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말 결산인 ㈜정한은 2015년 7월 1일 기계장치를 500,000원에 취득(추정내용년수 10년, 잔존가치 없음, 정액법 상각)하였으며, 정부로부터 상환의무가 없는 50,000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2017년 7월 1일에 동 기계장치를 300,000원에 처분 시 유형자산 처분손익은 얼마인가? (단, 기계장치의 장부금액을 결정할 때 취득원가에서 정부보조금을 차감하는 원가차감법을 사용한다)
제조간접비 부족배부차이 100,000원을 배부한다고 할 때, 매출원가조정법과 총원가비례배분법, 원가요소별비례배분법 중 어느 것의 순이익이 가장 작게 나타나는가?
1.
매출원가조정법
2.
총원가비례배분법
3.
순이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원가요소별 비례배분법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답: 1번 매출원가조정법은 부족 배부 차이만큼 매출원가에 배부하기 때문에 원가(비용)의 증가로 이익이 감소하게됩니다.
[추가 해설]
[답] ① 매출원가조정법은 배부차이를 전액 매출원가에 가산하기에 순이익이 셋 중 가장 작게 나타난다.
8.
㈜한결의 6월에 수행된 3개의 작업관련 자료는 다음과 같으며, 실제 제조간접원가 발생액은 55,800원,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율은 직접노동시간당 9원이다. 작업 #601과 #602는 6월에 완성되었고, 작업 #603은 미완성상태인 경우, 작업 #601에서 생산한 제품의 단위당 원가 및 ㈜한결의 기말재공품원가를 계산하시오. (순서대로 단위단원가, 재공품원가)
1.
12.86원, 35,200원
2.
12.45원, 35,200원
3.
12.86원, 33,400원
4.
12.45원, 33,400원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601 의 단위원가 : 제조간접원가(2,400 x 9) 직접재료원가 9,000 직접노무원가 19,200 = 기초&기말 재공품과 제품이 없으므로 총제조원가를 생산량으로 나눕니다. 49,800 / 4,000 = 12.45 #603의 기말재공품원가 : 역시 기초&기말 재공품과 제품이 없으며 #601과 #602는 완성되었고 #603은 미완성 제품으로써 재공품으로 남 아 있습니다. (참고로 재공품은 WIP (Work In Process) 라고 합니다.) (1,800 x 9)+ 2,800 +14,400 = 33,400 입니다. [해설작성자 : 박진규]
9.
㈜엉터리는 개별원가계산을 채택하고 있다. 다음 자료를 보고 당기에 발생한 직접재료원가를 구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