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LC에서 피기백킹(piggybacking) 기법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확인응답을 보낼 때 사용되는 프레임은?
가.
I-프레임
나.
S-프레임
다.
U-프레임
라.
A-프레임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HDLC 비트 위주 프로토콜, High-level data link control - 각 프레임단위로 데이터흐름 제어, 오류를 검출하는 비트열을 삽입하며 전송 - Go-Back-N과 선택적 재전송 ARQ (Selective Reapeat ARQ) 사용 - 투명성 보장위해 비트 스터핑 수행 - 비트 투과성 :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비트 정보를 전송 - ISO에서 개발한 다양한 데이터 링크 형태에 적용이 되는 국제 표준 프로토콜 - 흐름제어를 위해 슬라이딩 윈도우방식 사용 *HDLC의 프레임 구조 플래그 - 주소부 - 제어부 - 정보부 - 검사부 - 플래그 1) 플래그 Flag - 프레임의 시작과 끝에 위치 - 고유 8bit 01111110 - 혼선방지 위함 2) 주소부 Address Field - 송,수신국을 식별하기 위해사용 - 방송용 111111111, 시험용 00000000 3) 제어부 Control Field 가) I - 프레임 - 정보 Information 프레임, 사용자 데이터 전달 - 피기백킹 기법을 통해 데이터 확인응답 보낼때 사용 *피기배킹 Piggybacking : 데이터 프레임에 확인응답을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 나) S - 프레임 - 감독 Supervisory 프레임 - 오류제어와 흐름제어 다) U - 프레임 - 비번호 Unnumbered 프레임 - 링크설정과 오류회복 4) 정보부 Information Field - 실제 정보가 들어가 있는 부분 5) FCS, Frame check sequence field 프레임 검사 순서 필드 - 프레임내용에 대한 오류검출의 위한 부분 - 주로 CRC (순환 중복 검사 : 다항식 코드사용, 검출률이 가장 높음) 코드 사용 [해설작성자 : com]
23.
데이터 전송 방식 중 비동기 전송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시작(start)비트는 이진수의 "0" 의 값을 가지며, 한 비트의 길이를 갖는다.
나.
정지(stop)비트는 이진수의 "1" 의 값을 가지며, 최소 길이는 보통 정상비트의 1~2배로 규정한다.
다.
수신기는 자신의 클록신호를 사용하여 회선을 샘플링하여 각 비트의 값을 읽어내는 방식이다.
라.
전송할 데이터를 블록으로 구성하며, 송신기와 수신기가 동일한 클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24.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한 에러를 검출하는 기법이 아닌 것은?
가.
Parity Check
나.
Block Sum Check
다.
Slide Window Check
라.
Cyclic Redundancy Check
정답 : [
3
] 정답률 : 67%
25.
TCP/IP 프로토콜의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계층은?
가.
Physical 계층
나.
Application 계층
다.
Session 계층
라.
Transport 계층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 TCP/IP Protocol (4계층)> 4계층 - Application Layer (1) OSI 7 Layer에서 세션계층 , 프레젠테이션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해당한다. (5, 6, 7계층) (2) 응용프로그램들이 네트워크서비스, 메일서비스, 웹서비스 등을 할 수 있도록 표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TCP/IP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구분할 때 사용한다. - 프로토콜 : HTTP, FTP, Telnet, DNS, SMTP 3계층 - Transport Layer (1) OSI 7 Layer에서 전송계층에 해당한다. (2) 네트워크 양단의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서 신뢰성 있는 전송기능을 제공한다. (3) 시스템의 논리주소와 포트를 가지고 있어서 각 상위 계층의 프로세스를 연결해서 통신한다. (4) 정확한 패킷의 전송을 보장하는 TCP와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지 않는 UDP 프로토 콜을 이용한다. (5) 데이터의 정확한 전송보다 빠른 속도의 전송이 필요한 멀티미디어 통신에서 UDP 를 사용하면 TCP보다 유용하다. - 통신 노드 간의 연결을 제어하고, 자료의 송수신을 담당. - 프로토콜 : TCP, UDP 2계층 - Internet Layer (1) OSI 7 Layer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한다. (2) 인터넷 계층의 주요 기능은 상위 트랜스포트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에 IP패킷 헤더를 붙여 IP패킷을 만들고 이를 전송하는 것이다. - 통신 노드 간의 IP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 및 라우팅 기능을 담당. - 프로토콜 : IP, ARP, RARP, ICMP, OSPF 1계층 - Network Access Layer (1) OSI 7 Layer에서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 해당한다. (2) OS의 네트워크 카드와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과 같이 하드웨어적인 요소와 관련되 는 모든 것을 지원하는 계층. (3) 송신측 컴퓨터의 경우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에 물리적인 주소은 MAC 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헤더를 추가하여 프레임을 만들고, 프레임을 하위계층인 물 리 계층으로 전달한다. (4) 수신측 컴퓨터의 경우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추가된 헤더를 제거하여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한다. - CSMA/CD, MAC, LAN, X25, 패킷망, 위성 통신, 다이얼 모뎀 등 전송에 사용. - 프로토콜 : Ehternet(이더넷), Token Ring, PPP [해설작성자 : 닷컴]
26.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에서 링크 구성 방식에 따른 세 가지 모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NRM
나.
ABM
다.
SBM
라.
ARM
정답 : [
3
] 정답률 : 77%
27.
아날로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할 때 사용되는 변조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DM
나.
AM
다.
PM
라.
FM
정답 : [
1
] 정답률 : 73%
28.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LAN 방식인 "10BASE-T"에서 "10"이 가리키는 의미는?
가.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Mbps
나.
케이블의 굵기가 10 밀리미터
다.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의 수가 10대
라.
배선할 수 있는 케이블의 길이가 10미터
정답 : [
1
] 정답률 : 79%
29.
인터넷 상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멀티미디어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과 웹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URI, URL
나.
HTTP, MHS
다.
HTTP, HTML
라.
WWW, HTTP
정답 : [
3
] 정답률 : 72%
30.
회선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송신스테이션과 수신스테이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교환기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나.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화시스템이 이에 해당된다.
다.
가변길이의 메시지 단위로 저장-전달(store and forward)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교환한다.
라.
정보 전송이 완료되면, 호 해제를 통하여 점유되었던 회선을 내어 놓음으로써 다른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31.
다음 산술식을 포스트 오더(Post Order) 운행법으로 옳게 표기한 것은?
가.
X A B C D / + E * + F - =
나.
C / D * E - F + A + B X =
다.
A + B - F + C / D * E X =
라.
= A - F + B + C / D * E X
정답 : [
1
] 정답률 : 75%
32.
스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리스트의 한쪽 끝으로만 자료의 삽입, 삭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자료 구조이다.
나.
스택으로 할당된 기억공간에 가장 마지막으로 삽입된 자료가 기억된 공간을 가리키는 요소를 TOP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