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원가는 보고기간 종료일까지 제조과정에서 발생한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와 관련된 변동제조간접비 및 고정제조간접비의 체계적인 배부액을 포함한다.
3.
매입원가에서 매입과 관련된 에누리는 차감하나 할인은 차감하지 않는다.
4.
제조원가 중 비정상적으로 낭비된 부분은 원가에 포함될 수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매입애 = 총매입액- 매입환입 - 매입애누리 - 매입할인
-> 매입할인도 차감대상 [해설작성자 : 수처작주]
4.
다음 중 손익계산서상 구분표시가 다른 것은?
1.
복리후생비
2.
유형자산처분손실
3.
기부금
4.
이자비용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복리후생비는 판관비 나머지는 영업외비용 [해설작성자 : 오색경단]
5.
무형자산을 합리적인 방법으로 상각방법을 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떤 상각방법을 사용하는가?
1.
정액법
2.
체감잔액법(정률법 등)
3.
연수합계법
4.
생산량비례법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무형자산의 상각방법은 자산의 경제적 효익이 소비되는 행태를 반영한 합리적인 방법이어야 한다. 무형자산의 상각대상금액을 내용연수 동안 합리적으로 배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각방법에는 정액법, 체감잔액법(정률법 등), 연수합계법, 생산량비례법 등이 있다. 다만, 합리적인 상각방법을 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정액법을 사용한다.
한국전자는 제조간접비를 직접노무시간을 기준으로 예정배부하고 있다. 당해 연도 초의 예상직접노무시간은 70,000시간이다. 당기 말 현재 실제제조간접비 발생액이 2,150,000원이고 실제 직접노무시간이 75,000시간일 때 제조간접비 배부차이가 250,000원 과대배부된 경우 당해 연도초의 제조간접비 예상액은 얼마였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