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변질되기 쉬운 식품의 전 유통과정을 각각 그 식품에 적합한 저온 조건으로 관리하는 체계는?
1.
냉살균 유통
2.
저온 유통
3.
CA 저장
4.
Aw 조절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저온유통 cold chain system CC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냉살균 유통- 저온상태에서 살균하여 미생물 증식을 억제 CA 저장-저장고의 기체 조성을 조절하여 과일·채소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저장 방식. Aw 조절-수분 활성도(Water Activity, Aw)를 낮춰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는 식품 보존 방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각 위생동물과 관련된 식품, 위해와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진드기 : 설탕, 화학조미료-진드기뇨증
2.
바퀴 : 냉동 건조된 곡류-디프테리아
3.
쥐 : 저장식품 - 장티푸스
4.
파리 : 조리식품-콜레라
정답 : [
2
] 정답률 : 82%
13.
DL-a-tocopherol은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인가?
1.
보존료
2.
착색료
3.
발색제
4.
산화방지제
정답 : [
4
] 정답률 : 69%
14.
식품용 금속성 용기의 위생문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통조림용 공관은 주로 주석 도금 철판을 사용하므로 주석이 식품 중에 용출될 수 있다.
2.
통조림용 공관의 접합부를 납땜한 경우 납이 식품 중에 용출될 수 있다.
3.
아연을 도금한 식기나 유해금속 색소를 쓴 식기가 위생상 문제가 될수 있다.
4.
과즙을 넣은 통조림은 납과 주석 등의 용출이 문제 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93%
15.
식중독을 방지할 때 중요하지 않은 것은?
1.
예방접종
2.
냉장과 냉동
3.
손의 청결
4.
가열조리
정답 : [
1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식중독은 예방접종을 한다고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수인성 전염병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단시간에 다수의 환자가 발생한다.
2.
동일 수원의 급수지역에 환자가 편재된다.
3.
잠복기가 비교적 짧다.
4.
원인 제거시 발병이 종식될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17.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의거 한국인에게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원재료명이 아닌 것은?
주석캔 용기의 경우 side seaming시 납의 용출은 체중 kg당 50μg 이상이면 뇌, 정신질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3.
알루미늄은 산도가 높은 식품의 포장에 적합하다.
4.
플라스틱 포장재는 물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안정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가소제 등을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43.
간장이나 된장 코지 중 protease 활성이 가장 강한 것은?
1.
장모균
2.
단모균
3.
주모균
4.
나선균
정답 : [
2
] 정답률 : 44%
44.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 및 품질관리기준을 준수하는 건강기능식품제조업소를 GMP적용업소로 지정하는 자는?
1.
식품의약품안전청장
2.
농림수산식품부장관
3.
농촌진흥청장
4.
한국식품연구원장
정답 : [
1
] 정답률 : 87%
45.
식품 가공 및 저장이 산업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필요성과 이익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국민 건강을 증진시킨다.
2.
생산과 분배가 원만하다.
3.
유통과 적재가 유리하다.
4.
농축수산물의 가격 안정에 기여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46.
식품의 3차 기능인 생체조절기능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욕구충족
2.
신체리듬조절
3.
노화억제
4.
질병방지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식품의 기능 중 식품에 들어있는 생리활성성분이 생체조절기능을 나타냄으로써 질병예방과 건강향상에 도움을 주는 기능 1. 생체방어(알레르기 저감, 면역부활) 2. 질병방지와 회복(고혈압, 당뇨, 선천성 대사이상방지) 3. 생체리듬조절(신경계조절, 소화기능조절) 4. 노화제어(과산화지방 생성억제)등이 있음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47.
밀감에 들어 있는 총산의 양은 얼마인가?
1.
1.25%
2.
1.72%
3.
1.85%
4.
1.92%
정답 : [
4
] 정답률 : 32%
48.
훈연 수산물 가공품 제조 시 사용되는 훈연재가 아닌 것은?
1.
왕겨
2.
소나무
3.
떡갈나무
4.
밤나무
정답 : [
2
] 정답률 : 60%
49.
김치 Codex 규격(CODEX STAN223-2001)의 내용으로 틀린것은?
1.
다양한 배추로 제조한다.
2.
제품은 맵고 짠맛을 지녀야 하며, 신맛을 가질 수도 있다.
3.
제품은 적당히 단단하고 아삭아삭하고 씹는 맛이 있어야 한다.
4.
식품첨가물은 일체 허용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50.
식용유지류로 이용되지 않는 것은?
1.
미강유
2.
면실유
3.
어간유
4.
대두유
정답 : [
3
] 정답률 : 56%
51.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내용과 기능성 원료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운동수행 능력 향상-프로폴리스추출물
2.
충치발생위험 감소-자일리톨
3.
항산화-비타민C(고시형 원료)
4.
면역기능-L-글루타민(인정된 기능성 원료)
정답 : [
1
] 정답률 : 61%
52.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들이며 균주에 의한 가스 발생 등으로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2.
과량으로 섭취하면 heterofermentation을 하는 균주에 의한 가스발생 등으로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3.
프로바이오틱스가 장 점막에서 생육하게 되면 장내의 환경을 중성으로 만들어 장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4.
프로바이오틱스가 장내에 도달하여 기능을 나타내려면 하루에 108~1010cfu 정도를 섭취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53.
젤리(jelly)제품 150g 중에 pectin, 산, 당의 함량은? (단, 통상적인 수치의 표준제품일 경우로 계산한다.)
1.
1.5~2.3g, 0.45g, 90g
2.
2.3~3.2g, 0.6g, 105g
3.
0.5~1.3g, 0.35g, 75g
4.
4~5.3g, 1.2g, 140g
정답 : [
1
] 정답률 : 56%
54.
110~120℃ 정도의 온도에서 20~30분간 가열살균하는 레토르트식품의 살균방법은?
1.
가압가열살균법
2.
감압가열살균법
3.
열탕살균법
4.
원적외선가열살균법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레토르트가 가압가열장비임 [해설작성자 : 박세나]
55.
대두, 탈지대두 또는 곡류 등에 누룩균 등을 배양하여 식염수 등을 섞어 발효, 숙성시킨 후 그 여액을 가공한 것은?
1.
혼합간장
2.
효소분해간장
3.
산분해간장
4.
양조간장
정답 : [
4
] 정답률 : 54%
56.
육질의 연화를 위한 숙성(aging, ripening)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epsin, trypsin, cathepsin 등의 효소작용에 의한 단백질 가수분해작용이 일어난다.
2.
actomyosin의 해리현상이 일어난다.
3.
혈색소인 hemoglobin이나 myoglobin은 Fe2+가 Fe3+로 된다.
4.
숙성과정에서 도살전과 비교하여 pH의 변화는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57.
연제품 제조 시 색택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주요첨가물은?
1.
삭카린나트륨
2.
아스코르브산
3.
중합인산염
4.
아초산나트륨
정답 : [
2
] 정답률 : 59%
58.
아이스크림믹스류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저지방아이스크림믹스
2.
아이스밀크믹스
3.
샤베트믹스
4.
조제아이스크림믹스
정답 : [
4
] 정답률 : 46%
59.
소금을 뿌린 감자칩(salted potato chips)의 유통기한 설정을 하기 위해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원칙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때 중점관리기준(CCP)으로 고려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은?
1.
튀김 기름의 공급
2.
튀김 기름의 산패
3.
튀김 공정
4.
포장의 밀폐상태
정답 : [
2
] 정답률 : 46%
60.
유청(Whey)이 황록색을 띠는 것은 어느 비타민에 의한 것인가?
1.
비타민 B1
2.
비타민 B2
3.
비타민 B6
4.
비타민 B12
정답 : [
2
] 정답률 : 54%
61.
젖산음료의 발효에 사용되지 않는 젖산균은?
1.
Lactobacillus bulgaricus
2.
Lactobacillus plantarum
3.
Streptococcus lactis
4.
Streptococcus thermophilus
정답 : [
2
] 정답률 : 41%
62.
다음 통조림 중에서 가열살균 조건을 가장 완화(낮은 열처리)시켜도 되는 것은?
1.
과일 통조림
2.
어육 통조림
3.
육류 통조림
4.
채소류 통조림
정답 : [
1
] 정답률 : 60%
63.
Saccharomyces cerevisiae는 광범위한 발효작용을 하여 발효공업에 많이 쓰인다. 다음 당류 중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발효시킬 수 없는 것은?
1.
유당(lactose)
2.
포도당(glucose)
3.
맥아당(maltose)
4.
설탕(sucrose)
정답 : [
1
] 정답률 : 54%
64.
일반적으로 미생물이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는 물질은?
1.
젖당
2.
설탕
3.
녹말
4.
포도당
정답 : [
4
] 정답률 : 77%
65.
생선이나 수육이 변패할 대 인광을 나타내는 원인균은?
1.
Bacillus coagulans
2.
Salmonella enteritidis
3.
Vibrio indicus
4.
Erwinia carotovora
정답 : [
3
] 정답률 : 65%
66.
담자균류 균사의 특징인 균반(또는 취상돌기, clamp connection)이 형성되는 시기는?
1.
1차균사
2.
2차균사
3.
3차균사
4.
4차균사
정답 : [
2
] 정답률 : 68%
67.
치즈의 숙성, 항생물질 제조 등에 이용되며, 황변미 독소생성과 관계있는 미생물은?
1.
Rhiwopus 속
2.
Penicillium 속
3.
Aspergillus 속
4.
Mucor 속
정답 : [
2
] 정답률 : 70%
68.
일반적으로 저온세균의 최적 생육온도는?
1.
0℃
2.
12~18℃
3.
25~40℃
4.
50~60℃
정답 : [
2
] 정답률 : 67%
69.
포도당 500g을 초산발효시켜 얻을 수 있는 이론적인 최대 초산량은 약 얼마인가?
1.
166.7g
2.
333.3g
3.
500g
4.
652.1g
정답 : [
2
] 정답률 : 66%
70.
전분(starch)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감소시키는 수단이 아닌 것은?
1.
소량의 액체염소에 의한 살균
2.
100℃, 30분간 3일에 걸친 간헐살균
3.
생전분에 차아염소산소다 첨가
4.
pH를 6~7로 조정
정답 : [
4
] 정답률 : 63%
71.
Gram 양성이 포자를 형성하는 편성혐기성균은?
1.
Bacillus 속
2.
Clostridium 속
3.
Escherichia 속
4.
Corynebacterium 속
정답 : [
2
] 정답률 : 69%
72.
Gram 음성의 간균이며 주로 단백질 식품의 부패에 관여하는 세균은?
1.
Aerobacter 속
2.
Bacillus 속
3.
Micrococcus 속
4.
Proteus 속
정답 : [
4
] 정답률 : 59%
73.
간장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균주는?
1.
Aspergillus tamari
2.
Aspergillus sojae
3.
Aspergillus flavus
4.
Aspergillus glaucus
정답 : [
2
] 정답률 : 78%
74.
초산 발효 중에 생성된 초산을 다시 물과 이산화탄소로 산화(과산화)하는 식초양조의 유해균으로 작용하는 초산균은?
1.
Acetobacter aceti
2.
Acetobacter vini acetati
3.
Acetobacter oxydans
4.
Acetobacter xylinum
정답 : [
3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 4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4번 -다른 차수들의 답(중복문제)이 4번으로 되어 있어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3번은 식초양조 유해균입니다.
운동성이 있으며 배양액을 흐리게 하고 표면에는 두꺼운 피막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글루코스, 과당, 갈락토스, 엿당, 라피노스, 아라비노스, 슈크로스, 덱스트린, 에탄올, 프로판올, 글리세롤, 마니톨 등을 발효하여 아세트산을 만들며, 생육 적정 온도는 18~21℃이다.
이 균은 맥주에서 분리되는데, 때로는 병맥주를 혼탁시키기도 한다. 특히 기벽에 따라 높이 상승하는 균막을 형성하여 액을 혼탁시킨다. 균주에 따라 약 8%의 많은 글루콘산 또는 약 7.6%의 많은 아세트산을 생산하는 것도 있다. 다만 생성된 아세트산은 재분해하지 않는다. 4번은 식초생산 유해균입니다. 답은 3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식품산업기사 크라운출판사 2019년도꺼에 답 4라고 적혀 있습니다. 1,2,3번은 식초의 양조에 사용되며, 4번은 초산생산력은 약하고 초산을 분해하여 불쾌취를 생성하며 액면에 두꺼운 cellulose피막을 만드는 식초 양조의 유해균이다. 라고 적혀 있네요 [해설작성자 : linda]
75.
세균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편모의 유무 및 착생부위
2.
격벽(septum)의 유무
3.
그람(Gram) 염색성
4.
포자의 형성 유무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격벽의 유무는 세균을 분류하는 기준이 아닌 곰팡이를 분류하는 기준 [해설작성자 : 아라비아나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