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통줄눈은 상부하중을 밑으로 균등하게 전달하지 못하므로 내력벽에서는 가능 한 통줄눈은 피하는 것이 좋음 [해설작성자 : 박실장]
9.
다음 중 철골부재접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고장력볼트는 상호부재의 마찰력으로 저항한다.
나.
용접은 품질관리가 볼트보다 어렵다.
다.
메탈터치(metal touch)는 기둥에서 각 부재면을 맞대는 접합방식이다.
라.
초음파 탐상법은 사용 방법과 판독이 어려워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초음파 탐상법은 피검사체가 두꿔워도 검사가 가능하여 내부 결함 검사법으로 널리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오공이]
10.
조립식 구조물(P.C)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가.
슬래브의 주재는 크고 무거워서 P.C로 생산이 불가능하다.
나.
접합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접합부는 공장에서 일체식으로 생산한다.
다.
P.C는 현장 콘크리트타설에 비해 결과물의 품질이 우수한 편이다.
라.
P.C는 장비를 사용하므로 공사기기간이 많이 소요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공장에서 타설하므로 부재 품질이 우수한 편이다.
11.
다음 중 주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붕이 아닌 것은?
가.
모임지붕
나.
박공지붕
다.
평지붕
라.
톱날지붕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톱날처럼 생긴 지붕이라서 톱날지붕입니다. 톱날모양 지붕을 흔히 보지는 못하죠 [해설작성자 : 짱짱맨 디고 2실]
톱날지붕은 톱날모양으로 공장에서 주로 쓰이죠 [해설작성자 : 꼭 합격하세요]
12.
연속기초라고도 하며 조적조의 벽기초 또는 콘크리트 연속기초로 사용되는 것은?
가.
줄기초
나.
독립기초
다.
온통기초
라.
캔틸레버푸딩기초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연속기초=줄기초 [해설작성자 : 서울대 건축학과 바나나]
13.
콘크리트에서의 최소피복두께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철근의 부식방지
나.
철근의 연성감소
다.
철근의 내화
라.
철근의 부착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피복두께 : 내구성, 내화성, 부착성, 방청성, 콘크리트의 유동성 확보
14.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을 곡면판의 면내력으로 전달시키는 특성을 가진 구조는?
가.
절판구조
나.
셜(shell)구조
다.
현수구조
라.
다이아그리드구조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스팬이 긴 지붕에 사용하는 구조 곡면판이 지닌 역학적 특성을 응용한 구조 [해설작성자 : 박실장]
15.
철골구조의 플레이트 보에서 웨브의 두께가 품에 비해서 얇을 때, 웨브의 국부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가.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나.
턴버클(Turn buckle)
다.
베니션 블라인드(Venetion blind)
라.
스티프너(Stiffener)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스티프너는 웨브의 국부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ㄱ]
16.
벤딩모멘트나 전단력을 견디게 하기 위해 보 단면을 중앙부의 단면보다 증가시킨 부분은?
가.
헌치(hunch)
나.
주두(capital)
다.
수터럽(stirrup)
라.
후프(hoop)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헌치 - 보·슬래브 단부의 단면을 중앙부의 단면보다 크게 한 부분. 폭,높이를 크게 하여 그 부분의 벤딩모멘트나 전단력을 견디게 하기 위해 단부의 단면을 증가한 부분 주두 - 건물 상부로부터 무게를 전달하는 역할 수터럽 - 전단력 및 비틀림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한 보강철근 후프 -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보나 기둥 따위에 설치하는 축 방향의 철근 [해설작성자 : ratta]
<문제 해설> 석고보드는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 등의 변형이 거의 없기 때문에 시공후 뒤틀림이나 자재 사이의 틈이 거의 벌어지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HAIL Ey]
33.
다음 중 혼합 시멘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고로 시멘트
나.
플라이애시 시멘트
다.
포졸란 시멘트
라.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정답 : [
4
] 정답률 : 53%
34.
석회석이 변화되어 결정화한 것으로 실내장식재 또는 조각재로 사용되는 것은?
가.
대리석
나.
응회암
다.
사문암
라.
안산암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대리석 - 석회암이 변성 작용에 의해서 결정질이 현저하게 된 변성암 [해설작성자 : 더용]
35.
철판에 도금하여 양철판으로 쓰이며 음료수용 금속재료의 방식 피복 재료로도 사용되는 금속은?
가.
니켈
나.
아연
다.
주석
라.
크롬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황동 : 구리 CU + 아연 ZN 청동 : 구리 CU + 주석 SN ( 양철판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양철판- 주석도금 함석판- 아연도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다음 중 콘크리트 보양에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콘크리트 타설 후 완전히 수화가 되도록 살수 또는 침수시켜 충분하게 물을 공급하고 또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나.
콘크리트 비빔 후 습기가 공급되면 재령이 작아지며 강도가 떨어진다.
다.
보양온도가 높을수록 수화가 빠르다.
라.
보양은 초기 재령 때 강도에 큰 영향을 준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콘크리트 비빔 후 습기가 공급되면 재령이 커진다.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직업능력개발원 종신짱]
37.
점토제품에서 SK의 번호는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가?
가.
제품의 크기를 표시한다.
나.
점토의 구성 성분을 표시한다.
다.
제품의 용도를 나타낸다.
라.
소성온도를 나타낸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소성온도를 측정하는 데에는 "제게르추"가 사용된든데 제게르추는 SK0.22~SK42까지의 소성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준우맘]
38.
AE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
가.
동결 융해 작용에 대하여 내구성을 갖는다.
나.
작업성이 좋아진다.
다.
수밀성이 좋아진다.
라.
압축강도가 증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AE제 - 동일 물 시멘트비인 경우 압축강도가 저하된다. - 철근에 대한 부착강도가 감소한다. - 기포가 물의 이동을 도움으로써 블리딩(표면에 물이 뜨는 현상)을 감소시킨다. - 압축강도는 증가 할 수 없다 (기포로 인해 비중이 작아지기 때문? 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