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피스톤 슬랩 [ Piston slap ] 요약 실린더와 피스톤 간극이 클 때 피스톤이 실린더 벽을 때리는 현상. 피스톤은 동력행정에서 고온, 고압의 가스 압력을 받아 실린더 내를 상하운동 하며, 커넥팅로드를 통해 크랭크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일을 한다. 피스톤은 실린더 안에서 고속운동을 하기 때문에 큰 마찰이 발생한다. 따라서 피스톤은 엔진이 작동할 때 열팽창 하므로 상온에서 피스톤과 실린더와의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극을 둔다. 즉 실린더와 피스톤의 최대 외경의 차이가 피스톤 간극(piston clearance)이다. 이 때 간극이 작으면 피스톤 및 링이 소결(덩어리로 굳어지는 현상)되고 간극이 크면 압축 압력의 저하, 블로바이 가스의 발생, 오일의 연소실 유입, 오일의 희석, 피스톤 슬랩이 발생한다. 특히 저온에서 피스톤 슬랩 현상이 현저하게 발생되며 이를 사이드 노크(side-knock)라고도 한다. 피스톤이 행정을 바꿀 때 피스톤 간극이 크면 실린더 벽에 충격음을 주게 되어 충격을 유발한다. 따라서 피스톤 슬랩 현상을 없애기 위해, 피스톤 간극은 피스톤의 재질, 형상, 실린더의 냉각 상태 등에 의해 정해지며 경합금 피스톤의 경우 실린더 내경의 0.05%정도로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피스톤 슬랩 [Piston slap]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Gnany]
4.
디젤기관의 연소실 방식에서 흡기 가열식 예열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가.
직접분사식
나.
예연소실식
다.
와류실식
라.
공기실식
정답 : [
1
] 정답률 : 47%
5.
디젤기관의 노킹 발생 방지 대책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가.
착화성이 좋은 연료를 사용한다.
나.
분사 시 공기온도를 높게 유지한다.
다.
연소실 벽 온도를 높게 유지한다.
라.
압축비를 낮게 유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내연기관의 실린더 내에서의 이상연소(異常燃燒)에 의해 망치로 두드리는 것과 같은 소리가 나는 현상이다. [해설작성자 : Moses]
6.
점도지수가 큰 오일의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는?
가.
크다.
나.
작다.
다.
불변이다.
라.
온도와는 무관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7.
디젤기관을 시동시킨 후 충분한 시간이 지났는데도 냉각수 온도가 정상적으로 상승하지 않을 경우 그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은?
가.
냉각팬 벨트 헐거움
나.
수온조절기가 열린 채 고장
다.
물 펌프의 고장
라.
라디에이터코어의 막힘
정답 : [
2
] 정답률 : 65%
8.
기관에서 실린더 마모가 가장 큰 부분은?
가.
실린더 아래 부분
나.
실린더 윗 부분
다.
실린더 중간 부분
라.
실린더 연소실 부분
정답 : [
2
] 정답률 : 61%
9.
기관을 시동하기 전에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가.
연료의 량
나.
냉각수의 량
다.
엔진의 회전수
라.
엔진오일의 량
정답 : [
3
] 정답률 : 89%
10.
냉각팬의 벨트 유격이 너무 클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가.
발전기의 과충전이 발생된다.
나.
강한 텐션으로 벨트가 절단된다.
다.
기관과열의 원인이 된다.
라.
점화시기가 빨라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팬벨트의 장력이 헐거우면 물펌프의 회전속도가 느려 기관이 과열되기 쉽다.
11.
엔진오일 압력 경고등이 켜지는 경우가 아닌 것은?
가.
오일이 부족할 때
나.
오일 필터가 막혔을 때
다.
엔진을 급가속 시켰을 때
라.
오일 회로가 막혔을 때
정답 : [
3
] 정답률 : 77%
12.
디젤기관에 과급기를 부착하는 주된 목적은?
가.
출력의 증대
나.
냉각효율의 증대
다.
배기 효율의 증대
라.
윤활성의 증대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터보차저라고도 한다. 내연기관에서는 피스톤의 하강행정에서 생기는 실린더 안의 부압(負壓)으로 혼합기 또는 공기를 빨아들인다. [해설작성자 : Moses]
13.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작동할 때 한쪽은 정상이고 다른 한쪽은 점멸 작용이 정상과 다르게(빠르게 또는 느리게)작용한다. 고장 원인이 아닌 것은?
가.
전구 1개가 단선 되었을 때
나.
플래셔 유닛 고장
다.
좌측 전구를 교체할 때 규정 용량의 전구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라.
한쪽 전구 소켓에 녹이 발생하여 전압강하가 있을 때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플래셔유닛-방향 지시등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한 주기로 단속(斷續)하여 점멸시켜 자동차의 주행 방향을 알리는 장치이다. [해설작성자 : Moses]
14.
교류 발전기에서 작동 중 소음 발생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고정 볼트가 풀렸다.
나.
벨트 장력이 약하다.
다.
베어링이 손상되었다.
라.
축전지가 방전되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15.
축전지 충전 중에 화기를 가까이 하거나 충전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드라이버 등으로 스파크를 시키면 위험한 이유는?
가.
축전지 케이스가 타기 때문이다.
나.
전해액이 폭발하기 때문이다.
다.
축전지 터미널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라.
발생하는 가스가 폭발하기 때문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16.
축전지의 전해액이 빨리 줄어든다. 그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축전지 케이스가 손상된 경우
나.
과충전이 되는 경우
다.
비중이 낮은 경우
라.
전압조정기가 불량인 경우
정답 : [
3
] 정답률 : 43%
17.
기동 전동기의 마그넷 스위치는?
가.
기동 전동기의 전자석 스위치이다.
나.
기동 전동기의 전류 조절기이다.
다.
기동 전동기의 전압 조절기이다.
라.
기동 전동기의 저항 조절기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18.
예열 플러그의 작용 시기는 어느 때가 가장 좋은가?
가.
냉각수의 양이 많을 때
나.
기온이 영하로 떨어졌을 때
다.
축전지가 방전 되었을 때
라.
축전지가 과 충전 되었을 때
정답 : [
2
] 정답률 : 88%
19.
무한궤도식 건설기계에서 트랙전면에 오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설치한 것은?
가.
상부 롤러
나.
리코일 스프링
다.
하부 롤러
라.
프론트 롤러
정답 : [
2
] 정답률 : 72%
20.
기중기의 주행 중 점검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훅의 걸림 상태
나.
주행시 붐의 최고 높이
다.
종감속기어 오일량
라.
붐과 캐리어의 간격
정답 : [
3
] 정답률 : 61%
21.
로더의 동력조향장치 구성을 열거한 것이다. 적당치 않은 것은?
가.
유압펌프
나.
복동 유압 실린더
다.
제어밸브
라.
하이포이드 피니언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베벨 기어의 일종으로서 베벨 기어의 축(軸)을 엇갈리게 한 것으로 엇갈린 축의 협각(挾角)이 90˚를 이루는 것이다. 자동차의 차동(差動) 기어 장치의 감속 기어로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M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