아니 되며, 사용자는 비밀번호가 누설되거나 누설될 우려가 있는 때에는 즉시 이를 변경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스캐닝 방식을 이용하여 지적전산 파일을 생성할 경우,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상도를 최대한 낮게 한다.
2.
원본 형상의 보존 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3.
하프톤 방식의 스캐닝 시에는 되도록 속도를 느리게 한다.
4.
크기가 큰 영상은 영역을 세분하여 차례로 스캐닝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61.
토지등록공부의 편성방법이 아닌 것은?
1.
물적 편성주의
2.
인적 편성주의
3.
세대별 편성주의
4.
연대적 편성주의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토지등록공부의 편성 방법으로는 물적,인적,연대적,물적•인적 편성주의가 있다 [해설작성자 : 부타]
62.
고구려에서 토지 면적단위체계로 사용된 것은?
1.
경무법
2.
두락법
3.
결부법
4.
수등이척법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고구려 : 경무법 백제 : 두락제, 결부제 신라 : 결부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토지소유권 권리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탄력성
2.
혼일성
3.
항구성
4.
불완전성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완전물권으로서 토지소유권 권리의 특성으로는 완전성,혼일성,탄력성,항구성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부타]
64.
토지의 권리 표상에 치중한 부동산 등기와 같은 형식적 심사를 가능하게 한 지적제도의 특성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지적공부의 공시
2.
지적측량의 대행
3.
토지 표시의 실질 심사
4.
최초 소유자의 사정 및 사실조사
정답 : [
2
] 정답률 : 60%
65.
토지경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역선이란 사정선과 같다.
2.
강계선이란 사정선을 말한다.
3.
원칙적으로 지적(임야)도 상의 경계를 말한다.
4.
지적공부상에 등록하는 단위토지인 일필지의 구획선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66.
경계 복원 측량의 법률적 효력 중 소관청 자신이나 토지소유자 및 이해관계인에게 정당한 변경 절차가 없는 한 유효한 행정처분에 복종하도록 하는 것은?
[오류신고 반론] 제가 가지고 있는 책에 답은 3번 박사로 나와있는데 해설에 이렇게 나와있어요.
고조선
우리나라의 지적제도의 기원은 상고시대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고조선 시대의 정전제(井田制)로서 균형있는 촌락의 설치와 토지분급 및 수확량 파악을 위해 시행되었던 지적제도로서 백성들에게 농사일에 힘쓰도록 독려 했으며 납세의 의무를 지게 하여 소득의 9분의 1을 조공으로 바치게 하였다. 또한 수장격인 풍백(風伯)의 지휘를 받아 봉가(鳳加)가 지적을 담당 하였고 측량실무는 오경박사가 시해앟여 국토와 산야를 측량하여 조세율을 개정했으며 한편 오경박사(五經博士) 우문충(宇文忠)이 토지를 측량하고 지도를 제작하였으며 유성설(遊星說)을 저술 하였다.
단군조선의 지적적 방식은 측량술에 의하여 실시된 듯하다. <단기고사>에는 제14대 고불(古弗) 58년 전 토와 산야를 측량하여 조세율을 개정했다 하고, 제36대 매륵(買勒) 25년에 오경박사(五經博士) 우문충(宇文忠)이 토지를 측량하여 지도를 제작하였다고 한다. 정전법을 시행했다는 내용으로는 <단기고사>에는 제1대 서여 원년에 미서(微西)를 명하여 정전법을 열고 백성으로 하여금 납세의 의무를 알게 하여 소득의 9분의 1을 받았다는 내용이 있다. 이 기록에서 미서란 자의 직이 토지의 정전제와 납세사무를 주관하는 직책임을 알 수 있는데, 그의 직의 구체적 명칭이나 관직의 지위 등에 대하여는 자세하지 않다.
저도 답이 봉가인지 박사인지 헷갈리네요. 고조선 시대의 토지를 관리를 담당한 직책이 무엇인가를 물었는데 지적이 땅지자에 문서적자를 써요. 봉가가 지적담당이었다고 나와있는데 이것만 봐선 봉가가 맞는지 모르겠네요. 지적의 사전적 의미는 토지에 관한 여러 가지 사항을 등록하여 놓은 기록. 토지의 위치, 형질, 소유 관계, 넓이, 지목(地目), 지번(地番), 경계 따위가 기록되어 있다. 사전적 의미로 봐선 지적 , 토지관리 이 두개의 의미가 성립되긴 하네요. 근데 오경박사 우문충이 토지를 측량하고 지도를 제작하였으며 유성설을 저술했다고 해설에 나와있는데 토지측량과 지도제작도 '토지관리'를 했다고 생각이 들거든요. 정확한 답은 저도 주변에 의견을 물어보고 다시 신고를 하겠습니다. 출판사는 세진사이며 2020 지적기사 책입니다(이영수/안재현) [해설작성자 : 여도레미]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3번입니다. 매륵 25년 오경박사 우문충이 토지를 측량하여 지도를 제작한 기록이 있다. [해설작성자 : 한번에 합격]
75.
지적의 발생설을 토지측량과 밀접하게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는 이론은?
1.
과세설
2.
치수설
3.
지배설
4.
역사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지적 발생설 1. 과세설 : 세금 징수 목적 2. 치수설 : 토지측량설 3. 지배설 : 영토의 보존 및 통치수단 목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지적'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곳은?
1.
경국대전
2.
내부관제
3.
임야조사령
4.
토지조사법
정답 : [
2
] 정답률 : 69%
77.
지목을 설정할 때 심사의 근거가 되는 것은?
1.
지질구조
2.
토양 유형
3.
입체적 토지이용
4.
지표의 토지이용
정답 : [
4
] 정답률 : 71%
78.
우리나라 지적제도에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이 2원적(二元的)으로 있게 된 가장 큰 이유는?
1.
측량기술이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2.
삼각측량에 시일이 너무 많이 소요되었기 때문이다.
3.
토지나 임야의 소유권 제도가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4.
우리의 지적제도가 조사사업별 구분에 의하여 다르게 하였기 때문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79.
우리나라 토지조사사업의 시행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지의 가격조사
2.
토지의 소유권조사
3.
토지의 지질조사
4.
토지의 외모조사
정답 : [
3
] 정답률 : 60%
80.
입안제도(立案制度)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안은 매수인의 소재관에게 제출하였다.
2.
토지매매 후 100일 이내에 하는 명의변경 절차이다.
3.
입안 받지 못한 문기는 효력을 인정받지 못하였다.
4.
조선시대에 토지거래를 관에 신고하고 증명을 받는 것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매수인이 신구문기를 첨부해 입안을 신청하는 소지를 관에 제출 2. 토지와 가사의 매매시에는 매매 계약이 있은 지 100일 이내에 관에 고해 입안을 받도록 규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1.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지적공부의 복구 및 복구절차 등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유자에 관한 사항은 부동산등기부나 법원의 확정판결에 따라 복구하여야만 한다.
2.
지적소관청은 지적공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멸실되거나 훼손된 경우에는 지체 없이 이를 복구하여야 한다.
3.
지적공부를 복구할 때에는 멸실·훼손 당시의 지적공부와 가장 부합된다고 인정되는 관계 자료에 따라 토지의 표시에 관한 사항을 복구하여야 한다.
4.
지적소관청은 지적공부를 복구하려는 경우에는 복구하려는 토지의 표시 등을 시·군·구 게시판 및 인터넷 홈페이지에 7일 이상 게시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4. 지적소관청은 지적공부를 복구하려는 경우에는 복구하려는 토지의 표시 등을 시·군·구 게시판 및 인터넷 홈페이지에 15일 이상 게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2.
다음 중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원칙적으로 공동구를 관리하여야 하는 자는?
1.
구청장
2.
특별시장
3.
국토교통부장관
4.
행정안전부장관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공동구는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 또는 군수(이하 이 조 및 제44조의3에서 “공동구관리자”라 한다)가 관리한다. 다만, 공동구의 효율적인 관리ㆍ운영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에 그 관리ㆍ운영을 위탁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3.
지적공부에 등록하기 위한 지목결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관청에서 결정한다.
2.
1필지에 1지목을 설정한다.
3.
토지의 주된 용도에 따라 결정한다.
4.
토지소유자가 신청하는 지목으로 설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84.
지적소관청이 측량기준점의 설치를 위해 토지 등의 출입 등에 따라 손실이 발생하여, 손실을 받은 자와 협의가 성립되지 아니한 경우 재결을 신청할 수 있는 곳은?
1.
시·도지사
2.
중앙지적위원회
3.
행정안전부장관
4.
관할 토지수용위원회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제102조(토지등의 출입 등에 따른 손실보상) ① 제101조제1항에 따른 행위로 손실을 받은 자가 있으면 그 행위를 한 자는 그 손실을 보상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손실보상에 관하여는 손실을 보상할 자와 손실을 받은 자가 협의하여야 한다. ③ 손실을 보상할 자 또는 손실을 받은 자는 제2항에 따른 협의가 성립되지 아니하거나 협의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관할 토지수용위원회에 재결(裁決)을 신청할 수 있다. ④ 관할 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에 관하여는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84조부터 제88조까지의 규정을 준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5.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토지대장과 임야대장에 등록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번
2.
면적
3.
좌표
4.
토지의 소재
정답 : [
3
] 정답률 : 64%
86.
다음 중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벌칙 기준을 적용받는 경우는?
1.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방해한 자
2.
측량기술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측량을 한 자
3.
측량업의 등록을 하지 아니 하고 측량업을 한 자
4.
측량업자로서 속임수로 측량업과 관련된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자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방해한 자 - 과태료 부과 대상 2. 측량기술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측량을 한 자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천만원 이하의 벌금 4. 측량업자로서 속임수로 측량업과 관련된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자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7.
다음 중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토지공개념의 확보
2.
측량 및 수로조사의 기준 및 절차 규정
3.
지적공부의 작성 및 관리에 관한 사항 규정
4.
부동산종합공부의 작성 및 관리에 관한 사항 규정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제1조(목적) 이 법은 측량의 기준 및 절차와 지적공부(地籍公簿)ㆍ부동산종합공부(不動産綜合公簿)의 작성 및 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토의 효율적 관리 및 국민의 소유권 보호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2013. 7. 17., 2020. 2. 1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토지공개념 : 정부가 공공의 이익을 위해 토지의 사유재산권을 규제할 수 있다는 개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부동산등기법령상 등기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기부는 영구히 보존하여야 한다.
2.
공동인명부와 도면은 영구히 보존하여야 한다.
3.
등기부는 토지등기부와 건물등기부로 구분 한다.
4.
등기부란 전산정보처리조직에 의하여 입력·처리된 등기정보자료를 대법원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편성한 것을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등기부”란 전산정보처리조직에 의하여 입력ㆍ처리된 등기정보자료를 대법원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편성한 것을 말한다.
제14조(등기부의 종류 등) ① 등기부는 토지등기부(土地登記簿)와 건물등기부(建物登記簿)로 구분한다. ② 등기부는 영구(永久)히 보존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잡종지로 지목을 설정 할 수 없는 것은?
1.
야외시장
2.
돌을 캐내는 곳
3.
영구적 건축물인 자동차운전학원의 부지
4.
원상회복을 조건으로 흙을 파내는 곳으로 허가된 토지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잡종지 다음 각 목의 토지. 다만, 원상회복을 조건으로 돌을 캐내는 곳 또는 흙을 파내는 곳으로 허가된 토지는 제외한다. 가. 갈대밭, 실외에 물건을 쌓아두는 곳, 돌을 캐내는 곳, 흙을 파내는 곳, 야외시장 및 공동우물 나. 변전소, 송신소, 수신소 및 송유시설 등의 부지 다. 여객자동차터미널, 자동차운전학원 및 폐차장 등 자동차와 관련된 독립적인 시설물을 갖춘 부지 라. 공항시설 및 항만시설 부지 마. 도축장, 쓰레기처리장 및 오물처리장 등의 부지 바. 그 밖에 다른 지목에 속하지 않는 토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0.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등기촉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규등록은 등기촉탁 대상에서 제외한다.
2.
토지의 경계, 소유자 등을 변경 정리한 경우에 토지소유자를 대신하여 소관청이 관할 등 기관서에 등기 신청을 하는 것을 말한다.
3.
지적소관청이 관련 법규에 따른 사유로 등기를 촉탁하는 경우, 국가가 국가를 위하여 하는 등기로 본다.
4.
축척변경의 사유로 등기촉탁을 하는 경우에 이해관계가 있는 제3자의 승낙은 관할 축척변경위원회의 의결서 정본으로 갈음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제89조(등기촉탁) ① 지적소관청은 제64조제2항(신규등록은 제외한다), 제66조제2항, 제82조, 제83조제2항, 제84조제2항 또는 제85조제2항에 따른 사유로 토지의 표시 변경에 관한 등기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지체 없이 관할 등기관서에 그 등기를 촉탁하여야 한다. 이 경우 등기촉탁은 국가가 국가를 위하여 하는 등기로 본다. ② 제1항에 따른 등기촉탁에 필요한 사항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3. 3. 2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1.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토지의 표시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경계
2.
면적
3.
지번
4.
소유자의 주소
정답 : [
4
] 정답률 : 78%
92.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지적소관청은 지번을 변경하고자 할 때 누구에게 승인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1.
행정안전부장관
2.
중앙지적위원회 위원장
3.
토지수용위원회 위원장
4.
시·도지사 또는 대도시 시장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지적소관청은 법 제66조제2항에 따라 지번을 변경하려면 지번변경 사유를 적은 승인신청서에 지번변경 대상지역의 지번ㆍ지목ㆍ면적ㆍ소유자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하 “지번등 명세”라 한다)을 기재하여 시ㆍ도지사 또는 대도시 시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3.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임야대장에 등록하는 1필지 최소면적 단위는? (단, 지적도의 축척이 600분의 1인 지역과 경계점좌표등록부에 등록하는 지역의 토지 면적은 제외한다.)
1.
0.1제곱미터
2.
1제곱미터
3.
10제곱미터
4.
100제곱미터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면적 최소 등록 단위 1. 1/500~1/600, 경계점등록부지역 : 0.1m^2 2. 1/1000~1/6000 : 1m^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4.
지적측량수행자가 과실로 지적측량을 부실하게 하여 지적측량의뢰인에게 재산상의 손해를 발생하게 한 경우, 지적측량의뢰인이 손해배상으로 보험금을 지급받기 위해 보험회사에 첨부하여 제출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1.
지적측량의뢰인과 지적측량수행자 간의 손해배상합의서
2.
지적측량의뢰인과 지적측량수행자 간의 화해조서
3.
지적위원회에서 손해 사실에 대하여 결정한 서류
4.
확정된 법원의 판결문 사본 또는 이에 준하는 효력이 있는 서류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3조] ① 지적측량의뢰인은 법 제51조제1항에 따른 손해배상으로 보험금ㆍ보증금 또는 공제금을 지급받으려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서류를 첨부하여 보험회사 또는 공간정보산업협회에 손해배상금 지급을 청구하여야 한다. 1. 지적측량의뢰인과 지적측량수행자 간의 손해배상합의서 또는 화해조서 2. 확정된 법원의 판결문 사본 3. 제1호 또는 제2호에 준하는 효력이 있는 서류 [해설작성자 : 봉골레]
95.
부동산등기 법령상 등기기록의 갑구(甲區)에 기록하여야 할 사항은?
1.
부동산의 소재지
2.
소유권에 관한 사항
3.
소유권 이외의 권리에 관한 사항
4.
토지의 지목, 지번, 면적에 관한 사항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제13조(등기기록의 양식) ① 토지등기기록의 표제부에는 표시번호란, 접수란, 소재지번란, 지목란, 면적란, 등기원인 및 기타사항란을 두고, 건물등기기록의 표제부에는 표시번호란, 접수란, 소재지번 및 건물번호란, 건물내역란, 등기원인 및 기타사항란을 둔다. ② 갑구와 을구에는 순위번호란, 등기목적란, 접수란, 등기원인란, 권리자 및 기타사항란을 둔다. ③ 토지등기기록은 별지 제1호 양식, 건물등기기록은 별지 제2호 양식에 따른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6.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지적정보관리시스템 사용자의 권한구분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측량업 등록
2.
토지이동의 정리
3.
사용자의 신규등록
4.
사용자 등록의 변경 및 삭제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제78조(사용자의 권한구분 등) 제76조제1항에 따라 사용자권한 등록파일에 등록하는 사용자의 권한은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한 권한으로 구분한다. <개정 2014.1.17> 1. 사용자의 신규등록 2. 사용자 등록의 변경 및 삭제 3. 법인이 아닌 사단ㆍ재단 등록번호의 업무관리 4. 법인이 아닌 사단ㆍ재단 등록번호의 직권수정 5. 개별공시지가 변동의 관리 6. 지적전산코드의 입력ㆍ수정 및 삭제 7. 지적전산코드의 조회 8. 지적전산자료의 조회 9. 지적통계의 관리 10. 토지 관련 정책정보의 관리 11. 토지이동 신청의 접수 12. 토지이동의 정리 13. 토지소유자 변경의 관리 14. 토지등급 및 기준수확량등급 변동의 관리 15. 지적공부의 열람 및 등본 발급의 관리 15의2. 부동산종합공부의 열람 및 부동산종합증명서 발급의 관리 16. 일반 지적업무의 관리 17. 일일마감 관리 18. 지적전산자료의 정비 19. 개인별 토지소유현황의 조회 20. 비밀번호의 변경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지적소관청이 토지소유자에게 지적정리 등을 통지하여야 하는 시기로 옳은 것은?
1.
토지의 표시에 관한 변경등기가 필요한 경우: 그 등기완료의 통지서를 접수한 날부터 15일 이내
2.
토지의 표시에 관한 변경등기가 필요한 경우: 그 등기완료의 통지서를 접수한 날부터 30일 이내
3.
토지의 표시에 관한 변경등기가 필요하지 아니한 경우: 지적공부에 등록한 날부터 15일이내
4.
토지의 표시에 관한 변경등기가 필요하지 아니한 경우: 지적공부에 등록한 날부터 30일 이내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5조] 지적소관청이 법 제90조에 따라 토지소유자에게 지적정리 등을 통지하여야 하는 시기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다. 1. 토지의 표시에 관한 변경등기가 필요한 경우: 그 등기완료의 통지서를 접수한 날부터 15일 이내 2. 토지의 표시에 관한 변경등기가 필요하지 아니한 경우: 지적공부에 등록한 날부터 7일 이내 [해설작성자 : 봉골레]
9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광역도시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역계획권의 지정은 국토교통부장관만이 할 수 있다.
2.
광역도시계획에는 경관계획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3.
국토교통부장관은 시·도지사가 요청하는 경우 관할 시·도지사와 공동으로 광역도시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4.
인접한 둘 이상의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특별자치도·시 또는 군의 관할 구역 전부 또는 일부를 광역계획권으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광역계획권이 둘 이상의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도 또는 특별자치도(이하 “시ㆍ도”라 한다)의 관할 구역에 걸쳐 있는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 2. 광역계획권이 도의 관할 구역에 속하여 있는 경우: 도지사가 지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9.
축척변경에 따른 청산금을 산출한 결과, 증가된 면적에 대한 청산금의 합계와 감소된 면적에 대한 청산금의 합계에 차액이 생긴 경우 부족액의 부담권자는?
1.
국토교통부
2.
토지소유자
3.
지방자치단체
4.
한국국토정보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청산금을 산정한 결과 증가된 면적에 대한 청산금의 합계와 감소된 면적에 대한 청산금의 합계에 차액이 생긴 경우 초과액은 그 지방자치단체의 수입으로 하고, 부족액은 그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부동산등기법령상 토지가 멸실된 경우, 그 토지 소유권의 등기명의인이 등기를 신청하여야 하는 기간은?
1.
그 사실이 있는 때부터 14일 이내
2.
그 사실이 있는 때부터 15일 이내
3.
그 사실이 있는 때부터 1개월 이내
4.
그 사실이 있는 때부터 3개월 이내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제39조(멸실등기의 신청) 토지가 멸실된 경우에는 그 토지 소유권의 등기명의인은 그 사실이 있는 때부터 1개월 이내에 그 등기를 신청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④
②
③
③
④
②
②
④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①
③
④
③
①
④
②
③
①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①
①
②
②
①
①
③
②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④
①
④
②
④
④
②
③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①
①
②
②
①
①
④
②
④
②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②
③
④
③
④
③
③
②
①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①
④
②
①
①
①
④
②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④
③
②
③
②
②
④
④
③
①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④
②
④
④
③
③
①
②
④
②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④
④
②
③
②
①
①
①
③
③
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8월26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