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는 특정 기업실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산업 또는 경제 전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재무회계개념체계 87호: 재무제표는 추정에 의한 측정치를 포함하고 있다.
2.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재고자산 평가손실
2.
비정상적 재고자산감모손실
3.
정상적 재고자산감모손실
4.
타계정대체
정답 : [
1
] 정답률 : 87%
3.
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을 의결하고 곧 주주에게 배당금을 현금으로 지급할 경우에 자산, 부채,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1.
자산의 증가, 자본의 증가
2.
부채의 감소, 자산의 감소
3.
자본의 감소, 부채의 증가
4.
자본의 감소, 자산의 감소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이익의 현금배당시 현금자산의 감소와 동시에 이익잉여금이 감소된다.
4.
다음 중 주식할인발행차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식발행가액이 액면가액에 미달하는 경우 그 미달하는 금액으로 한다.
2.
자본조정에 해당한다.
3.
주식발행연도부터 또는 증자연도부터 5년 이내의 기간에 매기 균등액을 상각하여야 한다.
4.
이익잉여금이 부족한 경우에는 차기 이후 연도에 이월하여 상각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주식할인발행차금은 주식발행연도부터 또는 증자연도부터 3년 이내의 기간에 매기 균등액을 상각하고 동 상각액은 이익잉여금처분으로 한다. 다만, 처분할 이익잉여금이 부족하거나 결손이 있는 경우에는 차기 이후 연도에 이월하여 상각할 수 있다. <기업회계기준 제72조 제1호>
5.
다음은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를 구성하는 항목들이다.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유형자산의 설계와 관련한 설계비용
2.
재산세 등 유형자산의 사용과 직접 관련된 제세공과금
3.
자본화대상 금융비용
4.
유형자산의 설치비용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② 사용과 관련된 비용은 당기비용으로 처리한다. ③,④와 같이 사용개시전의 비용은 자산으로 처리되어 취득원가를 구성한다.
6.
다음 중 원가계산에 관련된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원가회계는 일반적으로 회사내부 정보이용자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2.
제조원가명세서가 작성되었더라도 제품매출원가를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3.
제조과정에 있는 모든 제조기업의 원가계산은 기업회계기준에서 정한 동일한 원가계산방식에 의해서 하여야 한다.
4.
제조원가에 해당하는 금액을 발생즉시 비용처리하였다면 당기총제조원가를 과소계상하게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7.
다음은 개별원가계산에 관한 설명이다.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원가표를 근거로 하여 원가계산을 한다.
2.
주문생산형태에 가장 적합한 원가계산방법이다.
3.
직접비와 제조간접비의 구분이 중요하다.
4.
공정별로 제품원가를 집계한 다음, 당 공정의 생산량으로 나누어 단위당 원가를 계산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종합원가계산에 관한 계산방법이다.
8.
다음 중 제조원가명세서 작성에 필요하지 않은 자료는?
1.
직접재료비 소비액
2.
간접노무비 소비액
3.
기말제품 재고액
4.
제조경비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기말제품 재고액은 매출원가를 구할때 사용 [해설작성자 : 칼린다갈린다]
9.
다음의 자료는 어떤 종합원가계산방법에서 나타나는가?
1.
연산품 종합원가계산
2.
조별 종합원가계산
3.
공정별 종합원가계산
4.
단일 종합원가계산
정답 : [
1
] 정답률 : 45%
10.
(주)일산은 당월초부터 신제품의 생산을 시작하였으며, 당월에 2000개를 생산에 착수하여 이 중 70%는 완성하고, 30%는 월말재고(완성도50%)로 남아있다. 원재료는 공정초기에 전량투입되며, 가공비는 전공정에 걸쳐 균등투입된다. 재료비와 가공비의 완성품 환산량을 계산하면?
소득세의 과세기간은 1/1~12/31일은 원칙으로 하나, 사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이를 변경할 수 있다.
2.
사업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소득세 납세지는 사업장소재지로 한다.
3.
소득세법은 종합과세제도이므로 거주자의 모든소득을 합산하여 과세한다.
4.
소득세의 과세기간은 사업개시나 폐업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소득세의 과세기간은 1/1~12/31을 원칙으로 하며,사망이나 출국으로 비거주자가 되는 경우 등 만이 예외에 해당함. ・거주자의 납세지는 주소지(없는 경우 거소지)로하며, 비거주자는 주된 국내사업장의 소재지로 한다. ・소득세법은 종합과세제도와 분리과세제도가 병행하여 적용된다. <소득세법 5・6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