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가 6개월이고 액면이자율이 연 6%인 받을어음 50,000,000원을 발행일에 수취하여 4개월간 보유하다가 거래은행에 연 12%의 이자율로 할인한 경우 매출채권처분손실은 얼마인가? (단, 모든 계산시 월할계산한다.)
1.
1,060,000원
2.
1,000,000원
3.
530,000원
4.
500,000원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2. 만기가 6개월이고 액면이자율이 연 6%인 받을어음 50,000,000원을 발행일에 수취하여 4개월간 보유하다가 거래은행에 연 12%의 이자율로 할인한 경우 매출채권처분손실은 얼마인가? 단, 모든 계산시 월할계산한다. ① 1,060,000원 ② 1,000,000원 ③ 530,000원 ④ 500,000원
다음의 사례를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 정한 수익인식기준에 따라 회계처리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011년 손익계산서에는 영향이 전혀 없다.
2.
2011년 재무상태표상 부채가 증가한다.
3.
2011년 재무상태표상 자본은 전혀 변동이 없다.
4.
2011년 재무상태표상 판매보증충당금 3,000,000원이 증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④ 수익과 관련 비용은 대응하여 인식한다. 즉, 특정 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한 수익과 비용은 동일한 회계기간에 인식한다. 일반적으로 재화의 인도 이후 예상되는 품질보증비나 기타 비용은 수익인식시점에서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관련된 비용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없다면 수익을 인식할 수 없다. 이 경우에 재화 판매의 대가로 이미 받은 금액은 부채로 인식한다.(실무지침 16.7) [해설작성자 : 힘찬튼튼]
4.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의한 퇴직연금에는 확정급여형(DB형)과 확정기여형(DC형)이 있다. 다음의 설명 중 틀린 설명은 무엇인가?
1.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에 가입하고 퇴직연금 100,000원을 현금으로 납부할 경우 회계처리는 다음과 같다.
2.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에 가입하고 퇴직연금 100,000원을 현금으로 납부할 경우 회계처리는 다음과 같다.
3.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에 가입하고 퇴직연금운용수익 100,000원을 지급받은 경우 회계처리는 다음과 같다.
4.
퇴직금추계액은 보고기간 말 현재 전임직원이 일시에 퇴직할 경우 지급하여야 할 퇴직금에 상당하는 금액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3번은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에 대한 보기. [해설작성자 : 최우식]
5.
(주)세무가 다음과 같은 거래를 한 경우 각각의 회계처리가 자본에 미치는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주식발행으로 인하여 자본금은 증가하였다.
2.
주식발행으로 인하여 자본잉여금은 변동이 없다.
3.
자기주식 취득으로 자본금은 변동이 없다.
4.
자기주식 처분으로 인하여 자본잉여금은 증가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 2011년 6월 4일 (차) 현금 등 5,000,000 (대) 자본금 5,000,000 주식발행초과금 100,000 현금 등 100,000 주식발행으로 인하여 자본잉여금이 감소하였다.
2011년 7월 4일 (차) 자기주식 600,000 (대) 현금 등 600,000
2011년 7월 20일 (차) 현금 등 650,000 (대) 자기주식 600,000 자기주식처분이익 50,000 자기주식 처분으로 인하여 자본잉여금은 증가하였다. [해설작성자 : 진홍실]
6.
(주)한산상회는 집중호우로 보관중이던 상품 10,000,000원이 파손되었다. 이 제품을 파손된 상태에서 처분하면 800,000원에 처분가능하나, 회사는 300,000원을 들여 파손부분을 수선하여 2,000,000원에 처분하기로 하였다. 수선 후 처분에 따른 기회비용은 얼마인가?
1.
300,000원
2.
800,000원
3.
1,700,000원
4.
2,000,000원
정답 : [
2
] 정답률 : 65%
7.
다음 중 표준원가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준원가계산방법을 선택한 경우에는 실제원가와 상관없이 표준원가로 계산된 재고자산의 금액을 재무상태표 금액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2.
표준원가계산은 사전에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에 의하여 산정한 원가를 이용하되 그 표준원가는 회사 사정을 고려하여 현실적으로 달성가능하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3.
표준직접재료원가 설정시 표준소비가격은 과거 및 현재의 시장가격과 장래에 예측되는 가격동향 등 제반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4.
표준원가계산시 표준원가와 실제발생원가의 차액인 원가차이는 원가계산 기간별로 산정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8.
다음의 대화 내용과 관련이 있는 원가계산 방법은?
1.
종합원가계산
2.
정상원가계산
3.
개별원가계산
4.
표준원가계산
정답 : [
1
] 정답률 : 77%
9.
(주)대포는 제조간접비를 직접노무시간으로 예정배부하고 있다. 당기말 현재 실제제조간접비 발생액이 6,150,000원이고 실제직접노무시간이 50,000시간인 경우 당기의 제조간접비는 150,000원 과소배부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 경우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율은 직접노무시간당 얼마인가?
1.
110원
2.
120원
3.
126원
4.
130원
정답 : [
2
] 정답률 : 50%
10.
㈜세무의 전력부문은 조립부문 및 도색부문에 용역을 공급하고 있다. 전력부문에서 발생된 원가는 변동비가 200,000원이고 고정비가 300,000원이다. ㈜세무가 전력부문에서 발생된 원가를 이중배부율법에 의하여 조립부문 및 도색부문에 배부할 경우에 다음 중 틀린 것은? (단, 실제제공시간 및 최대제공시간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