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버트레스 : 측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외벽에 돌출하여 설치하는 보강용의 벽 타이바(Tie bar) : 콘크리트 포장판의 줄눈에 있어서 하중을 전달하고 판을 동일한 높이로 유지하기 위하여 세로 줄눈을 가로로 잘라 콘크리트 판에 매입한 봉강
버트레스는 버팀벽으로 횡력과 관련된다. [해설작성자 : 푸르르.lhg]
2.
보강블록구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내력벽의 양이 많을수록 횡력에 대항하는 힘이 커진다.
나.
철근은 굵은 것을 조금 넣는 것보다 가는 것을 많이 넣는 것이 좋다.
다.
철근의 정착이음은 기초보와 테두리보에 둔다.
라.
내력벽의 벽량은 최소 20 cm/m2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내력벽의 벽량은 최소 15cm/m2 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도스산]
3.
처음 한 켜는 마구리쌓기, 다음 한 켜는 길이쌓기를 교대로 쌓는 것으로, 통줄눈이 생기지 않으며 내력벽을 만들 때 많이 이용되는 벽돌쌓기법은?
가.
미국식 쌓기
나.
프랑스식 쌓기
다.
영국식 쌓기
라.
영롱 쌓기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마구리 쌓기와 길이 쌓기를 교대로 쌓고 벽의 모서리나 끝네는 이오 토막이나 반절을 쓰는 방법, 가장 튼튼하며 내력벽쌓기에 이용. [해설작성자 : 용우]
마구리가 먼저가 아니라 처음 한켜는 길이 쌓기 마구리쌓기 교대로 쌓고 끝단에 이오토막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새하얀여름]
미국식 쌓기 : 표면에 치장벽돌로 5켜 정도를 길이쌓기로 하고 뒷면을 영국식 쌓기로 한다. 프랑스식 쌓기 : 한 켜에 길이쌓기와 마구리쌓기가 번갈아 나오게 하는 쌓기법 영국식 쌓기 : 한 켜는 마구리쌓기, 다음 켜는 길이쌓기로 번갈아 쌓아 올린 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막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넓은 공간을 덮을 수 있다.
나.
힘의 흐름이 불명확하여 구조해석이 난해하다.
다.
막재에는 항시 압축응력이 작용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라.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는 파손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막구조 인장 : 전달력에만 견디는 막재료를 쓰는 것으로 텐트 구조. 서스펜션 막구조. 공기막 구조가 주이다(상암월드컵경기장) 큰 공간에 대해 경제적인 구조로 만들수 있다. 재료의 자중이 작고 토명도가 높아 대공간 지붕 구조에 유리하다. 임시적인 대공간이나 경기장의 지붕구조로 많이 사용된다.
5.
구조물의 횡력보강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재는?
가.
기둥
나.
슬래브
다.
보
라.
가새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가새 : 토대, 기둥, 도리 등의 뼈대가 수평력에 대해 안전하도록 대각선으로 빗대어 대는 부재 1.가새는 45도에 가까울수록 유리하다 2.기둥이나 보의 중간에 가새의 끝단을 대지말것 3.기둥이나 보와 대칭이 되도록 한다. 4.X,V 자형으로 가세를 배치한다. 5.윗부분부다는 아랫부분에 가새를 많이 배치한다. 6.가새는 내력상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하여 따내지 않는다.
6.
조적조의 내벽력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몇 m2 이하로 해야 하는가?
가.
80m2
나.
90m2
다.
100m2
라.
120m2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조적조 구조제한 1.벽돌조 벽체의 두께 : 벽 높이의 1/20 (블록벽은 1/16) 2.최상층의 내력벽의 높이 : 4m이하 3.내력벽의 최대길이 : 10m이하 4.내력벽을 둘러쌓인 부분의 최대바닥 면적 : 80m2이하
[추가 해설] 조적식 구조에서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바닥면적은 80m2를 넘을 수 없다. [해설작성자 : sexy jiwon]
<문제 해설> 케이블구조 : 구조물의 주요부분을 메달아서 인장력만 받는 구조로 현수구조와 시장구조로 대별된다. 현수교 : 케이블이 두개 이상의 주탑을 연결하고 그 케이블에서 보조케이블을 내려 주조물을 매단다. 사장교 : 주탑의 케이블에 바로 구조물을 매다는 구조
9.
각 건축구조에 관한 기술로 옳은 것은?
가.
철골구조는 공사비가 싸고 내화적이다.
나.
목구조는 친화감이 있으나 부패되기 쉽다.
다.
철근콘크리트구조는 건식구조로 동절기 공사가 용이하다.
라.
돌구조는 횡력과 진동에 강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목구조는 공기단축/시공단축의 장점을 지니며 내구력이 부족/부패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보습학원]
건축구조별 장/단점 1.목구조, 철골구조 - 공사기간이 짧다. - 한랭지 시공이 용이하다. - 조립.해체용이, 재료 재사용이 가능하다. - 내진성(횡력 = 수평력)에 강하다. - 부식, 부패발생으로 내구성문제 - 유지관리비용소요 - 가늘고 긴 부재 사용 - 좌굴우려 - 철골 - 긴 경간(Span)이 큰 구조가능 - 비내화적
2.벽돌구조, 블록구조, 돌구조 - 비내진적(횡력에 약하다) - 균열의 발생이 많다. - 재료의 강도가 작아서 벽체의 두께가 두껍다. - 재료의 공간이 많다. - 습기가 잘 찬다.
3. 철근콘크리트, 철골철근콘크리트 - 내구적, 내진적, 내화적 - 유지관리비 저렴 - 수중이나 고층구조 가능 - 자체 중량이 크다 - 조립. 해체 곤란 - 재료 재사용 곤란 - 구조설계가 복잡
10.
목구조에서 기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마루, 지붕 등의 하중을 토대에 전달하는 수직 구조재이다.
나.
통재기둥은 2층 이상의 기둥 전체를 하나의 단일재로 사용하는 기둥이다.
다.
평기둥은 각 층별로 각 층의 높이에 맞게 배치되는 기둥이다.
라.
샛기둥은 본기둥 사이에 세워 벽체를 이루는 기둥으로, 상부의 하중을 대부분 받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통재기둥 - 2층 이상의 기둥전체를 하나의 단일재료 사용하는 기둥 평기둥 - 각 층별로 해당층의 높이에 맞게 배치 되는 기둥 샛기둥 - 기둥 사이가 클 때 중간에 보조적으로 세우는 작은 단면의 수직재, 벽의 측부재의 하나, 벽면에서 걸리는 힘을 주구조체에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11.
하중전달과 지지방법에 따른 막구조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골조막구조
나.
현수막구조
다.
공기지지구조
라.
절판막구조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1.골조막구조 - 막의 무게를 골조가 지지하는 구조 2.현수막구조 - 막의 무게를 케이블로 당겨지지 하는 구조 3.공기막구조 - 막의 형태를 공기압으로 유지시키는 구조 4.하이브리드 막구조 - 골조, 현수, 공기막구조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구조
1.매트기초 - 바닥전체를 기초로 만든 구조로 침하에 유리하다. 2.파일기초 - 지반이 약할 때 경암반까지 지지하기위해 박아넣는 파일. 3.기초의 두께는 휨모멘트와 압축력 등에 의해 결정된다. 4.RCD 파일 - Reverse circulation drill method로 현장타설 말뚝에 속한다.
13.
아치벽돌을 사다리꼴 모양으로 특별히 주문 제작하여 쓴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본아치
나.
막만든아치
다.
거친아치
라.
층두리아치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층두리아치 - 아치 너비가 넓을 때 층을 두어 겹쳐 쌓는 것 거친아치 - 보통벽돌로 줄눈을 쇄기 모양으로 하여 쌓는것 막만든아치 - 보통벽돌을 아치 모양으로 다듬어서 쌓은 것 본아치 - 공장에서 아치용 사다리꼴 모양의 벽돌을 주문제작하여 쌓은 것
14.
다음 건축구조의 분류 중 일체식 구조에 해당하는 것은?
가.
조적구조
나.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다.
조립식구조
라.
목구조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조적구조 - 벽돌, 블록, 돌 등 주립식구조 - 부재를 공장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구조 가구식구조 - 목재 철골구조등 일체식구조 - 철근콘크리트, 철골철근콘크이트 등
15.
돌쌓기의 1켜의 높이는 모두 동일한 것을 쓰고 수평줄눈이 일직선으로 통하게 쌓는 돌쌓기 방식은?
가.
바른층쌓기
나.
허튼층쌓기
다.
층지어쌓기
라.
허튼쌓기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바른층쌓기 : 수평,수직의 줄눈이 통하게 하는 쌓기법 허튼층쌓기 : 일부분에서 수평, 수직 줄눈이 통함 허튼쌓기 : 줄눈이 통하지 않음 층지어쌓기 : 엉켜쌓인 수 켜가 층아 아래(혹은 위)의 엉킨 수 켜층과 층을 보이도록 쌓인 것
16.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을 받치는 가설재를 무엇이라 하는가?
가.
턴버클
나.
동바리
다.
세퍼레이터
라.
스페이서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턴버클 - 지지막대나 지지와이어ㅣ로프 등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기구, 철골 구조나 목조의 현장 조립 등에서 다시 세우기나 철근 가새등에 사용한다. 동바리 - 거푸집의 일부로 정해진 형상과 치수의 콘크리이트가 되도록 거푸집판을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한 지주 세퍼레이터 -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철근간의 간격이나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받침 또는 부품 스페이서 - 처근 콘크리트의 기둥. 보 등의 철근에 대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받침. 모르타르제 풀라스틱제의 것 등이 있다.
17.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주근 주위를 수평으로 둘러 감은 철근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띠철근
나.
배력근
다.
수축철근
라.
온도철근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철근콘리트 기둥의 띠철근(= 대근) 1.전단력에 대한저항, 주근의 위치 고정, 주근의 좌굴(휘어 파괴되는 현장)등을 방지한다.2.단면이 클 경우 띠철근의 2~3단 마다 보조철근을 배치한다. 3.지름 6mm 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간격은 주근 지름의 16배이하, 띠철근지름의 48배이하, 기둥의 치소치수이하, 30cm 이하 중 가장 작은 값을 택한다. 4.기둥 상하단으로 부터 기둥최대나비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아펭 설명한 값을 1/2로 한다. 5.띠철근의 역할- 전단력에 대한 저항, 인장력에 대한 저항, 주근의 위치고정, 주근의 좌굴방지
18.
건축물의 보의 간사이에 작은 보(Beam)를 짝수로 배치할 때의 주된 장점은?
가.
미관이 뛰어나다.
나.
큰 보의 중앙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아진다.
다.
층고를 낮출 수 있다.
라.
공사하기가 편리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큰보의 간사이에 작은보를 짝수로 배치하면 큰 보의 중앙부에 걸리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다.
19.
철근콘크리트기둥에서 띠철근의 수직간격기준으로 틀린 것은?
가.
기둥 단면의 최소 치수 이하
나.
종방향 철근지름의 16 배 이하
다.
띠철근 지름의 48 배 이하
라.
기둥 높이의 0.1 배 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띠철근 (=대근)의 수직간격 - 지름 6mm 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간격은 주근 지금의 16배 이하. 띠철근지름의 48배 이하, 기둥의 최소치수 이하. 30cm이하 중 가장 작은값을 택한다.
20.
초고층 건물의 구조시스템 중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가.
내력벽 시스템
나.
아웃리거 시스템
다.
튜브 시스템
라.
가새 시스템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내력벽시스템은 중력하중의 거의 전체를 지지하고 횡력에 대한 저항도 전단벽과 같이 거동하는 벽체를 갖는 시스템 [해설작성자 : 도스산]
-내력벽 구조는 자중이 무거워 초고층 건물에 적용하기 힘들다. -아웃리거(Outrigger)를 설치하거나 가새 등을 이용한 철골구조를 사용하여 초고층 골조 강성을 증가시킨다.
<문제 해설> - 합판: 얇은 목재 판(단판)을 1장마다 섬유 방향과 직교되게 홀수 겹으로 겹쳐 접착제로 붙여댄 것. 판재에 비해 균질하고, 목재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으며 강도가 큼. 단판을 서로 직교로 붙인 구조로 되어 있어 방향에 따른 강도차가 적음. 곡면 가공 가능. 아름다운 무늬를 얻을 수 있음. 단판은 얇아서 건조가 빠르고, 뒤틀림이 없으므로 팽창, 수축을 방지할 수 있음.
- 파티클보드(칩보드): 목재의 작은 조각을 유기질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가열,압축해 만든 파재. 비중 0.4 이상. 강도에 방향성이 없고, 큰 면적의 판을 만들 수 있음. 비교적 자유롭게 두께 선택 가능. 방충, 방부성 큼. 흡음성과 열의 차단성 좋음. 강도가 커서 구조용을 사용함. 표면이 평활하고 경도가 큼.
- 섬유판: 식물성 재료를 원료로 하여 펄프로 만든 후 접착제, 방부제 등을 첨가하여 제판한 것. 연질/중질/경질 섬유판. [해설작성자 : 딤섬러버]
24.
목재를 건조하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가.
중량의 경감
나.
강도 및 내구성 증진
다.
도장 및 약제주입 방지
라.
부패균류의 발생 방지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도장 및 약제투입 촉진
25.
시멘트 혼화제인 AE제를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가.
동결 융해 작용에 대하여 내구성을 가지기 위해
나.
압축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에 색깔을 내기 위해
라.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방수성능을 위해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AE제: 콘크리트용 표면활성제로 콘크리트 속에 독립된 미세한 기포를 생성, 골고루 분포시킨다. 기포가 시멘트 및 골재의 미립자를 떠오르게 하거나 물의 이동을 도움으로써 블리딩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가지게 한다. [출처: 교재]
- 동결 융해 작용: 동결융해란 콘크리트가 저온과 고온의 환경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서 동결과 융해를 반복하여 서서히 열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콘크리트 안의 수분이 얼었다가 녹았다가 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생긴다. [출처: 위키백과] [해설작성자 : 딤섬러버]
26.
열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질량 1g의 물체의 온도를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을 그 물체의 비열이라 한다.
나.
열전도율의 단위로는 W/m·K이 사용된다.
다.
열용량이란 물체에 열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말한다.
라.
금속재료와 같이 열에 의해서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경계점이 뚜렷한 것을 연화점이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금속 재료와 같이 열에 의해서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경계점이 뚜렷한 것을 용융점이라고 하고, 아스팔트나 유리와 같이 경계점이 불분명한 것을 연화점 이라고 한다.
[추가 해설]
연화점(軟化點): 유리, 내화물, 플라스틱, 아스팔트, 타르 따위의 고형(固形) 물질이 열에 의하여 변형되어 연화(단단한 것이 부드럽고 무르게 됨)를 일으키기 시작하는 온도. [해설작성자 : 딤섬러버]
27.
보통재료에서는 축방향에 하중을 가할 경우 그 방향과 수직인 횡방향에도 변형이 생기는데, 횡방향 변형도와 축방향 변형도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가.
탄성계수비
나.
경도비
다.
푸아송비
라.
강성비
정답 : [
3
] 정답률 : 77%
28.
건축물에서 방수, 방습, 차음, 단열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는?
가.
구조재료
나.
마감재료
다.
차단재료
라.
방화·내화재료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구조재료: 건축물의 골조인 기둥, 보, 벽체 등 내력부를 구성하는 재료 (목재, 석재, 콘크리트, 철강 등)
- 마감재료: 내력부 이외의 칸막이, 장식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내외장 재료이다. (타일, 도벽, 유리, 금속판, 보드류, 도료 등)
- 차단재료: 방수, 방습, 차음, 단열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 (아스팔트, 실링재, 페어글라스, 글라스울 등)
- 방화·내화재료: 화재의 연소방지 및 내화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재료 (방화문, PC부재, 석면 시멘트판, 규산칼슘판, 암면 등) [해설작성자 : 딤섬러버]
29.
목재의 강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섬유포화점 이하의 상태에서는 건조하면 함수율이 낮아지고 강도가 커진다.
나.
옹이는 강도를 감소시킨다.
다.
일반적으로 비중이 클수록 강도가 크다.
라.
섬유포화점 이상의 상태에서는 함수율이 높을수록 강도가 작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섬유포화도 : 목재 세포가 최대 한도의 수분을 흡착한 상태. 함수율이 약 30%의 상태이다.
목재의 세기는 섬유 포화점 이상의 함수율에서는 변화는 없지만 그 이하가 되면 함수율이 작을수록 세기는 증대한다. [해설작성자 : 양관모]
30.
콘크리트 타설 후 비중이 무거운 시멘트와 골재 등이 침하되면서 물이 분리·상승하여 미세한 부유물질과 콘크리트 표면으로 떠오르는 현상은?
가.
레이턴스(laitance)
나.
초기 균열
다.
블리딩(bleeding)
라.
크리프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블리딩 - 굳지않는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에 있어서 윗면에 물이 스며나오는 현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레이턴스 - 콘크리트 다지기에서 떠오르는 미세한 불순물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각종 점토제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테라코타는 공동(空胴)의 대형 점토제품으로 주로 장식용으로 사용된다.
나.
모자이크 타일은 일반적으로 자기질이다.
다.
토관은 토기질의 저급점토를 원료로 하여 건조 소성시킨 제품으로 주로 환기통, 연통 등에 사용된다.
라.
포도벽돌은 벽돌에 오지물을 칠해, 소성한 벽돌로서, 건물의 내외장 또는 장식물의 치장에 쓰인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포도벽돌 - 도로포장용, 건물옥상 포장용으로 쓰이는 두꺼운 벽돌제품 오지벽돌 - 벽돌의 길이나 마구리면에 오지물을 칠해 구운벽돌로 주로 건물에 외벽에 치장을 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32.
다음 합금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가.
황동 = 구리+아연
나.
청동 = 구리+납
다.
포금 = 구리+주석+아연+납
라.
듀랄루민 = 알루미늄+구리+마그네슘+망간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청동 = 구리 + 주석 [해설작성자 : 나나]
1. 황동 = 구리+아연 2. 청동 = 구리와 주석과의 합금으로 황동에 비해 강도 및 경도가 크며 내식성과 주조성이 좋다. 3. 청동에 속하는 포금은 약간의 아연, 납을 포함한 구리 합금이다. 4. 청동의 포면은 특유의 아름다운 청록색으로 되어 있어 장식철물, 공예재료 등에 많이 쓰인다.
33.
미장재료 중 석고플라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알칼리성이므로 유성페인트 마감을 할 수 있다.
나.
수화하여 굳어지므로 내부까지 거의 동일한 경도가 된다.
다.
방화성이 크다.
라.
원칙적으로 해초 또는 풀을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유성페이트는 알칼리성에 약하다.
석고는 알칼리성이고 유성페인트는 알칼리성에 약하기 때문에 유성페인트 마감을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1번이 '틀린 것'에 대한 정답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유진쓰]
2. 열경화성 수지: 가열하면 "경화"되고 일단 경화되면 아무리 가열하여도 연화되거나 용매에 녹지 않는 합성수지의 성질을 가짐. 열경화점이 높고 열가소성 수지보다 열과 화학약품에 비교적 안정적. 내열성, 내용제성,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전기 절연성이 좋음. 재료를 형틀에 넣어 가열한 후 압력을 가하는 "압축성형법"을 사용. - 종류: 페놀수지(베이클라이트),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실리콘수지, 에폭시수지 [해설작성자 : 딤섬러버]
35.
유리와 같이 어떤 힘에 대한 작은 변형으로도 파괴되는 재료의 성질을 나타내는 용어는?
가.
연성
나.
전성
다.
취성
라.
탄성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연성(延性): 재료에 인장하중을 받으면 파괴할 때까지 큰 신장을 나타내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종류의 재료를 연성이 크다고 한다. 물질이 탄성 한계 이상의 힘을 받아도 부서지지 아니하고 가늘고 길게 늘어나는 성질. (금속은 백금의 연성이 가장 크고, 금ㆍ은ㆍ알루미늄...) - 전성(展性): 두드리거나 압착하면 얇게 펴지는 금속의 성질. (금, 은, 구리, 납 등) - 취성(脆性): 작은 변형만으로도 파괴되는 성질. 외부에서 힘을 받았을 때 물체가 소성 변형을 거의 보이지 아니하고 파괴되는 현상 (주철, 유리 등) - 탄성(彈性): 재료에 외력이 작용하면 순간적으로 변형이 생기지만 외력을 제거하면 순간적으로 원형으로 회복하는 성질을 말함. - 소성(塑性): 재료에 외력이 어느 한도에 도달하면 외력의 증가 없이 변형만 증대하는 성질. 외력을 제거해도 원형으로 회복되지 않음. [해설작성자 : 딤섬러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