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두 회사 중 한 회사에 투자하기 위해 두 회사의 회계정보를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 회계정보가 갖추어야 할 속성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비교가능성
2.
신뢰성
3.
목적적합성
4.
중립성
정답 : [
1
] 정답률 : 77%
9.
다음 중 준변동원가에 해당되는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공장 차량유지비
2.
공장 회계직원 피복비
3.
공장 직원회식비
4.
공장 가수수도료
정답 : [
1
] 정답률 : 87%
10.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개별배분법
2.
직접배분법
3.
단계배분법
4.
상호배분법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직접배부법> =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의 수수는 무시하고 한 번에 보조부문비를 제조부문에만 배부하는 방법이다. 간단하여 비용이 적게 들고 보조부문간의 용역수수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에 적합한 방법이다. 그러나 보조부문간의 용역수수가 큰 경우에는 원가배분의 결과가 정확한 원가정보를 주지 못하므로 부문간 통제와 관리가 충분하지 않다.
<단계배부법> = 계단식 배부법이라고도 하며 다른 보조부문에 용역의 제공을 가장 많이하는 보조부문부터 배부하거나 용역을 제공하는 다른 보조부문의 수가 가장 많은 보조부문부터 배부하는 방법이다. 즉, 배부순서에 따라 원가계산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단점이 있어 배부순서의 결정이 중요하다.
<상호배부법> =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를 모두 반영하여 보조부문 상호간에도 배부한다.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를 모두 나타내므로 가장 정확한 원가배분의 방법이고 단계배부법과 달리 배부순서를 고려할 필요 없이 부문 간 통제와 의사결정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복잡한 원가배분의 절차를 위한 정확한 자료를 얻으려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소규모기업에는 적합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인어아가미]
11.
다음 중 재공품계정의 대변에 기입되는 사항은?
1.
제조간접비 배부액
2.
직접재료비 소비액
3.
당기 제품제조원가
4.
재공품 전기이월액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재공품> (차변) (대변)
기초 재공품 당기제품 제조원가 (완성품)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기말 재공품 제조간접비
[해설작성자 : 인어아가미]
12.
(주)세무는 직접원가를 기준으로 제조간접비를 배부한다. 다음 자료에 의해 작업지시서 No.1의 제조간접비 배부액은 얼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