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의 열적 변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녹는점은 600℃이다.
2.
적열상태가 되면 연성이 증가한다.
3.
수열이 있는 방향으로 휜다.
4.
산화반응이 일어나 변색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철의 녹는점은 1,538℃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수열의 반대방향으로 휜다. [해설작성자 : 하늘당별당]
2.
샤프트공간의 개구가 상하로 동일 분포일 때 중성대의 높이는 몇 m 인가? (단, 샤프트공간의 높이는 H=100m, 온도는 30℃(303K)이고, 외기의 온도는 0℃(273K)로 한다.)
1.
46.1
2.
47.1
3.
48.1
4.
49.1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 중성대 높이 ] h : 중성대 높이 [ m ] H : 건물높이 [ m ] A1 : 흡입구 면적 [ m2 ] A2 : 배출구 면적 [ m2 ] To : 외부온도 [ K ] Ti : 내부온도 [ K ] [해설작성자 : 희망1]
3.
다음은 어떤 화재 현상에 대한 설명인가?
1.
롤오버
2.
플래시오버
3.
백드래프트
4.
프로스오버
정답 : [
1
] 정답률 : 82%
4.
화재 플럼(Fire Plume)에 의해 수직벽면에 생성되는 패턴이 아닌 것은?
1.
도넛형태 패턴
2.
V 패턴
3.
모래시계 패턴
4.
U 패턴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도넛형태 패턴은 바닥에 생깁니다. [해설작성자 : 서울소방 산들아빠]
5.
폭발의 종류 중 화학적 폭발이 아닌 것은?
1.
산화 폭발
2.
비등액체증기 폭발
3.
분해 폭발
4.
중합 폭발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비등액체증기 폭발 -> 블레비현상
물리적폭발입니다. [해설작성자 : 화학적 : 산화,분해,중합]
6.
목재의 타는 속도(연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목재의 수령
2.
목재의 밀도
3.
목재의 종류
4.
표면적 대 질량의 비율
정답 : [
1
] 정답률 : 77%
7.
철재 구조물 용접 시 발생한 화재현장의 용접불티를 발견 및 수집하기 위한 장비로 옳은 것은?
1.
빗자루
2.
삽
3.
집게
4.
자석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용접불티 등 금속입자는 자석을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하늘당별당]
8.
폭발 위력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자료가 아닌 것은?
1.
파편의 비행거리
2.
무너진 벽의 종류와 구조
3.
폭심부의 깊이
4.
폭발 시간
정답 : [
4
] 정답률 : 76%
9.
화염확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중력과 바람은 화염확산에 영향을 미친다.
2.
훈소는 확산화염에 의한 연소과정이다.
3.
벽면에서 화염 확산속도는 수평방향보다 수직방향이 빠르다.
4.
인화성액체의 표면화염 확산속도는 부력의 영향으로 고체의 확산속도보다 빠르다.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훈소 : 유염착화에 이르기에는 온도가 낮거나 산소가 부족한 상황에서 연소가 소극적으로 지속되는현상으로 화염이 없이 주로 백열과 연기를 내며, 화재심부에서 가연물의 표면을 따라 서서히 화학반응이 지속되는 연소 [해설작성자 : 모하비]
훈소는 불꽃없이 출열에 의한 연소과정이다. [해설작성자 : 하늘당별당]
10.
220V, 2A가 전선에 1분간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저항에 발생하는 열량은 몇 cal인가?
1.
105.6
2.
440
3.
6336
4.
26400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R = V/I = 220V/2A = 110옴 Q = 0.24 * I2 * R * t [해설작성자 : 모하비]
11.
V 패턴의 각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열방출률
2.
가연물의 형태
3.
환기의 효과
4.
벽면의 열전도성
정답 : [
4
] 정답률 : 63%
12.
물리적 작용에 의한 소화방법이 아닌 것은?
1.
냉각소화
2.
부촉매소화
3.
제거소화
4.
질식소화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화학적 연쇄반응 억제 : 부촉매효과 [해설작성자 : 모하비]
13.
화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치의 화염은 산소를 공급하면 짧아진다.
2.
화염이 벽과 접하면 길어진다.
3.
확산 화염의 색은 푸른색이다.
4.
동일양의 가연물이 공급될 때 화염이 짧게 연소하면 온도가 높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확산 화염(diffusion flame)은 공기와 연료가 자연스럽게 혼합되며 연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완전연소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 주로 노란색이나 주황색을 띱니다. 푸른색 화염은 일반적으로 완전연소를 의미하며, 예혼합 화염(premixed flame)에서 나타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가연성 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1.
아르곤
2.
일산화탄소
3.
산화알루미늄
4.
헬륨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일산화탄소는 가연성 가스이다 [해설작성자 : 프프]
아르곤, 헬륨 - 불연성가스 [해설작성자 : 당직근무자]
15.
구획실 화재의 연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기의 물리적 상은 고체, 액체, 기체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2.
동일 가연물의 조건에서 환기-지배형 화재는 연료-지배형 화재보다 연기의 발생량이 많다.
3.
성화기 이후 연기의 색상을 확인하여 가연물을 추정할 수 있다.
4.
구획실 화재의 연기는 가연성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성화기에는 연기의 양은 적어지고 화염의 분출이 강해지며 실내 전체에 화염이 충만하여 연소가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로 연기의 색상으로 가연물을 추정하기는 어렵다 [해설작성자 : 프프]
16.
연소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소속도는 재료의 질량유속으로 정의되며, g/m2s으로 나타낸다.
2.
일반적으로 표면에서의 질량유속은 5~50 g/m2s 범위에 있으며, 그 값이 5 이하인 것은 소화된다.
3.
화염속도는 물적조건과 에너지조건인 농도, 압력, 온도보다 난류의 영향으로 가속된다.
4.
연소속도는 화학양론비 부근에서 최소가 되고 연소상한계, 연소하한계로 갈수록 연소속도는 증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연소 속도는 화학양론비 부근에서 최고가 되고 연소상한계, 연소하한계로 갈수록 연소속도는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하늘당별당]
물질의 자연발열속도와 열이 달아나는 일주 속도와의 사이가 평행이 깨지며 열이 쌓여가기 때문에 발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습도가 낮은이 아닌 높은입니다 [해설작성자 : .]
40.
수분 또는 물과 접촉하면 수소가스를 발생하고 반응열에 의해 폭발하기 쉬운 물질은?
1.
구리분말
2.
석면
3.
금속나트륨
4.
철분말
정답 : [
3
] 정답률 : 84%
41.
액체 또는 고체 증거물의 수집 시 300mL 용량의 금속캔을 사용한다면 몇 mL 이상 채워져서는 아니 되는가?
1.
50
2.
100
3.
150
4.
200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금속캔은 2/3 채워야 한다. [해설작성자 : 소방관]
42.
증거물의 수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본대조를 할 수 없을 경우 제출자에게 원본과 같음을 확인한 후 서명 날인을 받아서 영치하여야 한다.
2.
사본을 수집할 경우 원본과 대조한 다음 원본대조필을 하여야 한다.
3.
물리적 증거물 수집은 증거물의 증거능력을 유지·보존할 수 있도록 행한다.
4.
증거서류를 수집함에 있어서 사본 영치를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43.
촉진제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1.
GC(Gas Chromatography)
2.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3.
GFT(Gas Flammable Test)
4.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모레큐러시브, 활성탄, 실리카겔 또는 활성 알루미나 등의 흡착제 미립자를 채운 내경 4~5mm, 길이 1~5m인 동이나 스테인리스강제 관에, 가스 시료인 헬륨, 수소 또는 질소를 큐리어 가스와 함께 흘려 보내면, 가스 시료의 성분과 흡착제의 친화력의 차이로 이동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친화력이 작은 성분부터 차례로 분리해 나가므로, 이를 열전도로 셀을 사용해서 정량할 수가 있다. 이 방법은 시료가 1~5ml 정도면 족하고, 정량 결과도 기록할 수 있는 장치가 다수 시판되고 있기 때문에, 고로 가스, 코크스 가스, 연소 폐가스 등의 분석에 이용된다. 또한 비점이 약 300℃ 이하인 액체 시료의 분석에도 응용할 수 있으므로 유기 화합물 혼합체의 분석에도 활발히 이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 [gas chromatography] (철강용어사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현장사진 촬영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록과 사진, 영상 모두 한계가 있으므로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현장을 보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2.
사진을 보는 사람이 실제적인 감각으로 느끼게 함으로서 그 때의 상황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3.
현장조사 시 실수록 빠트렸거나 수집이 불가능했던 많은 정보와 사실들을 사진을 통해 얻을 수 있다.
4.
화재현장의 소손상황, 감식·감정의 대상이 되는 관계물건 등의 상황을 정확하게 기록하는 수단으로서 사진과 영상이 중요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45.
표준렌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과장이 거의 없다.
2.
객관적 표현이 우수하고 일그러짐이 있다.
3.
피사체가 작게 찍히고 피사계 심도가 깊다.
4.
사람의 눈에 가장 가깝고 180도 이상 화각을 촬용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46.
물적증거의 종류에 해당하는 것은?
1.
관계자 진술
2.
감정인 소견
3.
유류 용기
4.
증언
정답 : [
3
] 정답률 : 87%
47.
증거물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어떠한 종류의 증거물이 발견되거나 조심스럽게 보존되었다면 완벽하게 관리되거나 문서로 기록되지 않더라도 증거로서 가치가 있다.
2.
증거목록의 전달에 있어서 인수자의 서명과 전달일자와 시간만 기록되면 된다.
3.
증거물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증거물을 취급하는 사람의 수를 최소화해야 한다.
4.
여러 사람이 같은 범죄현장에서 증거를 찾고 있다면 각각 증거기록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48.
화재로 사망한 사람의 생활반응으로 틀린 것은?
1.
종창
2.
피하출혈
3.
피부탄화
4.
염증성 발적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피부탄화는 생활반응이 아닌 화재 후 사후변화에 해당함 [해설작성자 : 하늘당별당]
49.
유류성분을 수집할 때 주변에 있는 바닥재나 플라스틱 등 비교샘플을 함께 수집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바닥재나 플라스틱 등 다른 가연물의 연소성을 입증하기 위함
2.
유류가 기화하기 전에 많은 양의 유류를 수집하기 위함
3.
유류와 혼합된 물체의 질량 변화를 입증하기 위함
4.
유류 성분이 주변 가연물로부터 추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함
정답 : [
4
] 정답률 : 66%
50.
증거물의 역할에 따른 분류 중 다음 증거물의 역할로 옳은 것은?
1.
접촉 증거
2.
시간적 증거
3.
방향적 증거
4.
행위적 증거
정답 : [
2
] 정답률 : 74%
51.
카메라에 내장된 노출계의 측광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평균측광은 파인더의 화면 전체의 노출값을 다 참고해서 노출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2.
중앙부 중점 측광은 화면의 중심부를 70%정도, 변두리 쪽은 30%정도 비주응로 측광하여 평균을 내는 방식으로 주 피사체를 중심부에 놓고 찍는 것을 전제로 하는 측광방식이다.
3.
스팟측광은 화면의 일부만을 측광하는 방식으로 주 피사체의 정확한 노출을 측광할 수 있어 역광 촬영이나 콘트라스트가 강한 장면의 촬영 시에 사용된다.
4.
다분할 측광은 화면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각각 측정하여 평균치를 내는 방식으로 너무 강한 빛이나 약한 빛이 측광되면 제외시켜 버리고 나머지 것으로 평균을 내는 방식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콘트라스트는 밝고 어두운부분의 차이를 말한다.(강약조절) 스팟측광은 특정부분만을 측광하여 전체적인 밝기를 조절. [해설작성자 : 베네통]
살아 있는 사람이 익사하거나 소사할 경우에 입에서 하얗고 빽빽한 점액성 거품이 부풀어 오르는 생활반응은?
1.
창상개구
2.
미세포말
3.
발적 종창
4.
화상포
정답 : [
2
] 정답률 : 71%
54.
전신적 생활반응에 해당하는 것은?
1.
압박성 울혈
2.
흡인 및 연하
3.
속발성 염증
4.
피하출혈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전신적 생활반응 1.전신적 빈혈 2. 속발설 염증 3. 색전증 4. 외래물질의 분포 및 배설
* 속발성 염증 시간이 상당히 지난 후에 발생되는 생활반응으로 몸에 염증이 발생될 수 있는 질환이나 사유가 있어서 전신적으로 염증이 나타나는 생활반응 -출처 네이버 블로그 [해설작성자 : 소린이]
55.
건강한 성인이 극심한 두통, 어지럼, 의식장애, 멀미, 구토 및 산소부족으로 인한 실신을 유발하는 혈중 일산화탄소 농도는?
1.
10~20%
2.
20~30%
3.
30~40%
4.
40~50%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일산화탄소 농도 COHb 수준 징후 및 증상 35ppm <10%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6~8시간 이내에 두통과 현기증 100ppm >10% 2~3시간 후 약간의 두통 200ppm 20% 2~3시간 이내에 약간의 두통, 판단력 상실 400ppm 25% 1~2시간 이내의 전두통 800ppm 30% 45분 이내에 현기증, 메스꺼움 및 경련, 2시간 이내에 무감각 1,600ppm 40% 20분 이내에 두통, 빈맥, 현기증 및 메스꺼움, 2시간 이내에 사망 3,200ppm 50% 5~10분 이내에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30분 이내에 사망 6,400ppm 60% 1~2분 안에 두통과 현기증, 경련, 호흡 정지 및 20분 이내에 사망 12,800ppm >70% 3분 이내 사망 [해설작성자 : 메롱]
56.
화재현장에서 사람의 생활반응으로 틀린 것은?
1.
화상을 입었다.
2.
시반이 형성되었다.
3.
기도 내에서 매가 발견되었다.
4.
두개골 외판에 탄화가 일어났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57.
카메라 셔텨속도가 렌즈구경의 관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같은 빛의 세기에서 셔터시간을 늘려주면 렌즈구경은 커져야 한다.
2.
같은 빛의 세기에서 셔터시간을 줄여주면 렌즈구경은 커져야 한다.
3.
같은 빛의 세기에서 렌즈구경을 크게 하면 셔터속도는 느리게 해 주어야 한다.
4.
같은 빛의 세기에서 렌즈구경을 작게 하면 셔텨속도는 빠르게 해 주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같은 빛의 세기에서 셔터시간을 줄여주면 렌즈구경은 커져야 한다. [해설작성자 : 희망1]
화상에서 원발성 쇼크란 고열이 광범하게 작용하여 일어나는 격렬한 자극에 의하여 반사적으로 심정지(心停止)가 초래되는 것을 말한다. 후술하는 화재사에서도 화염에 휩싸였을 때는 이러한 기전이 작용하여 화재사의 전형적이 소견을 보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비교적 드문편이다.
(2) 속발성(續發性) 쇼크
속발성 쇼크는 화상성 쇼크라고도 하며 화상을 입고나서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발현되어 2∼3 일후에 사망하게 되는 경우이다. 이는 화상으로 인하여 혈관투과성이 항진되어 초래되는 전해질의 변조 및 순환 혈량감소성 쇼크가 그 본태라고 생각된다.
(3) 합병증(合倂症)
쇼크기를 넘긴 후에는 독성물질에 의한 용혈, 성인호흡장에증후군, 급성신부전, 소화관궤양의 출혈, 폐렴 및 패혈증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세요]
60.
유류 증거물의 인화점 시험방법으로서 주로 인화점이 93℃ 이하인 시료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
1.
태그 밀폐식
2.
펜스키마텐스 밀폐식
3.
클리브랜드 개방식
4.
원자흡광분석
정답 : [
1
] 정답률 : 72%
61.
화재현장 조사서 화재건물 현황의 기재사항이 아닌 것은?
1.
건축물 현황
2.
보험가입 현황
3.
화재발생 후 상황
4.
소방시설 및 위험물 현황
정답 : [
3
] 정답률 : 64%
62.
화재 피해조사 및 피해액 산정순서로 옳은 것은?
1.
화재현장 조사 → 피해정도 조사 → 기본현황 조사 → 재구입비 산정 → 피해액 산정
2.
화재현장 조사 → 기본현황 조사 → 피해정도 조사 → 재구입비 산정 → 피해액 산정
3.
기본현황 조사 → 피해정도 조사 → 화재현장 조사 → 재구입비 산정 → 피해액 산정
4.
기본현황 조사 → 피해정도 조사 → 재구입비 산정 → 피해액 산정 → 화재현장 조사
정답 : [
2
] 정답률 : 74%
63.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에 따른 건축·구조물 화재의 소실정도 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 20, ㉡ 50
2.
㉠ 20, ㉡ 70
3.
㉠ 30, ㉡ 50
4.
㉠ 30, ㉡ 70
정답 : [
4
] 정답률 : 83%
64.
철근콘크리트조 슬래브지붕 4층 건물의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1층 점포 300m2(바닥면적 기준)가 전소되고, 2층 벽면 1면에 100m2의 그을음 피해가 발생한 경우 소실 면적은 몇 m2인가?(2023년 03월 08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제17조(소실면적 산정) ① 건물의 소실면적 산정은 소실 바닥면적으로 산정한다. ② 수손 및 기타 파손의 경우에도 제1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해설작성자 : 베일]
65.
소방서장이 화재조사의 진행상황을 소방본부장에게 보고하고 기록유지 하여야 하는 조사결과 보고 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 15, ㉡ 30
2.
㉠ 30, ㉡ 50
3.
㉠ 10, ㉡ 30
4.
㉠ 20, ㉡ 50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긴급보고 15일 이내, 총 30일이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긴급상황보고에 해당하는 화재 : 화재 인지로부터 30일이내, 총 50일이내 긴급상황보고 대상 외의 화재 : 화재인지로부터 15일 이내 [해설작성자 : 부산소방 KDJ]
66.
화재현장 조사서의 작성 시 유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관계자의 진술을 기재하지 않는다.
2.
발화지점 및 화재원인 판정은 객관적인 증거자료를 첨부할 수 있다.
3.
감식·감정 결과통지서, 참고문헌 등 참고자료를 첨부할 수 있다.
4.
예상되는 사항 및 관련 조치사항 등도 기록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67.
항공기, 선박, 철도차량, 특수작업용차량, 시중매매가격이 확인되지 아니하는 자동차에 대한 피해액 산정기준 중 틀린 것은?
1.
감정평가서가 있는 경우 감정평가서상의 현재가액에 손해율을 곱한 금액을 화재로 인한 피해액으로 한다.
2.
감정평가서가 없는 경우 회계장부상의 현재가액에 손해율을 곱한 금액을 화재로 인한 피해액으로 한다.
3.
감정평가서와 회계장부 모두 없는 경우에는 제조회사, 판매회사, 조합 또는 협회 등에 조회하여 구입가격 또는 시중거래가격을 확인하여 피해액을 산정한다.
4.
수리가 가능한 경우에는 수리비를 피해액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수리가 가능한 경우에는 수리비에 감가공제를 한 금액을 피해액으로 한다
68.
화재현장 조사서(임야화재, 기타화재, 피해액이 없는 화재 이외의 화재)의 화재원인 검토 항목이 아닌 것은?
1.
방화 가능성
2.
인적 부주의 등
3.
기름누출
4.
기계적 요인
정답 : [
3
] 정답률 : 65%
69.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에 따른 화재의 유형별 분류가 아닌 것은?
1.
임야화재
2.
자동차·철도차량 화재
3.
선박·항공기 화재
4.
전기·화학 화재
정답 : [
4
] 정답률 : 71%
70.
예술품 및 귀중품의 화재피해액 산정기준 중 틀린 것은?
1.
감가공제를 하지 아니한다.
2.
복수 전문가의 감정을 받거나 감정서 등의 금액을 피해액으로 인정한다.
3.
공인감정기관에서 인정하는 금액을 화재로 인한 피해액으로 산정한다.
4.
예술품 및 귀중품에 대한 그 가치를 손상하지 아니하고 원상태의 복원이 가능한 경우에는 피해액을 인정하지 아니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예술품 및 귀중품은 복원 비용과 가치 저하를 기준으로 피해액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원상태로 복원이 가능하더라도 복원 비용이나 잠재적 가치 손실이 발생한다면 이를 피해액으로 인정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1.
화재현장 출동보고서 기재사항 중 현장도착시 관찰·확인사항으로 옳은 것은?
1.
화재 각지시의 위치
2.
이상한 소리, 특이한 냄새, 폭발 등 특이한 현상과 확인시의 위치
3.
누설전류·가스누설 유무
4.
진화작업 시 발화지점 부근의 물건이동, 도괴, 손괴상황 등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화재현장 출동보고서 1. 작성목적 - 소방대가 소방활동 중에 관찰과 확인을 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발화지점 및 화재원인 판정을 합리적으로서 수립을 하기 위한 판단의 자료로 활용을 하는 데 있다. 2. 작성자 - 화재현장에 직접 출동을 한 소방대원으로서 한정이 됨을 보인다. 현장에 출동을 한 소방공무원 가운데에 화재상황과 정보를 가장 많이 알고 있다고 한다면 직위나 직책에 관계가 없이 작성을 할 수가 있다. 3. 기재사항 - 화재각지로부터 소화활동 종료의 시점까지 관찰을 하거나 확인이 된 사실에 대해서 기재를 한다. 작성 내용에는 현장에 있던 관계자들로 하여금 확보를 하게 된 정보를 포함을 하여 기재를 할 수가 있다. [해설작성자 : 희망1]
72.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에 따른 민원인이 제출한 화재사후 조사의뢰서의 내용에 따라 사후 조사를 실시한 후 작성을 생략할 수 있는 서류는?
1.
화재현황 조사서
2.
화재피해 조사서
3.
화재현장 조사서
4.
화재현장 출동보고서
정답 : [
4
] 정답률 : 77%
73.
특수한 경우의 피해액 산정 우선 적용사항 기준 중 틀린 것은?
1.
중고구입기계장치 및 집기비품의 제작년도를 알 수 없는 경우 신품가액의 30~50%를 재구입비로 하여 피해액을 산정한다.
2.
중고기계장치 및 중고집기비품의 시장거래가격이 신품가격보다 높을 경우 신품가액을 재구입비로 하여 피해액을 산정한다.
3.
공구 및 기구, 집기비품, 가재도구를 일괄하여 피해액을 산정할 경우 재구입비의 50%를 피해액으로 한다.
4.
재고자산의 상품 중 견본품, 전시품, 진열품에 대해서는 구입가의 30~50%를 피해액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재고자산의 상품 중 견본품, 전시품, 진열품에 대해서는 구입가의 50~80%를 피해액으로 한다
74.
소방·방화시설 활용조사서 소화시설의 기재사항이 아닌 것은?
1.
소화기구
2.
옥외소화전
3.
연결송수관설비
4.
물분무등소화설비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연결송수관설비는 소방활동설비 이다 [해설작성자 : 알럽닥알]
75.
화재유형별 조사서(건축·구조물 화재)의 특정소방대상물의 분류항목이 아닌 것은?
1.
지하구
2.
초고층시설
3.
근린생활시설
4.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초고층시설은 건물의 높이 개념이지 분류 기준이 아니다. [해설작성자 : act now]
76.
재고자산의 화재피해액 산정 시 회계장부에 현재가액이 확인된 경우의 산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소방기본법에 따른 화재조사를 하기 위하여 소방서장의 보고 또는 자료 제출 명령을 위반하여 보고 또는 자료 제출을 하지 아니한 관계인에 대한 벌칙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2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규정 개정] 제56조(과태료) ②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16. 1. 27., 2017. 12. 26., 2020. 6. 9., 2020. 10. 20.> 5. 제30조제1항에 따른 명령을 위반하여 보고 또는 자료 제출을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보고 또는 자료 제출을 한 자
*참고 소방의 화재조사에 관한 법률 ( 약칭: 화재조사법 ) [시행 2022. 6. 9.] [법률 제18204호, 2021. 6. 8., 제정] 제23조(과태료)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에게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 제8조제2항을 위반하여 허가 없이 통제구역에 출입한 사람 2. 제9조제1항에 따른 명령을 위반하여 보고 또는 자료 제출을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보고 또는 자료를 제출한 사람 3. 정당한 사유 없이 제10조제1항에 따른 출석을 거부하거나 질문에 대하여 거짓으로 진술한 사람 ② 제1항에 따른 과태료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소방관서장 또는 경찰서장이 부과ㆍ징수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소방기본법령에 따른 소방본부(거점소방서 포함) 화재조사전담부서에 갖추어야 할 장비 및 시설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