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취득한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방법은 동종의 기존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방법과 상관없이 선택적용 한다.
2.
다른 종류의 자산과의 교환으로 유형자산을 취득하는 경우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는 교환을 위하여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액으로 측정한다.
3.
건물을 신축하기 위하여 사용중인 기존 건물을 철거하는 경우 그 건물의 장부가액은 제거하여 처분손실로 반영하고, 철거비용은 전액 당기비용으로 처리한다.
4.
유형자산의 진부화 또는 시장가치의 급격한 하락 등으로 인하여 유형자산의 미래 경제적 효익이 장부가액에 현저하게 미달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감액손실의 인식여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① 기업회계기준서 5호 유형자산 중 문단 14, 19, 34, 35 참조 문단34에서는 ‘감가상각방법은 매기 계속하여 적용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변경하지 않는다. 새로 취득한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방법도 동종의 기존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방법과 일치시켜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힘찬튼튼]
2.
기업회계기준서의 충당부채와 우발자산 ㆍ 부채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충당부채는 현재의무이고 이를 이행하기 위하여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그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으므로 부채로 인식한다.
2.
자원의 유출을 초래할 현재의무가 불확실하거나, 현재의무가 존재하지만, 그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없는 우발부채는 부채로 인식되지 않는다.
3.
우발자산은 원칙적으로 자산으로 인식하지 아니하고 자원의 유입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만 자산으로 인식한다.
4.
충당부채는 대차대조표일마다 그 잔액을 검토하고, 대차대조표일 현재 최선의 추정치를 반영하여 증감 조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3.
다음 자료에 의하여 대차대조표의 자본총계를 구하면?
1.
67,500,000원
2.
63,900,000원
3.
60,900,000원
4.
60,400,000원
정답 : [
3
] 정답률 : 38%
4.
기업회계기준서 제6호에 의하면 대차대조표일과 재무제표가 사실상 확정된 날 사이에 발생한 사건은 당해 재무제표를 수정하는 사건과 수정을 요하지 않는 사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사건이 발생하였을 경우 당해 재무제표를 수정하여야 하는 것은 모두 몇 개인가?
1.
0개
2.
1개
3.
2개
4.
3개
정답 : [
3
] 정답률 : 79%
5.
다음 중 기업회계기준에 의하여 이익잉여금처분사항으로 분류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이익준비금의 적립
2.
사채할인발행차금의 상각
3.
주식배당의 결의
4.
주식할인발행차금의 상각
정답 : [
2
] 정답률 : 83%
6.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로 연결된 것은? (순서대로 가, 나 , 다)
1.
표준원가계산, 실제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
2.
실제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 표준원가계산
3.
표준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 실제원가계산
4.
실제원가계산, 표준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
정답 : [
3
] 정답률 : 100%
7.
개별원가계산을 채택하고 있는 목성(주)의 생산과 관련한 원자자료는 다음과 같으며, 당기말 현재 제조지시서 #101 · #102가 완성되었고, #103은 미완성상태인 경우 당기총제조원가는 얼마인가?
1.
19,000원
2.
24,000원
3.
25,000원
4.
30,000원
정답 : [
3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③ 당기총제조원가는 당기 발생한 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의 합계액이다. [해설작성자 : 힘찬튼튼]
8.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율법에 의하여 원가계산을 하고 있으며 기말에 제조간접비 배부차액을 총원가비례법에 의하여 조정하고 있을 때 다음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