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종자 및 눈 휴면타파 -> 발아촉진 에틸렌은 일부 식물 종에서 휴면타파, 발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감자 괴경의 휴면이 타파되어 맹아가 촉진된다. 2. 개화유도 에틸렌은 많은 식물의 개화를 저해하지만, 파인애플, 바나나, 망고 등에서는 개화를 유도하는 효과가 크다. 3. 과실 성숙촉진 과실에 에틸렌을 처리하면 성숙 과정이 시작되고, 에틸렌 생성이 증가되어 성숙이 촉진된다. 4. 노화 및 탈리 촉진 옥신은 에틸렌에 의한 탈리를 억제시키는 작용을 한다. 옥신은 탈리대의 세포들을 에틸렌 비감수성 상태로 유지시켜 탈리를 방지한다. 잎몸(옥신 생산부위)을 제거하면 잎자루의 탈리가 촉진되고, 이곳에 옥신을 처리하면 탈리가 지연된다. 탈리 유도기에는 잎의 옥신함량이 감소되고, 에틸렌 수준이 증가하며 에틸렌에 반응하는 특정 표적세포의 반응이 증가하게 된다. 5. 줄기 및 뿌리 생장억제 일반적으로 에틸렌은 줄기,뿌리의 신장을 억제한다. 쌍떡잎식물에서 더욱 뚜렷이 나타나며, 신장은 억제되고 세포 횡적 신장이 촉진되어 줄기,뿌리 두께가 두꺼워진다. [2025년 컨셉 작물생리학]
[2025년 컨셉 재배학개론], [삼고 재배학원론]의 경우 에틸렌의 주요 생리작용과 재배적 이용에 성숙촉진, 낙엽촉진, 생장억제, 개화촉진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성숙과 착색 촉진(토마토, 자두, 감, 벼), 낙엽촉진(사과나무, 서양배, 양앵두나무), 생장억제(옥수수, 완두, 강나콩, 가지, 토마토, 호박), 개화촉진(아이리스 알뿌리, 파인애플)
그러나 여기에서 개화촉진의 경우 작물생리학에서 "에틸렌은 많은 식물의 개화를 저해하지만, 파인애플, 바나나, 망고 등에서는 개화를 유도하는 효과가 크다."라고 언급하였기 때문에 정답은 4번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2.
식물체에서 기관의 탈락을 촉진하는 식물 생장 조절제는?
1.
옥신
2.
지베렐린
3.
시토키닌
4.
ABA
정답 : [
4
] 정답률 : 63%
3.
다음 중 파종 전 처리로 사용되는 제초제는?
1.
paraquat
2.
2,4-D
3.
alachlor
4.
simazine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제초제의 처리시기 1. 파종 전처리: 경기하기 전에 포장에 Paraquat(그라목손) 등의 제초제를 살포한다 2. 파종 후처리 또는 출아 전처리: 파종 후 3일 이내에 Alachlor, Simazine 등의 제초제를 토양 전면에 살포한다. 3. 생육 초기 처리 또는 출아 후처리: 잡초의 발생이 심할 때에는 생육 초기에도 2,4-D, Bentazon 등의 선택성 제초제를 살포한다. [해설작성자 : 영광센터 홍반장]
4.
논토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탈질작용이 일어난다.
2.
산화환원 전위가 낮다.
3.
환원물(N2, H2S)이 존재한다.
4.
토양색은 황갈색이나 적갈색을 띤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밭토양은 황갈색이나 적갈색을 띠고, 논토양은 청화색 또는 암회색을 띤다. [해설작성자 : 영광센터 홍반장]
5.
채소류의 육묘 방법 중에서 공정 육묘의 이점이 아닌 것은?
1.
모의 대량생산
2.
기계화에 의한 생산비 절감
3.
단위면적당 이용률 저하
4.
모 소질 개선 가능
정답 : [
3
] 정답률 : 85%
6.
염류집적의 피해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객토
2.
심경
3.
피복재배
4.
담수처리
정답 : [
3
] 정답률 : 64%
7.
모관수의 토양 수분 함량은?
1.
pF 0 ~ 2.7
2.
pF 2.7 ~ 4.5
3.
pF 4.5 ~ 7
4.
pF 7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지하수: 모관수의 근원이 되는 물 중력수(pF 0 ~ 2.7): 작물이 이용 가능한 수분 모관수(pF 2.7 ~ 4.5):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수분 흡습수(pF 4.5 ~ 7.0): 작물이 흡수하지 못하는 수분 결합수(pF 7 이상): 작물이 이용 불가능한 수분 [해설작성자 : 영광센터 홍반장]
8.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 기공의 열림을 촉진하는 광 파장은?
1.
적색광
2.
청색광
3.
녹색광
4.
자외선
정답 : [
2
] 정답률 : 49%
9.
내건성이 강한 작물이 갖고 있는 형태적 특성은?
1.
잎의 해면 조직 발달
2.
잎의 기동세포 발달
3.
잎의 기공이 크고 수가 적음
4.
표면적/체적의 비율이 큼
정답 : [
2
] 정답률 : 48%
10.
도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곡류에서 도복에 가장 약한 시기는 최고 분얼기 이다.
2.
병해충이 많이 발생할 경우 도복이 심해진다.
3.
도복에 의하여 광합성이 감퇴되고 수량이 감소한다.
4.
도복에 대한 저항성의 정도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5%
11.
논토양에서 유기태 질소의 무기화가 촉진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토양 건조 후 가수
2.
담수
3.
지온 상승
4.
수산화 칼슘 처리
정답 : [
2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유기태질소의 무기화 촉진방법> - 건토효과 : 토양을 건조시킨 후 가수하면 미생물의 활동이 촉진되어 유기태질소의 무기화가 촉진된다. - 인산의 유효화 : 논토양에서 담수 후 환원상태가 되면, 밭상태에서 난용성인 인산철과 인산알루미늄 등이 가용성으로 바뀐다. - 알칼리 효과 : 석회와 같은 알칼리물질을 토양 중에 가하여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하고 토양유기물을 분해되기 쉽게 변화하여 암모니아생성량을 증가시키는 효과이다. - 질소의 고정 : 논토양에서 조류는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한다. [해설작성자 : 돌맹이]
12.
토성을 분류하는데 기준이 될 수 없는 것은?
1.
자갈
2.
모래
3.
미사
4.
점토
정답 : [
1
] 정답률 : 68%
13.
탄산시비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수량증대
2.
품질향상
3.
착과율 감소
4.
모 소질 향상
정답 : [
3
] 정답률 : 79%
14.
잡초의 해로운 작용이 아닌 것은?
1.
유해물질의 분비
2.
병충해의 전파
3.
품질의 저하
4.
작물과 공생
정답 : [
4
] 정답률 : 83%
15.
수비(이삭거름)는 벼의 일생 중 어느 생육단계에 시용하는 가?
1.
유수분화기
2.
유수형성기
3.
감수분열기
4.
수전기
정답 : [
2
] 정답률 : 63%
16.
광합성에서 C4작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옥수수
2.
수수
3.
사탕수수
4.
벼
정답 : [
4
] 정답률 : 77%
17.
벼 병해형 냉해의 증상으로 틀린 것은?
1.
화분의 수정 장해
2.
규산흡수의 저해
3.
광합성의 감퇴
4.
단백질 합성의 저하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벼는 규산흡수가 부족할 경우 광합성이 감퇴되고 단백질 합성량도 감소하여 도열병 등 병해의 공격을 받게된다 [해설작성자 : bbongbird]
과수원 1000m2 면적에 토심 45cm까지 물을 주고자 하는 데 현재 수분함량이 15%이고 목표로 하는 수분 함량이 25%로 1회 주어야 하는 물의 양은? (단, 용적밀도는 1g/cm3)
1.
15 m3
2.
25 m3
3.
35 m3
4.
45 m3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t=10^6g, 1m2=10^4cm2, 1000m2=10^7m2 용적밀도 1g/cm3 면적1000m2 토심45cm의 흙의 양은 45*10^7g 이중 15%가 수분양이므로 45*10^7g * 0.15 = 현재 수분의 량 현재 15%이므로 2/3에 해당하는 물을 넣어주면 25%가 된다. 45*10^7g * 0.15 * 2/3=45*10^6g 물 1t= 물 1m3 [해설작성자 : 22년 1차 한방에 가자]
24.
토양 비옥도 평가 중 영양소의 유효도 결정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토양분석
2.
토양 단면조사
3.
결핍증상 관찰과 식물체 분석
4.
식물재배 시험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영양소의 유효도 조사이다. 토양분석을 하면 토양의 양분이 분석되고 결필증상이나 식물재배를 통해서 식물체를 통한 영양소가 결핍등을 확인할수 있다. 토양 단면조사로 영양소의 유효도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해설작성자 : ㅇ]
25.
토양의 견지성(Consistency)에서 가소성(Plas-ticity)을 실험한 결과이다. 소성지수(PI)를 계산 하였을 때, 토성이 가장 사질화에 가까운 것은?
1.
액성한계(LL) : 55, 소성한계(PL) : 37
2.
액성한계(LL) : 52, 소성한계(PL) : 35
3.
액성한계(LL) : 50, 소성한계(PL) : 34
4.
액성한계(LL) : 48, 소성한계(PL) : 33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소성지수: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이를 소성지수라 한다. (Pl= LL-PL) 흙이 소성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함수비 구간의 크기를 의미하며 소성지수0 이면 흙의 비소성 이라하고 NP로 표기한다. 소성지수가 큰 흙은 압축성이 크고 같은 크기의 하중을 받을 때 소성지수가 크면 더 많이 압축된다.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어떤 토양의 흡착 이온을 분석한 결과 Mg=2cmol/kg, Na=1cmol/kg, Al=2cmol/kg, H=4cmol/kg, K=2cmol/kg 이었다. 이 토양의 CEC가 12cmol/kg 이고 염기 포화도는 75%로 계산되었다. 이 토양의 치환성 칼슘의 양은 몇 cmol/kg으로 추정 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