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의 평가 방법 = 목적적합성(시가법), 신뢰성(원가법) 수익 인식 방법 = 목적적합성(진행기준), 신뢰성(완성기준) 손익 인식방법 = 목적적합성(발생주의), 신뢰성(현금주의) 정보의 보고시점 = 목적적합성(분기,반기재무재표), 신뢰성(결산제무재표) [해설작성자 : 전예삐님]
4.
다음의 고정자산을 취득하였을 경우, 취득하는 연도에 감가상각비를 가장 많이 인식하는 방법은?
1.
정액법
2.
정률법
3.
내용연수합계법
4.
이중체감법
정답 : [
4
] 정답률 : 14%
5.
재고자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재고자산의 감모손실 중 정상적으로 발생한 감모손실은 매출원가에 가산한다.
2.
재고자산의 비정상적으로 발생한 감모손실은 영업외비용으로 인식한다.
3.
재고자산의 시가가 장부가액 이하로 하락하여 발생한 평가손실은 재고자산의 차감계정으로 표시하고 매출원가에 가산한다.
4.
저가법으로 평가한 재고자산의 시가가 장부가액보다 상승한 경우에는 상승분 전액을 당기 수익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시가가 장부가액보다 상승한 경우에는 최초의 장부가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평가손실을 환입하고 매출원가에서 차감한다. 기준서 제10호(재고자산) 문단 28 본문
6.
다음은 관련범위 내의 조업도에 따른 원가이다. 원가행태에 따른 분류로 알맞은 것은?
1.
변동비
2.
고정비
3.
준변동비
4.
준고정비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관련범위 내에서 총원가가 항상 일정한 원가를 고정비라 한다.
7.
다음 중 제조원가를 구성하는 원가의 일부가 아닌 것은?
1.
생산직 직원에게 제공된 식사물
2.
제조부서에서 발생된 건물임차료
3.
제품 매출대금에서 발생된 대손금
4.
원재료를 제공받는 거래처에게 제공한 선물대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제품 매출대금에서 발생된 대손금은 판매관리비로 처분된다.
8.
다음 중 종합원가계산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작업원가표
2.
완성품환산량
3.
선입선출법
4.
완성도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선입선출법은 완성품환산량의 단위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작업원가표는 개별원가계산에서 사용된다.
9.
보조부문에 대한 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부하는 방법 중 상호배부법에 대한 설명으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보조부문의 배부순서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2.
보조부문 상호간에 용역수수관계를 불완전하게 인식하게 된다.
3.
배부절차가 다른 방법에 비해 비교적 간단하다.
4.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수수관계가 중요하지 않을 경우에 적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보조부문의 배부순서를 고려하는 경우는 단계배부법이다.
10.
다음 중 공손에 대한 회계처리 중 틀린 것은?
1.
비정상공손품은 전체 공손품에서 정상공손품을 공제한 나머지를 의미한다.
2.
정상공손은 제품원가의 일부를 구성한다.
3.
기말재공품에 대하여 불량품 검사를 하였을 경우에 비정상공손원가는 기말재공품에도 배부하여야 한다.
4.
공손품과 작업폐물은 같지 않다.
정답 : [
3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비정상공손품은 영업외비용으로 처리한다.
11.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과세대상인 재화가 아닌 것은?
1.
영업권
2.
상가건물
3.
상품권
4.
특허권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부가가치세법 1조 유가증권은 과세대상인 재화에 해당되지 않는다.
12.
다음은 일반과세자인 개인사업자들이다. 부가가치세법상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의무가 있는 사업자가 아닌 것은?
1.
직전 과세기간에 대한 납부세액이 없는 자
2.
사업자단위과세사업자
3.
예정신고기간에 신규로 사업을 개시한 자
4.
예정고지 금액이 20만원 이하인 경우로서 예정고지가 생략된 자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64조 제6항>
13.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간이과세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간이과세자의 과세표준은 공급대가이다.
2.
일반과세자인 부동산임대사업자가 신규로 음식점 사업을 하는 경우 간이과세자가 될 수 있다.
3.
간이과세자도 영세율을 적용 받을 수 있다.
4.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율은 10%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부가가치세법 25조 1항 1호: 간이과세가 적용되지 아니하는 다른 사업장을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는 간이과세자가 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