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기업실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산업 또는 경제 전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3.
대부분 과거에 발생한 거래나 사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4.
추정에 의한 측정치는 포함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2.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에서 확인할 수 없는 항목은 무엇인가?
1.
기타법정적립금
2.
배당금
3.
주식할인발행차금
4.
당기순이익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3번 ㅡ 주식할인발행차금은 자본조정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수처작주]
3.
다음은 결산시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계산하는 경우의 예이다. 틀린 것은?(순서대로 결산전 대손충당금잔액, 기말 매출채권잔액(대손율 1%), 회계처리의 일부)
1.
10,000원, 100,000원, (대)대손충당금환입 9,000원
2.
10,000원, 1,000,000원, 회계처리 없음
3.
10,000원, 1,100,000원, (차)대손상각비 1,000원
4.
10,000원, 1,100,000원, (차)기타의대손상각비 1,000원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기타의대손상각비는 매출채권 외의 기타채권의 대손비용을 처리하는 계정과목이다.
4.
다음은 유형자산의 자본적지출을 수익적지출로 처리한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1.
당기순이익이 증가한다.
2.
자본이 감소한다
3.
자기자본이 증가한다.
4.
이익잉여금이 증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자본적지출 수익적지출, 지출 이라는 단어가 포함하면, 자본 감소이다. [해설작성자 : 전산회계 ]
5.
다음중 유동성배열법에 의한 재무상태표 작성시 가장 나중에 배열되는 항목은?
1.
장기차입금
2.
미지급법인세
3.
미지급비용
4.
매입채무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장기차입금은 비유동부채에 해당하기 때문에 유동성 배영법에 의한 재무상태표 작성시 가장 나중에 배열된다. [해설작성자 : 혼자먹는돈까스]
6.
다음 중 기업회계기준서상 충당부채를 부채로 인식하기 위한 요건이다. 틀린 것은?
1.
우발부채도 충당부채와 동일하게 부채로 인식하여야 한다.
2.
과거사건이나 거래의 결과로 현재의무가 존재해야 한다.
3.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야 한다.
4.
그 의무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번 ㅡ 우발부채는 기업회계기준에서 부채로 인식하지 아니한다.참고로 이를 주석에 기재한다. [해설작성자 : 수처작주]
7.
다음의 회계거래 중에서 자본총액에 변화가 없는 것은?
1.
주식을 할인발행하다.
2.
이익준비금을 계상하다.
3.
당기순손실이 발생하다.
4.
주식을 할증발행 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회계상 거래는 자산, 부채, 자본의 변동을 주는 거래 -> 해당하지 않는 것은 계산, 주문, 매매계약, 고용계약, 임대계약 등이 들어간 거래 [해설작성자 : 니야5]
다음 문제의 해설은 회계상 거래에 관련된 내용이과 문제에서 의도하는 바는 자본의 총액에 변화가 없는 지문을 찾는 것이 므로 1.주식할인 발행 자본조정대상 2. 이익준비금계상 이익잉여금 발생(자본계정) 3.주식할증발행 주식발행초과금 자본잉여금으로 4번이 자본총액에 변화가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