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제도를 시행하는 경우 충당부채를 인식할 수 있다.
4.
충당부채는 최초의 인식시점에서 의도한 목적과 용도에만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①ㆍ충당부채는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인식한다. 1) 과거사건이나 거래의 결과로 현재의무가 존재한다. 2)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3) 그 의무의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다.(일반기업회계기준 14.4)
ㆍ우발부채는 부채로 인식하지 아니한다.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아주 낮지 않는 한, 우발부채를 주석에 기재한다.(일반기업회계기준 14.5) ㆍ충당부채의 명목금액과 현재가치의 차이가 중요한 경우에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평가한다.(일반기업회계기준 14.9) [해설작성자 : 힘찬튼튼]
5.
다음 중 재무제표 작성과 표시의 일반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경영진은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청산기준에 의하여 작성하여야 하고 청산의도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계속기업을 기준으로 작성할 수 있다.
2.
재무제표 항목의 표시가 변경되는 경우 당기와 비교를 위하여 전기의 항목을 재분류하고, 재분류항목의 내용, 금액 및 재분류 이유를 본문에 기재하여야 한다.
3.
재무제표 표시와 관련하여 본문과 주석의 중요성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본문에는 통합표시한 항목이 주석에는 구분 표시될 수 있다.
4.
재무제표에 표시하는 금액단위는 백만원 등 천원을 초과하는 단위는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답③ ㆍ계속기업기준이 원칙이고 청산기준은 예외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ㆍ재분류항목의 내용, 금액 및 재분류 이유는 본문이 아닌 주석에 기재한다. ㆍ재무제표 이용자에게 오해를 줄 염려가 없는 경우에는 금액을 천원이나 백만원 단위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
6.
당사는 직접노무시간을 기준으로 정상원가계산에 의하여 제품원가를 계산하고 있다. 연초에 제조간접원가 예산은 2,600,000원이었고 직접노무시간 예상시간은 32,500시간이었다. 당기에 실제 직접노무시간 32,000시간에 의한 배부결과 제조간접원가가 20,000원 과대배부되었다면 당기 실제 제조간접원가는 얼마인가?
1.
2,500,000원
2.
2,540,000원
3.
2,580,000원
4.
2,600,000원
정답 : [
2
] 정답률 : 56%
7.
다음 중 연산품과 부산물의 원가계산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