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드 웨이브시 두부 부위 및 두발성질에 따른 컬링 로드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 적절하지 못한 것은?
가.
두부의 네이프 부분에는 소형의 로트를 사용한다.
나.
두부의 양사이드 부분에는 중형의 로트를 사용한다.
다.
톱에서 크라운의 부분에는 대형의 로트를 사용한다.
라.
일반적으로 굵고 모량이 많은 두발은 대형의 로트를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8.
핑거 웨이브의 종류 중 스윙 웨이브(swing wave)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은?
가.
큰 움직임을 보는 듯한 웨이브
나.
물결이 소용돌이 치는 듯한 웨이브
다.
리지가 낮은 웨이브
라.
리지가 뚜렷하지 않고 느슨한 웨이브
정답 : [
1
] 정답률 : 69%
9.
원랭스(one-length)커트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패러렐
나.
스파니엘
다.
이사도라
라.
레이어
정답 : [
4
] 정답률 : 77%
10.
미용사(hair stylist)의 많은 경험 속에서 지식과 지혜를 갖고 새로운 기술(technique)을 연구하여 독창력 있는 나만의 스타일을 창작하는 기본단계는?
가.
보정
나.
구상
다.
소재
라.
제작
정답 : [
2
] 정답률 : 64%
11.
두상(두부)의 그림 중 (3)의 명칭은?
가.
사이드 포인트(S.P)
나.
프론트 포인트 (F.P)
다.
네이프 포인트(N.P)
라.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N.S.P)
정답 : [
3
] 정답률 : 81%
12.
롤러 컬(roller curl)을 시술할 때 탑 부분에 사각으로 파트를 나누는 것은?
가.
스파이럴 파트
나.
스퀘어 파트
다.
크로카놀 파트
라.
플래트 파트
정답 : [
2
] 정답률 : 81%
13.
일반적으로 퍼머넨트 웨이브가 잘 나오지 않는 두발은?
가.
염색한 두발
나.
다공성 두발
다.
습수성 두발
라.
발수성 두발
정답 : [
4
] 정답률 : 48%
14.
색을 크게 무채색과 유채색으로 나눌 때 무채색에 해당되는 것으로만 묶은 것은?
가.
빨강, 회색
나.
흑색, 노랑
다.
흰색, 주황
라.
회색, 흑색
정답 : [
4
] 정답률 : 79%
15.
미용사가 손님에게 미안술을 시술 시 사전 피부분석하고 상태를 파악하는 항목 중 가장 거리가 먼 항목은 어느 것인가?
가.
피부의 유형
나.
피부의 상태
다.
피부의ph
라.
피부의 흉터자국
정답 : [
4
] 정답률 : 77%
16.
노화가 되면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얼굴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얼굴의 피부색이 변한다.
나.
눈 아래 주름이 생긴다.
다.
볼우물이 생긴다.
라.
피부가 이완되고 근육이 처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볼우물은 다른말로 보조개 라고도 하는데 나이가 든다고 보조개가 생기지는 않는다. [해설작성자 : 어화리둥둥]
17.
다음중 지방성 피부에 적합한 수렴성 팩제는?
가.
명반
나.
벌꿀
다.
우유
라.
계란
정답 : [
1
] 정답률 : 53%
18.
피부가 붉은 사람을 커버하기에 적당한 메이크업 베이스 색상은?
가.
노란색
나.
핑크색
다.
초록색
라.
갈색
정답 : [
3
] 정답률 : 72%
19.
넓은 얼굴을 좁아 보이게 할 때 주로 사용하는 컬러는?
가.
새도우 컬러
나.
하이라이트 컬러
다.
베이스 컬러
라.
엑센트 컬러
정답 : [
1
] 정답률 : 63%
20.
축쇄결합 중 가장 많이 존재하며 이 결합에 의해 드라이와 세트가 형성된다. 이 축쇄결합은?
가.
시스틴 결합(횡결합)
나.
수소결합
다.
영결합(이온결합)
라.
펩타이드 결합
정답 : [
2
] 정답률 : 49%
2과목 : 공중보건학
21.
전염병예방법상 제4군 전염병에 속하는 것은?
가.
콜레라
나.
디프테리아
다.
황열
라.
말라리아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0. 1. 18., 2013. 3. 22., 2014. 3. 18., 2015. 7. 6., 2016. 12. 2., 2018. 3. 27., 2019. 12. 3., 2020. 3. 4., 2020. 8. 11.>
1. "감염병"이란 제1급감염병, 제2급감염병, 제3급감염병, 제4급감염병, 기생충감염병,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성매개감염병, 인수(人獸)공통감염병 및 의료관련감염병을 말한다.
2. "제1급감염병"이란 생물테러감염병 또는 치명률이 높거나 집단 발생의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신고하여야 하고, 음압격리와 같은 높은 수준의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으로서 다음 각 목의 감염병을 말한다. 다만, 갑작스러운 국내 유입 또는 유행이 예견되어 긴급한 예방ㆍ관리가 필요하여 질병관리청장이 보건복지부장관과 협의하여 지정하는 감염병을 포함한다.
3. "제2급감염병"이란 전파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고, 격리가 필요한 다음 각 목의 감염병을 말한다. 다만, 갑작스러운 국내 유입 또는 유행이 예견되어 긴급한 예방ㆍ관리가 필요하여 질병관리청장이 보건복지부장관과 협의하여 지정하는 감염병을 포함한다.
4. "제3급감염병"이란 그 발생을 계속 감시할 필요가 있어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는 다음 각 목의 감염병을 말한다. 다만, 갑작스러운 국내 유입 또는 유행이 예견되어 긴급한 예방ㆍ관리가 필요하여 질병관리청장이 보건복지부장관과 협의하여 지정하는 감염병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