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벨: 두 목재 사이의 접합부에 끼워서 볼트 접합을 보강하기 위한 철물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4변으로 지지되는 슬래브로서 서로 직각되는 두 방향으로 주철근을 배치하는 슬래브는?
가.
1방향 슬래브
나.
2방향 슬래브
다.
데크 플레이트 슬래브
라.
캐피탈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2방향 슬래브는 직사각형 바닥의 장변과 단변에 주철근으로 배근되어 4변이 모두 고정된다. [해설작성자 : 모든 분들이 합격하기를]
9.
다음과 같은 플랫 트러스에서 각각의 부재에 작용하는 응력이 옳지 않은 것은?
가.
상현재 - 압축응력
나.
경사재 - 인장응력
다.
하현재 - 인장응력
라.
수직재 - 인장응력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프랫 트러스 : 경사부재가 인장을 받고 수직부재가 압축을 받는 형태의 트러스 [해설작성자 : 유나파파]
교량형 플랫 트러스로 수직재는 압축응력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능력개발원 종신짱]
10.
트러스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지점의 중심선과 트러스절점의 중심선은 가능한 한 일치시킨다.
나.
항상 인장력을 받는 경사재의 단면이 가장 크다.
다.
트러스의 부재중에는 응력을 거의 받지 않는 경우도 생긴다.
라.
트러스의 부재의 절점은 핀접합으로 본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압축력을 받는 경사재의 단면이 크다! [해설작성자 : 웅다니]
항상 인장력을 받는 경사재의 단면이 가장 큰 것은 아니다. 압축력을 받는 사재가 단면이 큰 경우도 있고 상현재와 하현재 단면이 더 큰 경우도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철근과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철근의 정착 길이를 크게 증가함에 따라 부착력은 비례 증가되지는 않는다.
나.
압축 강도가 큰 콘크리트일수록 부착력은 커진다.
다.
콘크리트의 부착력은 철근의 주장(周長)에 반비례 한다.
라.
철근의 표면 상태와 단면 모양에 따라 부착력이 좌우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 1. 철근의 피복두께가 두껍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크면 부착력이 커진다. 2. 철근의 항복강도가 크면 부착력이 커진다. 3. 리브 및 철근의 표면 상태에 따라 부착력이 달라진다. [해설작성자 : 킹갓갓성님]
12.
철골조의 판보에서 웨브판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보강재는?
가.
스터드
나.
덮개판
다.
끼움판
라.
스티프너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1. 스터드: 중간에 보조적으로 세우는 작은 단면의 수직재로 벽의 축부재를 말한다. 2. 덮개판: 플랜지 플레이트의 아래위의 바깥쪽에 붙이는 강판 또는 트러스의 상현재 등의 단면상에 있는 상판으로 커버 플레이트이다. 3. 끼움판: 상하기둥의 크기가 다를 경우 끼움판과 내력판을 설치한다. 4. 스티프너: 웨브 플레이트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이다. [해설작성자 : 춘천직업전문학교]
13.
라멘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예로는 철근콘크리트구조가 있다.
나.
기둥과 보의 절점이 강접합 되어 있다.
다.
기둥과 보에 휨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라.
내부 벽의 설치가 자유롭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라멘구조의 기둥과 보는 휨모멘트에 저항한다. [해설작성자 : 모든 분들이 합격하기를]
14.
철근콘크리트보의 늑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전단력에 저항하는 철근이다.
나.
중앙부로 갈수록 조밀하게 배치한다.
다.
굽힘철근의 유무에 관계없이 전단력의 분포에 따라 배치한다.
라.
계산상 필요 없을 때라도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보가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주근의 직각방향으로 배근하고 전단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양 단부에 촘촘히 배근한다. 늑근의 간격은 보 춤의 3/4이하 또는 45cm 이하로 한다. 늑근은 파이6이상의 철근을 사용하고 늑근의 끝은 135도 이상의 갈고리를 만든다.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직업능력개발원 종신짱]
15.
창문이나 출입문 등의 문골 위에 걸쳐 대어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받는 수평재는?
가.
창쌤돌
나.
창대돌
다.
문지방돌
라.
인방돌
정답 : [
4
] 정답률 : 75%
16.
다음 중 철계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피난계단에 적당하다.
나.
철계단의 접합은 보통 볼트조임, 용접 등으로 한다.
다.
구조가 복잡하여 형태가 자유롭지 못하다.
라.
공장, 창고 등에 널리 사용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철재 계단은 용접이나 볼트를 사용한 접합으로 자유로운 형태를 제작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모든 분들이 합격하기를]
17.
다음 중 습식 구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목구조
나.
철근콘크리트구조
다.
블록구조
라.
벽돌구조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목구조는 가구식 구조 [해설작성자 : (여자)아이들 사랑해]
18.
철골구조의 특성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고층이나 대규모 건물에 많이 사용된다.
나.
내화적이다.
다.
정밀한 가공을 요한다.
라.
가구식 구조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철골구조의 단점 부식, 열에 약하고 좌굴될 우려가 있다. [해설작성자 : 유나파파]
[보기에 대한 오류 신고 내용] 내화적이다와 내식성이 강하다는 다른말. 철골구조는 내화성이 낮으므로 내화성이 높다라고 해야 옳지 않은 보기가 됩니다. 보기를 내화성이 높다라고 하고 옳지 않은것으로 바꿔야 더 정확한 문제의 보기가 될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직업능력개발원 종신짱]
19.
벽돌구조의 아치(arch)는 부재의 하부에 어떤 힘이 생기지 않도록 의도된 구조인가?
가.
인장력
나.
압축력
다.
수평반력
라.
수직반력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치는 재료를 곡선으로 쌓는 구조로 압축력만 받으며 인장력은 발생되지 않는 구조이다. [해설작성자 : 모든 분들이 합격하기를]
20.
면에 곡률을 주어 경간을 확장하는 구조로서 곡면구조 부재의 축선을 따라 발생하는 응력으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는?
가.
막구조
나.
케이블돔 구조
다.
셀구조
라.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
정답 : [
3
] 정답률 : 68%
2과목 : 건축재료
21.
아스팔트의 품질을 판별하는 항목과 거리가 먼 것은?
가.
신도
나.
침입도
다.
감온비
라.
압축강도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압축강도는 콘크리트에 강도를 측정할 때 쓰입니다. [해설작성자 : 경기인력개발원 화이팅!]
22.
길이 5m인 생나무가 전건상태에서 길이가 4.5m로 되었다면 수축률은 얼마인가?
가.
6%
나.
10%
다.
12%
라.
14%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수축률 = 50/500 x 100 = 10% [해설작성자 : 규규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열경화성 수지는 열을 가하여 모양을 만든 다음에는 다시 열을 가하여도 부드러워지지 않는다. 즉, 한번 성형을 시키면 다시 다른 형태로 변형시킬 수 없는데, 이것은 고분자 화합물이 그물 모양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며, 수지 그대로는 용매에 녹일 수 없다. 열경화성 수지에는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열경화성 수지 [熱硬化性樹脂] (Basic 고교생을 위한 화학 용어사전, 2002. 9. 30., 서인호) [해설작성자 : ddd]
30.
재료의 분류 중 천연재료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목재
나.
대나무
다.
플라스틱재
라.
아스팔트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플라스틱은 합성수지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 학생]
31.
그림에서 슬럼프값을 의미하는 기호는?
가.
X
나.
Y
다.
Z
라.
D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슬럼프콘을 빼내었을 때 무너져 내린 값이 슬럼프값이다. [해설작성자 : 모든 분들이 합격하기를]
32.
다음 중 시공현장에서 절단 가공할 수 없는 유리는?
가.
보통판유리
나.
무늬유리
다.
망입유리
라.
강화유리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강화 유리는 시공현장에서 절단하면 바로 깨지기 때문에 가공할수없다 . [해설작성자 : 멋잇는 천안사람 ]
33.
다음 중 점토 제품의 소성온도 측정에 쓰이는 것은?
가.
샤모트(Chamotte)추
나.
머플(Muffle)추
다.
호프만(Hoffman)추
라.
제게르(Seger)추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제게르(seger) 추 - 내화물로 만든 원뿔, 어느 내화도에 이르게 되면 추체의 끝이 연화되어 구부러지고, 그 이상의 것은 본래의 상태 그대로 서있으므로, 구부러진 것의 번호를 보고 가마(로) 안의 온도를 판정한다. [출처 삼원북스, 나합격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해설작성자 : 테오]
34.
멜라민(Melamine)수지풀은 어떤 재료의 접착제로 적당한가?
가.
목재
나.
금속
다.
고무
라.
유리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금속 고무 유리 _에폭시 [해설작성자 : 진지닝]
35.
재료를 잡아 당겼을 때 길게 늘어나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강성
나.
연성
다.
강도
라.
전성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강도:외부의 하중에 저항하는 능력,연성:재료가 인장력을 받아 파괴되기 전까지 늘어나는 성질,전성:재료가 응력에 의해 넓게 펴지는 성질 탄성:어떤 물체에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이 생긴다. 이때 외력을 제거하면 원형으로 돌아가는 성질,소성:탄성의 반대개념.형태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여도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 인성:변형이 일어나도 파괴되지 않고 견디는 성질,취성:작은 변형에도 파괴되는것.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직업능력개발원 종신짱]
36.
유리 원료에 납을 섞어 유리에 산화납 성분을 포함시킨 유리의 특징은?
가.
X선 차단성이 크다.
나.
태양광선 중 열선을 흡수한다.
다.
자외선을 차단시키는 효과가 크다.
라.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질이 크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 X선 차단유리: 유리원료에 납을 섞어 유리에 산화납 성분을 포함시킨 유리로 병원의 X선 차단용으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춘천직업전문학교]
<문제 해설> 회반죽이나 시멘트는 알칼리성으로 알루미늄을 부식시키고, 서로 다른 금속을 접합하면 부식이 빨라진다. [해설작성자 : 유나파파]
39.
다음 각 석재의 용도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트래버틴 - 특수실내장식재
나.
응회암 - 구조재
다.
점판암 - 지붕재
라.
대리석 - 장식재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응회암 : 마그마가 쌓여 응고된 것으로 다공질이고 내화도가 높은 석재. 경량골재,내화재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직업능력개발원 종신짱]
40.
시멘트가 공기 중의 습기를 받아 천천히 수화 반응을 일으켜 작은 알갱이 모양으로 굳어졌다가, 이것이 계속 진행되면 주변의 시멘트와 달라붙어 결국에는 큰 덩어리로 굳어지는 현상은?
가.
응결
나.
소성
다.
경화
라.
풍화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시멘트의 풍화 - 시멘트가 수분을 흡수하여 수화반응을 한 결과 - 수산화칼슘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작용하여 탄산칼슘을 생기게 하는 작용 [해설작성자 : 수연 합격길 걷자]
풍화란, 시멘트가 공기 중의 습기를 받아 천천히 수화반응을 일으켜 작은 알갱이 모양으로 굳어졌다가 이것이 계속 진행되면 주변의 시멘트와 달라붙어, 결국에는 큰 덩어리로 굳어지는 현상이다. 시멘트의 단위 용적 무게는 채우는 q장법에 따라 달라지나, 편의상 1,500kg/m3으로 본다. [해설작성자 : ddd]
41.
건축제도에서 선긋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한번 그은 선은 중복해서 긋지 않는다.
나.
굵은 선의 굵기는 0.8mm 정도면 적당하다.
다.
시작부터 끝까지 일정한 힘을 주어 일정한 속도로 긋는다.
라.
용도에 따른 선의 굵기는 축척과 도면의 크기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선의 굵기는 출력용지 크기에 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모든 분들이 합격하기를]
42.
아파트 단위주거의 단면형식에 따른 분류에 속하는 것은?
가.
집중형
나.
판상형
다.
복층형
라.
계단실형
정답 : [
3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집중형,판상형,계단실형은 아파트 단위주거의 평면형식에 따른 분류입니다. 복층형은 말그대로 2개의 층을 하나의 세대가 사용하는 단면형식에 따른 분류입니다. 단면형식은 건물을 세로로 잘라 보았을때 보이는 것이고 평면형식은 건물을 가로로 잘랐을때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해설작성자 : 바나나맛우유]
판상형은은 아파트형식 중 외관형식의 분류입니다.
43.
주거공간을 주행동에 의해 개인공간, 사회공간, 노동공간, 보건·위생공간 등으로 구분할 경우, 다음 중 사회공간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거실
나.
서재
다.
식당
라.
응접실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건축에서 서재는 개인공간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직업능력개발원 종신짱]
44.
압력탱크식 급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급수 공급 압력이 일정하다.
나.
정전시에도 급수가 가능하다.
다.
단수시에 일정량의 급수가 가능하다.
라.
위생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고가탱크방식 : 공급압력이 일정하고 정전 시 급수가능 수도직결방식 : 수도와 바로 연결하여 위생적이다 [해설작성자 : 모든 분들이 합격하기를]
45.
액화석유가스(LP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공기보다 가볍다.
나.
용기(bomb)에 넣을 수 있다.
다.
가스 절단 등 공업용으로도 사용된다.
라.
프로판가스(propane gas)라고도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밀도 LPG>공기>LNG 그래서 LPG가 유출되면 바닥을 쓸어서 날려버리고 LNG는 그냥 환기를 시키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녹짜장]
46.
지각적으로는 구조적 높이감을 주며 심리적으로는 상승감, 존엄감의 느낌을 주는 선의 종류는?
가.
사선
나.
곡선
다.
수직선
라.
수평선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1. 사선: 운동성, 약동성, 불안정, 반항의 동적인 느낌을 줄 수 있다. 2. 곡선: 부드럽고 율동적이며 여성적 느낌을 줄 수 있다. 3. 수직선: 고결, 희망, 상승, 존엄, 긴장감을 표현할 수 있다. 4. 수평선: 고요, 안정, 평화, 영원, 정지된 느낌을 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춘천직업전문학교]
47.
수·변전실의 위치 선정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외부로부터의 수전이 편리한 위치로 한다.
나.
용량의 증설에 대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장소로 한다.
다.
사용부하의 중심에서 멀고, 수전 및 배전 거리가 긴 곳으로 한다.
라.
화재, 폭발의 우려가 있는 위험물 제조소나 저장소 부근은 피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수.변전실의 위치는 사용 부하의 중심에서 가까운 곳이 좋다 [해설작성자 : 모든 분들이 합격하기를]
48.
흡수식 냉동기의 구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증발기
나.
재생기
다.
압축기
라.
응축기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흡수식 냉동기 업무용 빌딩, 주상복합건물, 체육센터, 아파트등 사용자가 지역 난방용 온수를 이용하여 흡수식 냉동기를 가동하는 새로운 내방방식으로 실외기가 필요없고 전기와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안전하고 쾌적한 친환경 시스템이다. 증발기, 재생기, 응축기 등이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유나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