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1. 가지과작물 풋마름병(靑枯病)의 병원체는 ?
     1. 선충
     2. 바이러스
     3. 세균
     4. 곰팡이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가지 풋마름병 병원은 세균으로 병원균은 식물의 잔재에 월동 한다. 식물의 상처 부위를 통해 침입하며 병원균은 농기구,곤충 등에 의해 전반된다.
[해설작성자 : 선미]

2. 다음 중 병의 발생을 특히 많게 하는 것은 ?
     1. 규산
     2. 칼륨
     3. 질소
     4. 인산

     정답 : []
     정답률 : 88%

3. 논에서 벼도열병균의 주된 전파방법은 ?
     1. 토양전염
     2. 풍매전염
     3. 수매전염
     4. 충매전염

     정답 : []
     정답률 : 70%

4. 다음 무기원소 중에서 벼에 사용하므로서 도열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영양원소는 어느 것인가 ?
     1. 질소(N)
     2. 인(P)
     3. 칼륨(K)
     4. 규소(Si)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규소질 비료의 경우 도열병균에 저항성이 강하므로 필요시 사용하도록 한다.
질소질 비료가 과할 경우 발병하므로 질소질 비료의 과용은 피한다.
[해설작성자 : 선미]

5. 배, 사과나무 화상병균은 무엇인가 ?
     1. 세균
     2. 곰팡이
     3. 바이러스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 : []
     정답률 : 66%

6.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의 중간기주는 무엇인가 ?
     1. 매발톱나무
     2. 향나무
     3. 사과나무
     4. 전나무

     정답 : []
     정답률 : 86%

7. 강풍후에 특히 발생이 많은 병은 ?
     1. 수박 덩굴쪼김병
     2. 벼 흰잎마름병
     3. 가지 풋마름병
     4. 오이 역병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배수가 나쁘고 습한 곳에서 주로 발생하며 강우가 많은 여름철 주로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선미]

8. 식물병 중 세균에 의하여 발생하는 병의 일반적인 병징은 어느 것인가 ?
     1. 황화증상
     2. 무름 증상
     3. 모자이크 증상
     4. 빗자루 증상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세균병에 의한 병징으로 무름병,잎마름병,점무늬병,실들음병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선미]

9. 다음 중 바이러스병은 어느 것인가 ?
     1. 벼 잎집무늬마름병
     2. 채소의 무름병
     3.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4. 사과나무 고접병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잎집무늬마름병 - 담자균
무름병 - 세균
붉은별무늬병 - 담자균
고접병 - 바이러스 -> 접목에 의해 감염. 쇠약하다 고사.
[해설작성자 : 달콩이네농장]

10. 고구마 무름병의 특징적인 표조(표징)는 ?
     1. 포자낭
     2. 포자퇴
     3. 균핵
     4. 자낭각

     정답 : []
     정답률 : 43%

11. 다음 중 비전염성인 병은 ?
     1. 선충에 의한 병
     2. 영양결핍에 의한 병
     3. 세균에 의한 병
     4. 바이러스에 의한 병

     정답 : []
     정답률 : 88%

12. 과수 근두암종병이 발생하기에 가장 좋은 환경은 ?
     1. 고온 다습
     2. 고온 건조
     3. 저온 다습
     4. 저온 건조

     정답 : []
     정답률 : 64%

13. 소나무잎녹병(Needle rust)의 병원균은 어디에서 월동하는가 ?
     1. 낙엽과 같이 월동한다.
     2. 소나무 잎속에서 월동한다.
     3. 소나무 가지에서 월동한다.
     4. 소나무 줄기에서 월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14. 다음 중 나머지 셋과는 다른 종류의 식물병원균은 ?
     1. 고추 역병균
     2. 맥류 흰가루병균
     3. 채소 균핵병균
     4. 벼 키다리병균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고추역병균 : 조균
맥류흰가루병 : 자낭균
채소 균핵병균 : 자낭균
벼키다리병균 : 자낭균
[해설작성자 : 강태공]

15. 세균이 주로 물관부에서 증식하여, 물 공급에 장애가 생김으로 시들음이 나타나는 병은 ?
     1. 과수 근두암종병
     2. 배추 무름병
     3. 토마토 풋마름병
     4. 토마토 세균성점무늬병

     정답 : []
     정답률 : 73%

16. 병든식물의 즙액접종법으로 구분 진단이 가장 용이한 식물병은 ?
     1. 감자 둘레썩음병과 더뎅이병
     2. 벼 도열병과 오갈병
     3. 감자 Y바이러스와 X바이러스
     4. 오이 노균병과 세균성점무늬병

     정답 : []
     정답률 : 53%

17. 병무늬 위에 형성되는 포자를 관찰하는 병원학적 진단이 어려운 병은 ?
     1. 벼 도열병
     2. 콩 탄저병
     3. 벼 오갈병
     4. 벼 깨씨무늬병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벼 오갈병은 바이러스 병으로 표징이 관찰되지 않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식물병의 방제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 ?
     1.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 배나무와 향나무의 거리를 1.5km 이상 격리시킨다.
     2. 벼 도열병 - 찬물을 직접 논에 넣지 않고, 얕게 대되 마르지 않게 한다.
     3. 배추 무사마귀병 - 토양을 pH 5.0이하의 산성으로 유지한다.
     4. 포도나무 노균병 - 비가림재배를 하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배추 무사마귀병, 토마토 시들음병, 목화 시들음병은 산성토양에서 발생한다 - 석회물질 및 유기물질로 개량 필요
[해설작성자 : 강태공]

19. 다음 중 병의 방제법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 ?
     1.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테트라싸이클린 항생제로 치료한다.
     2. 뽕나무 오갈병의 방제를 위해 매미충류 구제(驅除)가 필요하다.
     3. 과수 뿌리혹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묘목에 상처가 나지 않게 해야 한다.
     4. 양배추 검은빛썩음병은 무병주에서의 채종은 필요하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81%

20. 저장병의 방제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못한 것은 ?
     1. 현미는 25℃, 80% 습도조건에서 저장해야 변질미 발생이 억제된다.
     2. 큐어링(curing)은 고구마 검은무늬병 방제대책의 하나이다.
     3. 큐어링은 고구마를 35℃, 습도 90% 이상에서 5~6일간 유지하는 것이다.
     4. 현미는 수분함량을 15% 이하로 하여 10℃, 습도 70%에서 저장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67%

21. 내한성(耐寒性)이 가장 약한 해충은 어느 것인가 ?
     1. 애멸구
     2. 벼멸구
     3. 끝동매미충
     4. 번개매미충

     정답 : []
     정답률 : 69%

22. 번데기 또는 마지막 영기의 약충이 탈피하여 성충이 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1. 부화
     2. 우화
     3. 용화
     4. 세대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우화(羽化) : 번데기가 나비로 되는 변태 과정을 말한다.
용화(蛹化) : 애벌레가 번데기로 변화되는 변태 과정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텅빈상자]

23. 씹는 형의 입을 가진 곤충에서 식물 조직을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하는 것은 ?
     1. 큰턱
     2. 작은 턱
     3. 아랫입술
     4. 윗입술

     정답 : []
     정답률 : 73%

24. 1년에 5~10회 발생하는 해충으로 고온건조시 피해가 심한 것은 ?
     1. 깍지벌레
     2. 나무이류
     3. 응애류
     4. 거품벌레

     정답 : []
     정답률 : 68%

25. 곤충의 눈에서 수정체도 없고 상을 제대로 형성할 수 없는 광감각기는 ?
     1. 겹눈(Compound eye)
     2. 홑눈(Dorsal ocelli)
     3. 낱눈(Ommatidium)
     4. 옆홑눈(Stemmata)

     정답 : []
     정답률 : 69%

26. 벼줄기굴파리 2화기의 주 가해 부위는 ?
     1. 엽초
     2. 지엽
     3. 줄기
     4. 이삭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화기에 부화된 유충이 생장점 부근의 새로 나온 잎을 가해하고 2화기에는 어린이삭을 가해하여 벼알이 없는 빈 껍질만 남는다.
[해설작성자 : 선미]

27. 곤충의 파악기(把握器)를 알맞게 설명한 것은 ?
     1. 파리목의 뒷날개가 변형된 것
     2. 암컷의 생식기 부속기관
     3. 수컷이 교미시 암컷을 붙잡는 부속기구
     4. 일벌암컷의 산란관이 독침으로 변형된 것

     정답 : []
     정답률 : 72%

28. 배추벼룩잎벌레에 관하여 잘못 설명된 것은 ?
     1. 유충이 잎을 가해한다.
     2. 잡초나 얕은 땅속에서 월동한다.
     3. 성충으로 월동한다.
     4. 무도 가해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유충은 뿌리, 성충은 잎을 가해한다.
[해설작성자 : tdmede]

29. 살충제의 사용은 해충방제의 효과적인 수단이지만 부작용도 있다. 다음 중 살충제의 부작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
     1. 약제 저항성 해충의 출현
     2. 자연계의 평형 파괴
     3. 동물상의 다양화
     4. 잠재곤충의 해충화

     정답 : []
     정답률 : 81%

30. 곤충의 종간(種間) 통신에 사용되는 방어물질은 어떤 것인가 ?
     1. 카이로몬(kairomone)
     2. 알로몬(allomone)
     3. 봄비콜(bombykol)
     4. 알라타(allata)체 호르몬

     정답 : []
     정답률 : 66%

31. 다음 분비선 중 호르몬 분비선이 아닌 것은 ?
     1. 알라타체
     2. 중장선
     3. 뇌신경세포
     4. 흉선

     정답 : []
     정답률 : 50%

32. 성충과 유충(약충)이 다 같이 가해하는 것은 ?
     1. 고자리파리
     2. 콩풍뎅이
     3. 거세미나방
     4. 도둑나방

     정답 : []
     정답률 : 41%

33. 곤충의 기문수는 ?
     1. 1쌍
     2. 2쌍
     3. 8쌍
     4. 종에 따라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기문 : 호흡하는 구멍
[해설작성자 : 준우맘]

34. 목재섬유인 셀룰로오스(Cellulose)를 분해할 수 있는 공생미생물은 흰개미의 몸 어느 부위에서 존재하는가 ?
     1.
     2.
     3. 전장
     4. 직장

     정답 : []
     정답률 : 51%

35. 종합적 해충관리의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
     1. 해충발생예찰의 철저
     2. 철저한 유기농법의 확대
     3. 천적이용을 확대
     4. 농약의 합리적인 사용

     정답 : []
     정답률 : 81%

36. 곤충의 신경계 중에서 뇌와 배신경줄로 이루어진 신경계는 어느 것인가 ?
     1. 중추신경계
     2. 말초신경계
     3. 앞창자신경계
     4. 식도밑신경구

     정답 : []
     정답률 : 75%

37. 불완전변태를 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
     1. 벌류
     2. 파리류
     3. 노린재류
     4. 딱정벌레류

     정답 : []
     정답률 : 76%

38. 산란에 의해 피해를 주는 해충은 ?
     1. 말매미
     2. 사과혹진딧물
     3. 조명나방
     4. 이화명나방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말매미의 약충은 사과나무 뿌리에 기생하며 즙액을 흡즙하고,
암컷성충은 사과나무 신초의 1~2년 생가지에 나선형으로 상부로 올라가면서 산란을 하여 산란가지를 고사 시킨다
[해설작성자 : 박진형]

39. 침엽수, 특히 소나무류의 그을음병은 곤충의 배설물에 2차적으로 기생하는 부생성(腐生性) 그을음병균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다음 곤충류 중 그을음병 유발과 관계가 깊은 곤충류는 어느 것인가 ?
     1. 멸구류
     2. 응애류
     3. 깍지벌레류
     4. 노린재류

     정답 : []
     정답률 : 53%

40. 가장 많은 종수를 갖고 있는 곤충목은 ?
     1. 딱정벌레목
     2. 메뚜기목
     3. 파리목
     4. 이목

     정답 : []
     정답률 : 85%

41. 농약사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농약을 뿌릴 때는 바람을 등지고 마스크, 고무장갑 및 방제복 등을 착용
     2. 안전사용기준과 취급제한기준 준수
     3. 제 4종 복합비료(영양제)와 함께 사용
     4. 중독증상이 있을 때는 즉시 작업중지

     정답 : []
     정답률 : 83%

42. 급성독성을 표시하는 단위는?
     1. LD50
     2. LC50
     3. ADI
     4. NOEL

     정답 : []
     정답률 : 77%

43. 다음 농약 중 원예용 약제는?
     1. 만코지 수화제
     2. 카보설판 입제
     3. 부타 유제
     4. 펜톡사존 입제

     정답 : []
     정답률 : 73%

44. 수용제 제형을 설명한 것은?
     1. 분상 또는 정제로서 물에 희석하였을 때 용해되는 농약
     2. 액상으로서 물에 희석하였을 때 용해되는 농약
     3. 액상으로서 물에 희석하였을 때 유화되는 농약
     4. 분상으로서 원상태로 사용되는 농약

     정답 : []
     정답률 : 53%

45. Carbamate계 살충제가 아닌 것은?
     1. NAC
     2. BPMC
     3. MIPC
     4. DDVP

     정답 : []
     정답률 : 73%

46. DDVP,용매,유화제가 각각 20:65:15% 의 조성을 가진 제제의 형태는?
     1. DDVP 분제(Dust)
     2. DDVP 유제(Emulsifiable Concentrate)
     3. DDVP 입제(Granule)
     4. DDVP 수화제(Wettable powder)

     정답 : []
     정답률 : 72%

47. 비등점이 낮은 농약의 주제를 액상, 고상 또는 압축가스의 형태로 용기내에 충전한 것으로 용기를 열어줌으로써 대기중에 가스상으로 방출되어 병해충에 독작용을 나타내는 제형은?
     1. 훈연제
     2. 훈증제
     3. 연무제
     4. 도포제

     정답 : []
     정답률 : 55%

48. 헤테로 옥신은?
     1. IAA
     2. MH
     3. 2,4-D
     4. BA

     정답 : []
     정답률 : 68%

49. 유기인계 살충제의 성질로 옳은 것은?
     1. 동물의 체내에서 분해가 느리다.
     2. 알칼리에는 용이하게 분해 된다.
     3. 알칼리에는 안전하다.
     4. 알칼리 및 산에는 안전하다.

     정답 : []
     정답률 : 75%

50. 도열병 방제와는 관계가 없는 농약은?
     1. 아이비유제(키타진)
     2. 이소란입제(후치왕)
     3. 네오진액제(네오아소진)
     4. 베나솔입제(오리자)

     정답 : []
     정답률 : 61%

51. 수확기 농산물 중에 농약의 잔류량이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물별로 농약의 살포횟수와 최종살포시기(일수)를 제한하는 기준은?
     1. 농약안전사용기준
     2. 안전계수
     3. 최대잔류허용기준
     4. 농약사용지침

     정답 : []
     정답률 : 56%

52. 무기계 살서제로 냄새가 없고 흰색가루로 사람, 가축에 대한 독성이 비교적 적고, 들쥐구제용으로 쓰이는 것은?
     1. 흰 인
     2. 탄산바륨
     3. 안 투
     4. 토모린

     정답 : []
     정답률 : 41%

53. 어류(魚類)에 대한 독성이 가장 낮은 것은?
     1. 디아지논(Diazinon)유제
     2. 델타린유제(Deltamethrin)
     3. 크로포유제(Chlorpyrifos)
     4. 부타유제(Butachlor)

     정답 : []
     정답률 : 56%

54. 우리 나라 농약관리법에서 잔류성에 의한 농약의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작물잔류성 농약
     2. 토양잔류성 농약
     3. 수질오염성 농약
     4. 환경잔류성 농약

     정답 : []
     정답률 : 66%

55. 지베레린(Gibberellic acid)생리작용이 아닌 것은?
     1. 식물절편의 신장을 촉진하고 무상식물에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2. 포도의 단위결과를 촉진한다.
     3. 곡류종자의 가수분해 효소의 생합성을 촉진한다.
     4. 발아에 광이 요구되는 종자의 암발아를 촉진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56. 농약 살포액 조제 시 사용되는 적당한 물은?
     1. 알칼리성인 물
     2. 뜨거운 물
     3. 효소를 넣어 발효시킨 물
     4. 물의 온도가 높지 않은 일반적인 물

     정답 : []
     정답률 : 77%

57. 유기인계 살균제는?
     1. 에디펜제(히노산제)
     2. 네오진제(네오아소진제)
     3. 홀펫제
     4. 라브사이드제

     정답 : []
     정답률 : 45%

58. 잔류독성 문제로 제조 및 사용이 금지된 농약은?
     1. 마라티온
     2. DDT
     3. 마세트
     4. 비타박스

     정답 : []
     정답률 : 62%

59. 농도 A %의 유제 B ml(비중=1)를 사용 농도인 C %로 희석하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을 계산하는 식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3%

60. 위 반응에서 카르본산 에스테르를 가수분해 시키는데 관련된 효소는?

    

     1. Carboxyesterase
     2. Phosphatase
     3. Catalase
     4. Acetylase

     정답 : []
     정답률 : 63%

61. 광엽잡초가 아닌 것은 ?
     1. 올미
     2. 쇠비름
     3. 가래
     4. 바랭이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바랭이는 화본과 잡초

62. 겨울작물 밭에 발생하는 우점초종은 ?
     1. 바랭이
     2. 쇠비름
     3. 냉이
     4. 깨풀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바랭이 : 1년생 화본과 밭잡초
- 깨풀 : 1년생 광엽 밭잡초
- 쇠비름 : 1년생 광엽 밭잡초
- 냉이 : 월년생 광엽 밭잡초
[해설작성자 : .]

63. 종자의 발아에는 최소량의 산소공급이 요구되는데 산소요구도가 가장 낮은 잡초는 ?
     1. 명아주
     2. 쇠비름
     3. 물달개비
     4. 향부자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산소 요구도가 낮은 혐기성 잡초에는 돌피, 올챙이고랭이, 가래, 물달개비, 올미 등이 있다

64. 다음 밭잡초 중 다년생 잡초가 아닌 것은 ?
     1. 참소리쟁이
     2. 씀바귀
     3.
     4. 여뀌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이나 개울가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40~80cm 정도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해설작성자 : 텅빈상자]

65. 잡초의 경종적 방제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 논가을갈이(추경)
     2. 윤작재배
     3. 소각
     4. 비닐피복재배

     정답 : []
     정답률 : 61%

66. 잡초 방제법 중에서 생태적 방제가 아닌 것은 ?
     1. 제초제 사용
     2. 경운, 관개
     3. 윤작, 재식밀도
     4. 피복작물 재배

     정답 : []
     정답률 : 77%

67. 1년생 화본과 잡초로 벼의 수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잡초는 ?
     1.
     2. 올방개
     3. 올미
     4. 너도방동사니

     정답 : []
     정답률 : 87%

68. 호르몬형 제초제로 이행성이 있는 것은 ?
     1. glyphosate
     2. 2,4-D
     3. bentazon
     4. paraquat

     정답 : []
     정답률 : 74%

69. 제초제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중 맞지 않는 것은 ?
     1. 적종의 제초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2. 적기에 적종을 산포하여야 한다.
     3. 적기에 적종을 적량을 산포하여야 한다.
     4. 제초제를 적게만 처리하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89%

70. 1단보당 4kg을 살포하도록 되어 있는 제초제를 1/2000a pot에 같은 약량수준으로 살포하려고 할 때 그 살포량은 ?
     1. 2g
     2. 0.2g
     3. 0.8g
     4. 8g

     정답 : []
     정답률 : 43%

71. 식물체의 종간경합이란 ?
     1. 작물과 잡초간의 경합을 의미한다.
     2. 벼와 벼간의 경합을 의미한다.
     3. 피와 피간의 경합을 의미한다.
     4. 잡초와 잡초간의 경합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72. 잡초로 인한 피해 양상이 아닌 것은 ?
     1. 저위생산, 토지의 비효율성
     2. 병충으로 인하여 부가되는 보호비용
     3. 생산물의 품질저하
     4. 인간능률의 증대

     정답 : []
     정답률 : 83%

73. 모내기 하루 전에 써레질을 하고 모내기를 한 후 5일째에 제초제를 처리하려고 한다. 어느 종류의 제초제를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 ?
     1. 선택성 발아 억제형
     2. 비선택성 발아 억제형
     3. 선택성 경엽 처리제
     4. 비선택성 경엽 처리제

     정답 : []
     정답률 : 54%

74. 잡초 종자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
     1. 피 - 까락이 전혀 없다.
     2. 망초 - 깃털이 없다.
     3. 도꼬마리 - 돌기가 나 있다.
     4. 명아주 - 표면이 끈끈하다.

     정답 : []
     정답률 : 76%

75. 두 종류 이상의 제초제를 혼합하여 얻은 효과가 각각의 제초제 처리에서 얻은 효과의 합 보다 높을 때는 어떤 효과가 일어났다고 보는가 ?
     1. 부가효과(Additive)
     2. 상승효과(Synergistic)
     3. 길항효과(Antagonistic)
     4. 독립효과(Independent)

     정답 : []
     정답률 : 78%

76. 방동사니과 잡초가 아닌 것은 ?
     1. 둑새풀
     2. 올방개
     3. 너도방동사니
     4. 향부자

     정답 : []
     정답률 : 58%

77. 잡초방제법으로 적합치 못한 것은 ?
     1. 약제방제
     2. 다비재배
     3. 돌려짓기
     4. 태우기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콩과 식물을 돌려짓기하면 토양의 질을 개선하고, 잡초의 번식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하용인]

78. 제초제를 연용하여도 저항성 잡초의 발현사례가 적은 이유가 아닌 것은 ?
     1. 토양에 많은 양의 감수성 잡초종자 함유
     2. 잡초의 생식 및 번식빈도가 1년에 수회 반복
     3. 제초제 약효 지속성이 짧음
     4. 감수성 잡초보다 저항성 잡초계통의 고정율이 낮음

     정답 : []
     정답률 : 55%

79. 다음 중 비선택성 제초제가 아닌 것은 ?
     1. 2,4-D
     2. Glyphosate(근사미)
     3. Paraquat(그라목손)
     4. Bialaphos

     정답 : []
     정답률 : 69%

80. 다음 중 주로 덩이줄기(괴경)로 번식하는 잡초는 ?
     1. 올미
     2. 물달개비
     3. 마디꽃
     4. 사마귀풀

     정답 : []
     정답률 : 6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3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03월20일(3945)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72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07월25일(3944)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71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0년05월09일(3943)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70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07월26일(3942)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69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05월10일(3941)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68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03월01일(3940)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67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8년03월02일(3939)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66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08월05일(3938)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65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7년05월13일(3937)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64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6년08월06일(3936)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63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6년05월14일(3935)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62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05월29일(3934)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61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03월20일(3933)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60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03월06일(3932)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59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9월05일(3931)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58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8월08일(3930)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57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5월23일(3929)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56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4년03월07일(3928)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55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08월31일(3927)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3654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3년08월10일(3926) new 좋은아빠되기 2025.09.09 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4 Next
/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