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의 제공으로 인한 수익은 용역제공거래의 성과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을 때 완성기준에 따라 인식한다.
2.
이자수익은 원칙적으로 유효이자율을 적용하여 발생기준에 따라 인식한다.
3.
배당금수익은 배당금을 받을 권리와 금액이 확정되는 시점에 인식한다.
4.
매출에누리와 할인 및 환입은 수익에서 차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용역의 제공에 의한 수익은 용역제공거래의 성과를 신뢰성있게 추정할 수 있다고 보고 "진행기준"에 따라 인식한다.
2.
재고자산의 시가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한 경우에는 저가법을 사용하여 장부금액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저가법을 적용하는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보고기간말로부터 1년 또는 정상영업주기 내에 판매되지 않았거나 생산에 투입할 수 없어 장기체화된 경우
2.
진부화하여 정상적인 판매시장이 사라진 경우
3.
완성하거나 판매하는데 필요한 원가가 하락한 경우
4.
기술 및 시장여건 등의 변화에 의해서 판매가치가 하락한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완성하거나 판매하는데 필요한 원가가 "상승"한 경우 * 저가법 적용 사유 - 보고기간말로부터 1년 또는 정상영업주기 내에 판매되지 않았거나 생산에 투입할 수 없어 장기체화된 경우 - 진부화하여 정상적인 판매시장이 사라진 경우 - 완성하거나 판매하는데 필요한 원가가 상승한 경우 - 판매가치가 하락한 경우 - 손상을 입은 경우 - 경쟁업체에서 신제품이 출시한 경우 등 [해설작성자 : 열공신아영님]
3.
무형자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형자산의 상각기간은 독점적・배타적 권리를 부여하고 있는 관계 법령이나 계약에 정해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20년을 초과할 수 없다.
2.
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의 경우, 미래경제적효익을 창출할 수 있다면 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다.
3.
무형자산의 합리적인 상각방법을 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정액법을 사용한다.
4.
무형자산의 잔존가치는 없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은 원가를 신뢰성있게 측정할 수 없고, 기업이 통제하는 식별가능한 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자산으로 인식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열공신아영님]
<문제 해설> 시험에 나오는 핵심요소만 기억!! - 개별원가계산 : 다품종 소량생산, 주문생산방식 ex)건설, 조선, 항공기제조업 등 - 종합원가계산 : 소품종 대량생산(연속생산), 들어가는 시점에 따라 직접재료비와 가공비로 구분 ex)제지업, 섬유업, 정유업 등 [해설작성자 : 열공신아영님]
10.
다음 자료에 따른 평균법에 의한 재료비와 가공비의 완성품환산량은 얼마인가? (단,원재료는 공정 30% 시점에 전량 투입되며, 가공비는 공정기간동안 균등하게 투입된다고 가정한다.) (순서대로 재료비, 가공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