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사각형인 기둥의 경우 최소 4개 이상, 원형이나 다각형인 경우에는 최소 6개 이상의 주근을 중심축에 대칭으로 배근한다. [해설작성자 : 갓생살자]
4.
철골공사 시 바닥슬래브를 타설하기 전에 철골보위에 설치하여 바닥판 등으로 사용하는 절곡된 얇은 판의 부재는?
가.
윙플레이트
나.
데크플레이트
다.
베이스플레이트
라.
메탈라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데크 플레이트 : 두께 1~2mm의 강판을 구부려 만든 데크 플레이트는 거푸집대신 바닥판으로 깔고 거기에 철근으로 보강하여 사용. 바닥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시공과 공기가 간단하여 고층건물에 많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ssong_ig]
2) 윙플레이트(wing plate):철골구조의 주각에 설치하여 기둥의 하중을 분산시켜 베이스플레이트에 전달하는 부재이다. 3) 베이스플레이트(base plate):기둥에서 오는 하중을 기초에 골구로 전달하는 철판으로 단면폭이 높이의 3배 미만인 부재를 말한다. 4) 메탈라스(metal lath):얇은 철판에 구멍을 뚫어 그물코처럼 잡아당겨 미장바름의 바탕에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백수다]
5.
다음 그림에서 철근의 피복두께는?
가.
A
나.
B
다.
C
라.
D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두께값이 없어요
[오류신고 반론] 두께값을 묻는 문제가 아닌 피복두께가 어느부분을 나타내는것인지 묻고있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철근의 최외단부터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거리가 피복두께이다.
6.
그림에서 화살표가 지시하는 부재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가.
평고대
나.
처마돌림
다.
당골막이널
라.
박공널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평고대 : 처마끝의 서까래와 지붕널이 썩는 것을 막고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24mm, 너비 120mm의 부재를 처마돌림면에서 1cm 정도 내어 서까래 위에 못을 박아 댄다. 2) 처마돌림 : 처마끝의 보강과 의장적으로 처마 끝에 내미는 것으로 처마돌림은 두께 24mm, 너비 100mm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3) 당골막이널 : 서까래를 놓으면 도리 위에 서까래와 서까래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데 이 사이에 대는 널이다. 4) 박공널 : 박공지붕, 합각지붕의 측면에 서까래를 내밀고 박공처마를 만든다. [해설작성자 : 백수다]
재료에 열을 계속 가하면 열분해를 일으켜 증발가스가 발생하며 불에 닿으면 쉽게 발화하게 되는데 이때의 온도
다.
금속재료와 같이 열에 의하여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경계점의 온도
라.
아스팔트나 유리와 같이 금속이 아닌 물질이 열에 의하여 액체로 변하는 온도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오류 신고 내용] 발화점 : 열을 계속 가하면 불에 닿지 않고도 자연 발화 하는 온도 착화점 : 열을 계속 가하면 가연성 가스의 발생이 많아지고, 불에 닿으면 쉽게 발화하는 온도 [해설작성자 : 한요한]
2번정답 [해설작성자 : 2번정답]
[오류 신고 반론] 착화점 : 재료에 열을 계속 가하면 불에 닿지 않고도 자연 발화하게 되는 온도 인화점 : 재료에 열을 계속 가하면 열분해를 일으켜 증발가스가 발생하며 불에 닿으면 쉽게 발화 하는 온도 용융점(녹는점) : 금속재료와 같이 열에 의하여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경계점의 온도 연화점 : 아스팔트나 유리와 같이 금속이 아닌 물질이 열에 의하여 액체로 변하는 온도
답은 1번 [해설작성자 : ewater]
착화점이랑 발화점 같은 말임 답은 1번 [해설작성자 : 경기인력개발원]
[추가 오류 신고] 1번 재료에 열을 계속 가하면 불에 닿지 않고도 자연 발화하게 되는 온도 = 자연발화점 2번 재료에 열을 계속 가하면 열분해를 일으켜 증발가스가 발생하며 불에 닿으면 쉽게 발화하게 되는데 이때의 온도 = 착화점,발화점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성안당 15-14쪽 41 발취]
[오류신고 반론] 착화점이란 가연물을 가열할 때 점화원 없이 가열된 열만 가지고 스스로 연소가 시작되는 최저온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1번이 정답이죠 [해설작성자 : 인터넷찾아봄]
[오류신고 반론] 착화점 - 스스로 불이 붙게되는 온도 인화점 - 인공적으로 불이 붙게되는 온도 발화점 - 불이 붙게 되는 온도 쉬운 이해를 위해 불이 붙는다는 말로 표현 했습니다. 상황에따라 2번도 답이 되지만 아닌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좋은 문제는 아니네요. [해설작성자 : 뇌지컬형 불편러]
[오류신고 반론] 나합격 문제집의 해설을 찾아보니 착화점과 발화점을 같은 것으로 보고 이를 '평균 450도에서는 화원 없이도 연소를 시작한다(자연발화)'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유진쓰]
<문제 해설> 글자체는 수직또는 15° 경사의 고딕체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혜성이]
52.
증기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예열시간이 온수난방에 비해 짧다.
나.
방열면적을 온수난방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다.
난방 부하의 변동에 따른 방열량 조절이 용이하다.
라.
증발 잠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열의 운반 능력이 크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증기난방의 장단점. 장점. 1. 표면적이 온수난방에 비해 적고, 배관도 가늘어 공사비가 적게 든다. 2. 배관 안이 비어있어 증기의 이동속도가 빠르므로 쉽게 더워진다. 3. 방열기 및 배관 안에는 물이 거의 없으므로 동결에 의한 파손 위험이 없다. 4. 사무실, 학교 공장 등과 같은 큰 건물에 적합하다.
단점. 1. 중앙에서 용량조절이 어렵고 실내가 가열되기 쉬우며, 열용량이 적으므로 증기가 정지되면 실내가 곧 냉각된다. 2. 극장, 영화관, 강당 등과 같이 천장의 높이가 높은 건물은 적합하지 않다. 3. 배관의 기울기가 적당하지 못하면 워터해머를 일으켜 시끄러운 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다.
도면에 척도를 기입해야 하는데 그림의 형태가 치수에 비례하지 않을 경우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
가.
US
나.
DS
다.
NS
라.
KS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NS : none scale [해설작성자 : 오]
55.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급수방식은?
가.
수도직결방식
나.
압력수조방식
다.
펌프직송방식
라.
고가수조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수도직결방식-수도본관에서 수도관을 이끌어 직접 급수하는 방식 압력수조방식-압력탱크를 설치하고 에어컴프레서로 공기를 공급해 그 압력으로 급수하는 방식 펌프직송방식-수도 본관에서 저수 탱크(저수조)에 물을 받은 후 급수펌프만으로 건물내의 사용개소에 급수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DAN]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은 2번입니다. 왜냐하면 문제에서 '일정량'이라고 하였고 급수압력이 일정하다고 하였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낼 시험 ㅎ]
[오류신고 반론] 고가수조방식은 상층부 수압부족,하층부는 수압과다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
[오류신고 반론] 압력 수조 방식은 압력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아이들 사랑해]
[오류신고 반론] 고가수조방식은 건물상부고가수조에서 수압차로급수하므로 압력이 일정하고, 압력탱크식은 지하에 설치된 압력탱크의 공기압으로 급수하므로 압력이 일정하지 않음 돈시아171페이지 참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건축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선은?
가.
파선
나.
굵은 실선
다.
가는 실선
라.
일점 쇄선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파선(deshed line) - 연속된 점선 도형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그리는 선과 같다. [해설작성자 : 뇌지컬 브로]
57.
과전류가 통과하면 가열되어 끊어지는 용융회로개방형의 가용성 부분이 있는 과전류보호 장치는?
가.
퓨즈
나.
캐비닛
다.
배전반
라.
분전반
정답 : [
1
] 정답률 : 83%
58.
주거공간은 주행동에 의해 개인공간, 사회공간, 가사노동공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개인공간에 속하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