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곰팡이는 어디서나 존재하며, 곰팡이 포자들은 가정과 일터의 먼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요소의 하나이다. 그러나 곰팡이 포자가 대량으로 존재할 경우 인간에게 건강 상 위험을 줄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알레르기 반응과 호흡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일부 곰팡이들은 또한 진균독을 유발시켜 인간과 짐승에 심각한 건강 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높은 수준의 진균독에 노출되면 신경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일부의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일상적으로 집에 노출되는 등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특히 위험할 수 있다. 곰팡이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최종 결론이 나지는 않았다. "독성 곰팡이"라는 용어는 Stachybotrys chartarum와 같은 진균독을 일으키는 곰팡이를 말하며, 모든 곰팡이에게 해당되지는 않는다. [해설작성자 : 김종은]
12.
식품 첨가물 중 유해한 착색료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붕산(boric acid)
나.
롱가릿(rongalite)
다.
아우라민(auramine)
라.
둘신(dulcin)
정답 : [
3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아우라민(오라민;auramine)-빛과 열에 안정하며, 자외선에 닿으면 선황색을 띄기에 착색목적으로 과자나 단무지 등에 사용되었으나, 다량섭취로 인한 두통,심계항진,맥박감소,피부흑색반점,의식불명 또한 장기장해나 인슐린분비선병변 등 독성이 강하여 사용이 금지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13.
사용이 금지된 감미료는?
가.
사카린나트륨(Saccharin sodium)
나.
아스파탐(aspartame)
다.
페릴라틴(Peryllartine)
라.
디-소르비톨(D-sorbitol)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페릴라틴은 보라색 풀인 자소씨에서 추출한 기름에 부드러운 향을 제공하는 일명 자소당이라고한다. 설탕의 2000배 단맛을 갖고 있어 나물, 김치, 우메보시의 재료나 한방에 널리 사용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KHB]
14.
식중독 발생시 보호자의 조치사항 중 잘못된 것은?
가.
식중독 발생 사실을 신고한다.
나.
즉시 환자를 의사에게 진단하게 한다.
다.
환자의 가검물을 원인조사시 까지 보관한다.
라.
항생제를 복용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84%
15.
부패가 진행됨에 따라 식품은 특유의 부패취를 내는데 그 성분이 아닌 것은?
가.
인돌
나.
황화수소
다.
아세톤
라.
휘발성 아민
정답 : [
3
] 정답률 : 76%
2과목 : 식품학
16.
상온에서 일반적으로 식물성 유지는 액체상태로, 동물성 유지는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가.
구성 지방산의 종류에 따른 발연점의 차이로
나.
구성 지방산의 종류에 따른 융점의 차이로
다.
구성 지방산의 종류에 따른 가소성의 차이로
라.
구성 지방산의 종류에 따른 유화성의 차이로
정답 : [
2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각 구성 지방산의 종류에 따른 융점(녹는점)의 차이로 [해설작성자 : 김종은]
17.
일반적으로 프로비타민 A를 많이 함유하는 식품은?
가.
효모
나.
녹엽채소
다.
콩나물
라.
감자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녹황색 야채에는 ‘베타카로텐’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은 체내에서 비타민 A로 바뀌므로 ‘프로비타민A’라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김종은]
18.
산과 당이 존재하면 특징적인 젤(gel)을 형성하는 능력을 가진 것은?
가.
글리코겐(glycogen)
나.
섬유소(cellulose)
다.
펙틴(pectin)
라.
전분(starch)
정답 : [
3
] 정답률 : 60%
19.
숙주나물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가.
완두를 싹 틔운 것
나.
납두를 싹 틔운 것
다.
대두를 싹 틔운 것
라.
녹두를 싹 틔운 것
정답 : [
4
] 정답률 : 75%
20.
육류의 색의 안정제, 밀가루의 품질개량제, 과채류의 갈변과 변색 방지제로 이용되는 비타민은?
가.
나이아신(niacin)
나.
리보플라빈(riboflavin)
다.
티아민(thiamin)
라.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스코르빈산(비타민C): 조리시 가장 많이 손실되는 영양소로 알칼리에 약하고 물에 잘 녹으며, 열에 쉽게 파괴됨. [해설작성자 : 김종은]
21.
어유와 일반 식물유의 차이점은?
가.
어유는 포화지방산이 많고 요오드가가 적다.
나.
어유는 불포화지방산이 적고 요오드가가 높다.
다.
어유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고 혼합 글리세리드이다.
라.
어유는 불포화지방산이 적고 요오드가가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43%
22.
효소와 기질식품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가.
레닌(rennin) - 우유
나.
우레아제(urease) - 육류
다.
아밀라아제(amylase) - 전분
라.
파파인(papain) - 지방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파파인-단백질 예) 고기 연화(부드럽게) [해설작성자 : KHB]
23.
아밀로펙틴(amylopectin)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가.
멥쌀
나.
보리
다.
찹쌀
라.
좁쌀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아밀로펙틴(Amylopectin)은 식물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당류의 일종이다. 녹말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이다.(다른 하나는 아밀로스) 아밀로스는 물에 잘 녹지만, 아밀로펙틴은 물에 잘 녹지 않는다. 아밀로펙틴은 포도당 24~30개 당 하나의 가지가 붙어 있다. 찹쌀은 아밀로펙틴 100% [해설작성자 : 김종은]
24.
빵의 노화시 생겨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가.
빵의 외피가 딱딱해진다.
나.
풍미를 상실하고 독특한 노화냄새를 낸다.
다.
빵의 흡수성이 증가한다.
라.
내부의 경도가 증가하여 외력이 증가되므로 부스러지기 쉽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25.
녹색채소를 삶을 때 녹황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가.
엽록소의 Mg이 Cu로 치환 되었으므로
나.
엽록소가 페오피틴(pheophytin)으로 변했으므로
다.
엽록소의 H가 Cu로 치환되었으므로
라.
엽록소가 클로로필라이드(chlorophyllide)로 변했으므로
정답 : [
2
] 정답률 : 43%
26.
식품과 쓴맛성분이 맞지 않는 것은?
가.
양파껍질 - 히스타민(histamine)
나.
감귤류껍질 - 나린진(naringin)
다.
맥주 - 휴물론(humulone)
라.
오이꼭지 - 쿠쿠르비타신(cucurbitacin)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히스타민-동물의 조직내에 널리 존재하며 단백질 분해산물인 히스티딘에서 생성
27.
생선의 육질이 육류보다 연한 이유는?
가.
미오글로빈 함량이 적으므로
나.
미오신과 액틴의 함량이 많으므로
다.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함량이 적으므로
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많으므로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콜라겐(동물의 뼈, 연골, 이, 피부 등을 구성하는 단백질)과 엘라스틴(힘줄, 혈관에 있는 단백질)의 함량이 적으므로 [해설작성자 : 김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