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가 일정한 하중 아래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형량이 증가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크리프
2.
피로한계
3.
길소나이트
4.
릴렉세이션
정답 : [
1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외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을 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재료의 변형이 증대하는 현상.
크리프의 예를 들면, 고무줄에 추를 매달면 순간적으로 고무는 늘어나지만 그대로 방치해두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고무는 서서히 늘어난다. 이와 같은 현상은 고분자물질인 플라스틱에서 현저히 나타나지만, 철강과 같은 금속재료 또는 콘크리트 등에서도 일어난다.
금속재료에서는 상온에서는 거의 느낄 수가 없으나, 고온에서는 무시할 수 없다. 고온 ·고하중의 경우에 처음에는 변형이 급속도로 진행하고, 다음에는 변형의 시간적인 변화가 거의 일정해지며, 최후에는 다시 변형이 급속도로 진행하여 파단하게 된다. 최초의 부분을 제1기 크리프, 중간을 제2기 크리프, 최후의 부분을 제3기 크리프라고 한다. 가스터빈 ·로켓엔진과 같이 고온에서 운전되는 것에는, 설계할 때 크리프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갖가지 재료의 내(耐)크리프성(性), 크리프 한도 등을 알기 위한 시험을 크리프 시험이라고 한다. 크리프 곡선의 형(型)은 온도나 변형력(응력)에 따라 다르다
2.
분말로 된 흑색화약을 실이나 종이로 감아 도료를 사용하여 방수시킨 줄로서 뇌관을 점화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1.
도화선
2.
다이너마이트
3.
도폭선
4.
기폭제
정답 : [
1
] 정답률 : 82%
3.
현장에서의 목조창고에 포대시멘트를 저장할 때 창고의 마루바닥과 지면 사이의 거리로 가장 적합한 것은?
아스팔트를 인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인화한 불꽃이 곧 꺼지지 않고 계속해서 탈 때의 최저 온도를 연소점이라 한다.
2.
아스팔트가 연해져서 점도가 일정한 값에 도달하였을 때의 온도를 연화점이라 한다.
3.
아스팔트의 늘어나는 능력을 신도라 한다.
4.
침입도의 값이 클수록 아스팔트는 단단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7.
다음 중 천연아스팔트가 아닌 것은?
1.
레이크 아스팔트
2.
록 아스팔트
3.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4.
샌드 아스팔트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블론, 스트레이트는 인공아스팔트
8.
다음 토목공사용 석재 중 압축강도가 가장 큰 것은?
1.
점판암
2.
응회암
3.
사암
4.
화강암
정답 : [
4
] 정답률 : 90%
9.
시멘트를 분류할 때 특수 시멘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알루미나 시멘트
2.
팽창 시멘트
3.
플라이 애시 시멘트
4.
초속경 시멘트
정답 : [
3
] 정답률 : 71%
10.
블리딩이 큰 콘크리트의 성질로 옳은 것은?
1.
압축강도가 증가한다.
2.
콘크리트의 수밀성이 증가한다.
3.
콘크리트가 다공질로 된다.
4.
내구성이 증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11.
목재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함수량은 수축, 팽창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2.
금속, 석재, 콘크리트 등에 비해 열, 소리의 전도율이 크다.
3.
무게에 비해서 강도와 탄성이 크다.
4.
재질이 고르지 못하고 크기에 제한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목재는 셀룰로오스·헤미셀룰로오스·리그닌이 주성분이고, 소량의 회분·수지(樹脂)·유지(油指)·정유(精油)·타닌·색소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함유율에 있어서 셀룰로오스는 침엽수·활엽수 모두 50%, 헤미셀룰로오스는 침엽수 20%, 활엽수 30%, 리그닌은 침엽수 30%, 활엽수 20% 정도다. 목재의 원소조성(元素組成)은 침엽수·활엽수가 모두 탄소 50%, 수소 6%, 나머지는 대부분이 효소(酵素)고 질소·회분은 1% 이하다.
목재의 비중은 수종(樹種)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침엽수는 0.3∼0.5, 활엽수는 0.5∼0.9 정도다. 일반적으로 침엽수보다 활엽수의 비중이 크다. 주요 수종별 비중은 삼나무 0.4, 소나무·해송 0.5, 오동나무 0.3, 참나무류 0.65, 가시나무 0.9 정도다.
목재의 수축 정도는 접선방향(接線方向)이 가장 크고, 다음이 반지름방향, 섬유방향이 가장 작다. 대체적인 수축비는 10:5:1 정도고, 함수율(含水率) 1%당 수축률은 접선방향이 0.2∼0.4%, 반지름방향이 0.1∼0.2% 정도다.
목재의 착화점(着火點)은 약 270℃, 자연발화점은 400℃ 정도다. 완전건조목재(完全乾燥木材) 1g당 4,500kcal의 발열량을 나타낸다. 목재의 강도는 대개 비중에 비례하며, 압축강도는 침엽수가 300∼500kg/cm2, 활엽수가 400∼700kg/cm2이며, 인장강도는 침엽수가 700∼1,000kg/cm2, 활엽수가 900∼2,000kg/cm2이다. 휨강도는 침엽수가 400∼800kg/cm2, 활엽수가 500∼1,200kg/cm2이다. 하지만 전단강도는 침엽수가 30∼80kg/cm2, 활엽수가 70∼170kg/cm2 이다.
목재의 단점은 부패·쪼개짐·변색·흡습(吸濕) 및 연소가 쉬운 점 등을 들 수 있다. 반면 장점은 가볍고 가공하기 쉽고, 비중에 비해 강도가 크다. 또한 열 및 전기의 전도가 잘 안 되며, 외관이 아름답고 음향적 성질이 우수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목재의 성질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냉장곰]
아따,, 설명 엄청 기네. 금속보다 열 전도율이 낮아요~
12.
석재의 성질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석재는 비중이 클수록 흡수율이 작고, 압축강도가 크다.
2.
석재의 흡수율은 풍화, 파괴, 내구성 등과 관계가 있고 흡수율이 큰 것은 빈틈이 많으므로 동해를 받기 쉽다.
3.
석재의 강도는 인장강도가 특히 크고 압축강도는 매우 작으므로 석재를 구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로 인장력을 받는 부분에 많이 사용된다.
4.
석재의 공극률은 일반적으로 석재에 포함된 전체공극과 겉보기 부피의 비로서 나타낸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석재의 강도중 압축강도가 제일 크다. 인장강도는 잘 이용하지 않으나 압축강도의 1/10~1/20 정도 [해설작성자 : js짱]
13.
콘크리트 AE제를 사용하였을 때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워커빌리티가 좋다.
2.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3.
강도가 커지며 철근과의 부착강도가 크다.
4.
단위수량을 줄일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14.
콘크리트 속에 많은 거품을 일으켜, 부재의 경량화나 단열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혼화제는?
1.
지연제
2.
기포제
3.
급결제
4.
감수제
정답 : [
2
] 정답률 : 91%
15.
물-시멘트비 60%의 콘크리트를 제작할 경우 시멘트 1포당 필요한 물의 양은 몇 kg인가? (단, 시멘트 1포의 무게는 40kg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