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채할인발행차금의 상각이 (1)당기순이익과, (2)사채의 장부가액에 미치는 영향으로 올바른 것은?
1.
(1)감소, (2)증가
2.
(1)증가, (2)감소
3.
(1)감소, (2)감소
4.
(1)증가, (2)증가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사채할인발행차금은 사채가 할인발행된 것이다. 즉, 사채의 원금보다 늦은 금액으로 사채가 발행 시간이 가면 갈 수록, 사채의 장부가액은 증가될 것이고, 그에 따른 이자도 증가된다. 즉, 장부가액은 가면 갈 수록 증가하고, 그에 따른 이자도 증가하고, 그럴 수록 당기순이익은 감소하고 [해설작성자 : 멕이]
3.
다음은 무형자산에 대한 회계처리와 보고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무형자산은 당해 자산의 법률적 취득시점부터 합리적인 기간 동안에 정액법, 연수합계법, 체감잔액법, 생산량비례법 등 기타 합리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상각한다. 다만, 합리적인 방법을 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정액법으로 상각한다.
2.
업무지원용으로 자체개발에 소요된 비용이 자산인식 요건에 충족한 소프트웨어는 무형자산으로 처리한다.
3.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은 상각하지 아니한다.
4.
무형자산은 최초 인식 후에 무형자산의 장부금액을 취득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기록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① 무형자산의 상각은 자산이 사용가능한 때부터 시작한다. [해설작성자 : 진홍실]
4.
(주)태양의 2014년말 매출채권 잔액은 15,000,000원이고, 대손충당금잔액은 250,000원이다. 2015년 기간 중 다음 사항이 발생하였으며, 강남상사는 매출채권잔액의 2%를 대손액으로 추정하고 있다. 2015년도 포괄손익계산서에 계상할 대손상각비는 얼마인가?
1.
225,000원
2.
354,000원
3.
212,000원
4.
374,000원
정답 : [
4
] 정답률 : 56%
5.
회사가 보유한 시장성 있는 매도가능증권에 대한 기말평가를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회계처리한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매도가능증권의 평가손익은 당기순이익에 영향을 주지 아니한다.
2.
매도가능증권의 기말평가여부에 따라 자본금이 달라진다.
3.
매도가능증권의 기말평가여부에 따라 매도가능증권의 장부가액이 달라진다.
4.
매도가능증권평가손실과 매도가능증권손상차손의 당기순이익에 주는 효과는 다르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② 매도가능증권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항목으로서 평가손익은 당기순이익에 영향이 전혀 없으며, 평가손익만큼 당기 매도가능증권의 장부가액은 변동한다. 또한 평가여부와 상관없이 자본금은 일정하다. 재무상태표상의 자본금은 발행주식수 × 액면가액이다. [해설작성자 : 힘찬튼튼]
6.
정상개별원가계산에 의한 제조간접원가배부차이를 매출원가(640,000원), 기말재공품(270,000원), 기말제품(90,000원)에 비례배부하여 처리한 결과 기말제품이 86,850원으로 수정되었다면, 제조간접원가배부차이는 얼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