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③ 자기주식을 처분하는 경우 처분금액이 장부금액보다 크다면 그 차액을 자기주식처분이익으로 하여 자본잉여금으로 회계처리 한다.(일반기업회계기준 15.9) [해설작성자 : 힘찬튼튼]
2.
다음 내용을 고려하기 전 매출원가가 1,000,000원이었다면, 다음 내용을 고려한 후의 올바른 매출원가는 얼마인가?
1.
960,000원
2.
1,030,000원
3.
1,040,000원
4.
1,070,000원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정상적인 감모손실과 저가법에 의한 평가손실은 매출원가에 가산하고 비정상적인 감모손실은 영업외비용으로 분류한다. (일반기업회계기준 7.20) 올바른 매출원가 = 1,000,000 + 30,000 + 40,000 = 1,070,000원
3.
다음은 회계변경 및 오류수정과 관련한 사례들이다. 적용방법상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산업재산권의 효익제공기간을 10년에서 8년으로 단축적용하기로 하였다.
2.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설정율을 2%에서 1%로 변경하기로 하였다.
3.
전기의 중요한 오류를 후속기간에 발견하여 수정하여 바로 잡았다.
4.
기계장치의 내용연수를 5년에서 8년으로 변경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회계정책의변경 - 재고자산평가방법, 유형자산수선방법, 투자주식평가방법, 유가증권취득단가 산정방법 변경 회계추정의변경 - 재고자산감모, 매출채권대손추정률변경, 감가상각방법변경, 감가사각자산 내용연수/잔존가치 변경
4.
유형자산의 감가상각과 관련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연수합계법은 내용연수 동안 감가상각비가 매 기간 일정한 방법이다.
2.
감가상각의 주목적은 자산의 내용연수동안 원가의 합리적인 배분에 있다.
3.
제조공정에서 사용된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액은 재고자산의 원가를 구성한다.
4.
유형자산의 잔존가치가 유의적이고, 새로운 추정치가 종전의 추정치와 다르다면 그 차이는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5.
당기순손익과 총포괄손익간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항목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ㄹ
2.
ㄱ, ㄹ, ㅂ
3.
ㄴ, ㄷ, ㅁ
4.
ㄹ, ㅁ, ㅂ
정답 : [
2
] 정답률 : 64%
6.
다음 중 그 성격이 다른 원가계산방법은 무엇인가?
1.
개별원가계산
2.
종합원가계산
3.
공정별원가계산
4.
조별원가계산
정답 : [
1
] 정답률 : 65%
7.
다음은 보조부문원가에 관한 자료이다. 보조부문의 제조간접비를 다른 보조부문에는 배부하지 않고 제조부문에만 직접 배부할 경우 수선부문에서 조립부문으로 배부될 제조간접비는 얼마인가?
1.
24,000원
2.
32,000원
3.
40,000원
4.
50,000원
정답 : [
3
] 정답률 : 70%
8.
종합원가계산을 실시하는 (주)서울은 원재료를 공정 개시시점에서 전량 투입하고, 가공비는 전공정을 통해 균일하게 발생한다. (주)서울이 재공품의 평가방법으로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을 사용할 경우,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가공비의 당기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면?(순서대로 평균법, 선입선출법)
1.
3,650개, 3,330개
2.
3,280개, 3,480개
3.
3,480개, 3,280개
4.
3,330개, 3,650개
정답 : [
3
] 정답률 : 66%
9.
다음 중 부문별원가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인가?
1.
직접작업시간을 배부기준으로 예정배부하는 경우 배부액은 예정배부율에 제품별 예정직접작업시간을 곱하여 계산된다.
2.
여러 부문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제조간접원가는 합리적인 배부기준에 의하여 각 부문에 배부되어야 한다.
3.
제조간접원가 과대배부액을 비례배분법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매출원가일괄처리법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매출원가가 감소하게 된다.
4.
직접배부법은 보조부문원가의 배부순서에 관계없이 배부액이 일정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① 직접작업시간에 의한 예정배부액 = 예정배부율 × 실제직접작업시간 [해설작성자 : 힘찬튼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