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지붕 일부에 박공지붕을 같이 한 것으로, 화려하고 격식이 높으며 대규모 건물에 적합한 한식 지붕구조는?
가.
외쪽지붕
나.
솟을지붕
다.
합각지붕
라.
방형지붕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외쪽지붕 - 한 방향으로 경사된 지붕, 부성지붕이라고도 하며 물매 지붕 중 가장 단순한 형태 솟을지붕 - 지붕의 용마루에 한층 높게설치한 작은 지붕. 환기, 해광, 연기 배출은 위한 것 합각지붕 - 상부를 박공으로 하고, 하부의 지붕을 사방으로 이어내린 지붕 방형지붕 - 지붕의 평면이 정방향이며, 사방으로 지붕을 이어 내리고 4개의 ㅅ자보가 중앙의 한 점에 만나도록 되어 있는 것
듀벨이음(dubel joint) 목재의 접합방법의 하나로 듀벨이라고 불리우는 목재의 짧고 둥근 막대기를 부재에 열려진 구멍에 접착제를 발라 끼워 넣는 것. 비슷한 접합방법인 장부 가공에 비하면,강도면에서는 약간 열등하지만 가공이 용이하므로 양산가구 등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구멍을 뚫을때는 보링머신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낯두꺼비]
<문제 해설> 복합기초 : 2개의 기둥을 1개의 기초판이 지지 온통기초 : 지하실과 같이 바닥 전체를 기초판으로 구성 연속기초(줄기초) : 조적조에 많이 사용되는 기초로 벽을 따라 연속적으로 길게 기초판을 구성 [해설작성자 : 합격맨]
12.
절판구조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강성을 얻기 쉽다.
나.
슬래브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다.
음향 성능이 우수하다.
라.
철근배근이 용이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강성이란 센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임
절판 구조는 판을 주름지게 하여 하중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는 건축구조이다. 종이를 주름지게 접으면 견고해지듯이 나무나 강철·알루미늄·철근콘크리트 등을 여러 번 접는 형태이다. 평면만을 꺾어 접고 원통형이나 다면체형 가구를 구성하여 강력한 지지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강성이 높은 알루미늄을 사용할 경우 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해설작성자 : 낯두꺼비]
절판구조는 얇은 강판을 접어 바닥을 구성하는 구조로 공간이 협소하여 철근의 배근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푸르르.lhg]
13.
절충식 지붕틀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가.
지붕보에 휨이 발생하므로 구조적으로는 불리하다.
나.
지붕의 하중은 수직부재를 통하여 지붕보에 전달된다.
다.
한식구조와 절충식구조는 구조상으로 비슷하다.
라.
작업이 복잡하며 대규모 건물에 적당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절충식 지붕틀-비교적 단순하고 소규모의 지붕틀에 사용 [해설작성자 : 낯두꺼비]
14.
보강블록조에서 내력벽의 두께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가.
50㎜
나.
100㎜
다.
150㎜
라.
200㎜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보강 콘크리트 블록조 (= 보강 블록조) 의 벽체 ① 내력벽의 길이의 합계는 그 층의 바닥 면적 1m2 당 0.15m 이상이 되어야 한다. ②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 면적은 80m2를 넘지 않아야 한다. ③ 내력벽은 그 끝 부분과 벽의 모서리 부분에 12mm 이상의 철근을 세로로 배치한다. ④ 내력벽의 두께는 15cm 이상, 벽 높이의 1/16 이상, 벽 길이의 1/50 이상 중에서 큰 값으로 한다. ⑤ 좁은 벽보다 긴 벽이 연속된 것이 좋다. ⑥ 벽량은 내력벽 길이의 합계를 그 층의 바닥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최소 벽량은 15cm/m2 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낯두꺼비]
15.
셀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얇은 곡면 형태의 판을 사용한 구조이다.
나.
가볍고 강성이 우수한 구조 시스템이다.
다.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할 때 이용된다.
라.
재료는 주로 텐트나 천막과 같은 특수천을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텐트나 천막과 같은 특수천을 사용하는 것은 "막구조"이다. [해설작성자 : 유나파파]
16.
목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전각·사원 등의 동양고전식 구조법이다.
나.
가구식구조에 속한다.
다.
친화감이 있고, 미려하나 부패에 약하다.
라.
재료수급 상 큰 단면이나 긴 부재를 얻기 쉽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목구조의 단점 충해, 화재에 취약하며 재료의 수급상 큰 단면이나 긴 부재를 얻기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박쥐]
17.
조적조에서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최대 몇 m2 이하로 해야 하는가?
가.
40m2
나.
60m2
다.
80m2
라.
100m2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조적식 구조의 내력벽 공간은 80m2 이하로 한다. [해설작성자 : 박쥐]
18.
벽돌조에서 내력벽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벽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대린벽
나.
중공벽
다.
장막벽
라.
칸막이벽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대린벽: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내력벽을 말하고 그 중심선간의 거리를 벽의 길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라키]
내력벽의 종류
1) 대린벽 ① 벽체의 길이를 규제하기 위해 설정한 것 ②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벽 ③ 수직하중에는 강하나 수평하중에는 비교적 약함
2) 부축벽(Buttress Wall) ① 외력에 쓰러지지 않게 부축하기 위해 달아낸 벽 ② 상부에서 전달되는 집중하중 또는 수평하중에 저항 ③ 부축벽 길이는 층높이의 1/3, 단층에서는 1m 이상, 2층의 밑층에서 2m 이상 출처: http://www.gigumi.com/423 [기구미] [해설작성자 : 낯도깨비]
19.
아치쌓기법에서 아치 너비가 클 때 아치를 여러겹으로 둘러쌓아 만든 것은?
가.
층두리 아치
나.
거친 아치
다.
본 아치
라.
막만든 아치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층두리 아치: 아치의 거리가 넓을 때 반 장별로 층을 지어 2중으로 겹쳐 쌓는 아치 거친아치: 장방형 벽돌을 그대로 아치에 사용하여 아치줄눈의 모양이 쐐기형이 되는 아치 본아치: 아치줄눈이 일자가 되도록 사다리꼴의 벽돌을 주문하여 쌓은 아치 막만든 아치: 현장에서 장방형 벼돌을 사다리꼴 형태로 절단하여 쌓은 아치 [해설작성자 : 김도은]
20.
건물의 수장 부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외벽
나.
보
다.
홈통
라.
반자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보" 는 구조부분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유나파파]
구조부 : 기초,기둥,포,내력벽,바닥 등의 건물의 뼈대를 구성하는 부분 수장부 : 반자,외벽,천장,칸막이벽,비내력벽 등 뼈대 이외의 눈으로 보이는 부분 [해설작성자 : 목수하자]
2과목 : 건축재료
21.
목재의 방부제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가.
크레오소트 오일
나.
콜타르
다.
페인트
라.
테레빈유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목침목의 방부를 위해 사용되는 크레오소트는 1900년 이전부터 사용된 가장 오래된 목재방부제로 콜탈이나 목재를 연소할 때 발생하는 증기를 농축하여 건류한 흑갈색의 액체다. 이는 화학적으로 부후균, 해충, 대부분의 해양 천공류에 대해 매우 우수한 방부 효능을 갖고 있다.
크레오소트 방부처리를 한 목침목은 처리 직후부터 용재가 목재 표면으로 용출되고, 태양광선에 두면 공기 중으로 날아간다. 단순히 목재에서 용출되는 방부제의 양은 매우 적게 보이지만, 물에 퍼졌을 때는 상당히 많은 양이 된다. 또한 목재가 햇빛이나 열을 받게 되면 목재 표면으로 용출되는 양이 증가되어 밖으로 흘러내린다.
그러므로 표면에 오일이 보이는 목재는 물과 접하는 곳이나 사람과 접촉하는 곳에서는 사용하면 안 된다. 만일 고농도의 PAH를 포함하는 토양, 기름, 콜타르 등에 접촉하게 되면 곧바 로 피부를 통해 몸으로 흡수되고, 지방분을 포함하는 모든 신체조직에 유입되어 신장, 간 등에 축적된다. 또한 대사시 DNA-adduct를 형성하거나, DNA와 반응하는 중간체로 작용하여 유전적으로도 해를 끼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낯두꺼비]
테레빈유 소나무에서 얻는 일종의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기름 [해설작성자 : 유나파파]
22.
합판(Plywood)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판재에 비해 균질하다.
나.
방향에 따라 강도의 차가 크다.
다.
너비가 큰 판을 얻을 수 있다.
라.
함수율 변화에 의한 신축변형이 적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합판은 방향에 따른 강도차가 거의 없다. [해설작성자 : 유나파파]
23.
건축생산에 사용되는 건축재료의 발전방향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가.
비표준화
나.
고성능화
다.
에너지 절약화
라.
공업화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건축재료의 발달 - 공장제작 생산방향으로 표준화, 고성능화, 고품질화, 공업화, 에너지 절약화로 발전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 춘천직업전문학교]
24.
코르크판(cork board)의 사용 용도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방송실의 흡음재
나.
제방 공장의 단열재
다.
전산실의 바닥재
라.
내화 건물의 불연재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코르크판은 나무껍질이 주원료이고 톱밥,마사등을 혼합하여 가열,가압,성형,접착하여 만든것으로 나무껍질이 주원료이므로 내화건물의 불연재로 쓰면 안됨 [해설작성자 : 광주광역시 대화능력개발원 종신짱]
<문제 해설> 1. 토기 대개 유약을 입히지 않아 물을 넗으며 물이 스며서 밖으로 번져나오는 것으로 보통 700 ~ 1000도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구워진 선사시대 토기들이 이에 해당된다.
2. 도기 토기보다 단단하며 대개 유약을 입혀서 1000 ~ 1100도에서 번조하여 물의 흡수율이 15%이하로서, 수분이 기벽에 스며드는 붉은 화분이나 떡시루 및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에 해당한다.
3. 석기 1) 주로 태토 속의 장석이 녹아서 유리질이 되며 그것이 더 단단한 다른 돌가루 들 사이로 흘러들어가 기벽을 단단히 만드는 것이다. 2) 불의 온도는 1200도 전후의 고온이 된다. 3) 그래서 석기는 때리면 쇠붙이 소리가 나며 물이 기벽에 스며들지 않으나 아직 자기로는 되지 못한 단계로 신라 토기나 김칫독 같은 것이 이에 해당된다.
4. 자기 1) 1300도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내기 때문에 태토의 유리질화가 더욱 진전되어 기벽을 광선에 비춰보면 비칠 정도의 반투명체이다. 2) 자기는 처음 중국에서 고령토를 사용하여 만들어 낸 것이며 그 시작은 6조시대때부터라고 생각 되고 있다. 3) 유럽에서는 17세기 중국자기를 모방하여 1707년 독일의 드레스덴에서 베트가 백자를 만드는데 성공한 것을 시작으로 독일, 프랑스, 영국 등으로 퍼져갔다. [해설작성자 : 낯두꺼비]
27.
건축 재료에서 물체에 외력이 작용하면 순간적으로 변형이 생겼다가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성질은?
가.
탄성
나.
소성
다.
점성
라.
연성
정답 : [
1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소성 - 물체에 외력을 가해도 변형하지 않고, 탄성 한계 이상으로 변형시켰을 때 외력을 제거하여도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는 성질 점성 - 유체가 유동할때 내부마찰저항 연성 - 재료에 인장하중을 받으면 파괴할 때 까지 큰 신장을 나타내는 것 [해설작성자 : 뭔데]
28.
금속재료 중 황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주석과 니켈을 주체로 한 합금이다.
나.
구리와 아연을 주체로 한 합금이다.
다.
구리와 주석을 주체로 한 합금이다.
라.
구리와 알루미늄을 주체로 한 합금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황동 - 구리 아연 청동 - 구리 주석 [해설작성자 : 뭔데]
29.
재료의 안정성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망입판(網入板)유리는 깨어지는 경우 파편이 튀지 않아 안전하다.
나.
모든 석재는 화열에 대한 내력이 크기 때문에 붕괴의 위험이 적다.
다.
방화도료는 가연성물질에 도장하여 인화, 연소를 방지 또는 지연시킨다.
라.
석고는 초기방화와 연소지연 역할이 우수하며 무기질 섬유로 보강하여 내화성능을 높이기도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석재는 내화도가 낮다. [해설작성자 : 이색귀]
30.
시멘트가 공기 중의 습기를 받아 천천히 수화 반응을 일으켜 작은 알갱이 모양으로 굳어졌다가, 이것이 계속 진행되면 주변의 시멘트와 달라붙어 결국에는 큰 덩어리로 굳어지는 현상은?
가.
응결
나.
소성
다.
경화
라.
풍화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응결 : 시멘트풀이 천천히 점성이 늘어남에 따라 유동성이 점점 없어지고 차차 굳어지는 현상. 경화 : 응결된 시멘트 고체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조직이 굳어져 강도가 커지게되는 현상. 풍화 : 시멘트가 공기 중 습기를 받아 천천히 수화반응을 일으켜 점점 크게 굳어지는 현상.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보습학원]
시멘트의 풍화(風化:Aeration)란 시멘트 저장중에 시멘트가 공기에 노출되면 공기중의 습기와 반응하여 미소한 수화반응으로 고화되는 현상 2) 과정 ① 시멘트(CaO) + 공기중의 물(H2O) → Ca(OH)2 ② Ca(OH)2 + 공기중의 CO2 → CaCo3 + H2O 3) 풍화된 Cement 의 특성 시멘트의 풍화란 약한 수화반응 및 중성화 반응의 발생을 의미함 [해설작성자 : 낯두꺼비]
<문제 해설> 코너비드(corner bead)는 바름공사에서 기둥이나 벽의 모서리면에 미장을 쉽게 하고 모서리를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철물
33.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가.
플로 시험
나.
리몰딩 시험
다.
슬럼프 시험
라.
르샤틀리에 비중병 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르샤틀리에 비중병실험은 시멘트의 풍화 및 종류를 알수있으며 배합설계비율을 구할수있다 [해설작성자 : zini]
1) 반죽질기(컨시스턴시, Consistency) : 물의 양에 따른 반죽의 되고 진 정도 2) 워커빌리티(Workability) : 작업이 쉽고 어려운 정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 3) 성형성(Plasticity) : 거푸집에 쉽게 다져 넣을 수 있고, 거푸집을 떼어내면 허물어지거나 재료 분리가 일어나는 일이 없는 정도 4) 피니셔 빌리티(Finish ability) : 굵은 골재 최대치수, 잔골재율, 입도, 반죽질기 등에 따르는 표면 마무리하기 쉬운 정도 [해설작성자 : 낯두꺼비]
슬럼프(Slump)시험이란? ▶ 플래시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으로, 슬럼프콘에 콘크리트를 3층으로 나누어 넣고, 다짐대로 각층을 25번씩 다진 후 슬럼프콘을 빼 올렸을 때 콘크리트가 무너져 내려 않은 값(㎝)을 슬럼프치라 한다. 철근콘크리트의 일반적인 단면의 경우 슬럼프값의 범위는 5∼12㎝이다. [해설작성자 : 낯두꺼비]
34.
재료가 반복하중을 받는 경우 정적강도보다 낮은 강도에서 파괴되는 응력의 한계로 옳은 것은?
가.
정적강도
나.
충격강도
다.
크리프강도
라.
피로강도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정적강도 : 하중을 서서히 가해 발생되는 강도 충격강도 : 하중을 갑자기 가해 발생되는 강도 크리프 강도: 지속적인 하중을 가하는 강도 [해설작성자 : 박쥐]
35.
벽 및 천장재료에 요구되는 성질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열전도율이 큰 것이어야 한다.
나.
차음이 잘 되어야 한다.
다.
내화·내구성이 큰 것이어야 한다.
라.
시공이 용이한 것이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벽 및 천장재료는 열전도율이 클수록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36.
어느 목재의 절대건조비중이 0.54일 때 목재의 공극율은 얼마인가?
가.
약 65%
나.
약 54%
다.
약 46%
라.
약 35%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공극률 계산법. 공극율(V)=(1-(W(절건상태의중량) / 1.54(세포자체의비중))) X 100 = (1-(0.54 / 1.54)) X 100= 0.64935= 64.9% [해설작성자 : 다들합격하세요!]
37.
다음 창호 부속철물 중 경첩으로 유지할 수 없는 무거운 자재 여닫이 문에 쓰이는 것은?
가.
플로어 힌지(floor hinge)
나.
피벗 힌지(pivot hinge)
다.
레버터리 힌지(lavatory hinge)
라.
도어 체크(door check)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플로어 힌지 - 자동으로 묻을 닫히게 하고 바닥에 힌지장치를 한다. - 90도로 열면 고정되는 특징 - 무거운 자재문 여닫이문으로 사용 - 강화동어에 주로 사용 [해설작성자 : 유나파파]
38.
일반적으로 벌목을 실시하기에 계절적으로 가장 좋은 시기는?
가.
봄
나.
여름
다.
가을
라.
겨울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목재의 벌목시기는 수액이 적어 건조수축이 적고 건조가 쉬운 가을이나 겨울이 좋고, 계절적으로 겨울이 가장 좋다. [해설작성자 : youme4]
39.
초기강도가 높고 양생기간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어, 긴급공사에 사용되는 것은?
가.
중용열시멘트
나.
조강포틀랜드시멘트
다.
백색시멘트
라.
고로시멘트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조기 강도는 낮으나 장기 강도는 크다 /댐축조,콘크리트구조물,콘크리트포장 3.보통 시멘트의 성질과 거의 같고 주로 건축물의 표면 마무리 및 도장에 사용 /미장재,도장재,마감재,인조석 제조 4.초기강도는 작고 장기강도가 크다/해안공사,큰 구조물 공사에적당 [해설작성자 : d]
2.긴급공사,수중공사,한중고사 등등 [해설작성자 : DAN]
40.
석재의 표면마감 방법 중 인력에 의한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정다듬
나.
혹두기
다.
버너마감
라.
도드락 다듬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버너마감: 물갈기로 표면을 매끈하게 한 고온 불꽃에 의한 처리로, 면이 거칠어 외부 바닥에 사용 [해설작성자 : 쿄쿄쿄]
41.
다음 중 주택의 입면도 그리기 순서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할 사항은?
가.
처마선을 그린다.
나.
지반선을 그린다.
다.
개구부 높이를 그린다.
라.
재료의 마감 표시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 입면도 그리는 순서 지반선 작도 -> 각 층 높이(처마선) -> 개구부 높이 -> 개구부 형태 -> 재료의 마감표시 [해설작성자 : 춘천직업전문학교]
42.
직접조명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조명률이 크다.
나.
직사 눈부심이 없다.
다.
공장조명에 적합하다.
라.
실내면 반사율의 영향이 적다.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직사 눈부심이 크다. [해설작성자 : 비비선생]
43.
정방형의 건물이 다음과 같이 표현되는 투시도는?
가.
등각 투상도
나.
1소점 투시도
다.
2소점 투시도
라.
3소점 투시도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제3소점 투시도 화면에 평행한 선이 없으므로 소점은 3개가 된다. 물체가 돌려져있고 화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경우이다. 위에서 내려다보는 조감도를 표현할때 사용된다.
*등각투상도 물체의 옆면모서리가 수평선과 30도가 되도록 회전시켜서 세각이 서로 120도가 되도록 작도하는 방법 하나의 투상도에서 물체의 세면인 정면 평면 측면을 바라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뭔데]
[추가 오류 신고] 정답은 3번 2소점 투시도입니다. 3소점이면 면이 세개가 보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용갈이]
[오류신고 반론] 3소점 4번이 맞지 않나요? 2소점일때는 수직선이 수평선과 수직이 되는 모양으로 그려야하는데 밑에 한 점으로 모이는 형태로 그려져있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전산응용건축제도 기능사 필기 2020 (성안당) 31페이지에 기재되어있는 내용을 보았을 때 3점투시가 맞습니다
소점을 구분하는 방법은 면이 몇 개가 보이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리려는 대상의 직선의 방향이 모이는 점이 2개라면 2소점, 3개라면 3소점 입니다. [해설작성자 : 미대]
[오류신고 반론] 3소점이 맞습니다. 세로선을 왼쪽부터 a, b, c라고 했을 때 b의 연장선상에서 a와 c의 연장선이 만나는 곳이 생기므로 양쪽으로 모이는 소점과 함께 밑에도 소점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미뇽]
[오류신고 반론] 3소점이 맞습니다. 2소점일 경우 세로선 3개가 모두 평행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ㅠ]
[추가 오류 신고] 2소점 투시도가 정답입니다. 3소점 투시도는 1소점, 2소점으로 표현할 수 없는 시점이 높은 경우로 옆 두면과 천장면 총 세면이 보여야 합니다. 그림의 경우 평행하지 않은 선들이 각 양 옆으로 뻗어져 2개의 소실점으로 모이기 때문에 2소점 투시도가 맞는 답입니다. 본 해설은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2021-나합격을 참고했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오류신고 반론] 정답은 3소점 투시도입니다.<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win-Q에서 참고> 2점 투시도일 경우에 양옆에 있는 수직선이 서로 평행이 되어야합니다. 지금 보기의 그림의 경우 평행이 아닌 위로 뻗어지는 선들이 만들어집니다. 아래쪽으로 쭉 이어보면 점이 만들어지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그럼 아래에 하나, 오른쪽, 왼쪽 하나씩 점이 총 3개가 만들어집니다. [해설작성자 : 미도방]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나합격 2020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책 411페이지 43번 해설을 보면 3번 2소점투시도가 답 [해설작성자 : 나 합격하고올게]
[오류신고 반론] 나합격 책이 문제가 있습니다(저도 요 책으로 공부하고 그대로 믿음) 나합격 설명에 보시면 수직방향의 선은 모두 수직으로 표기 되어있습니다.(2소점은 수직방향의 선은 모두 평행하여야함) 문제에 보여지는 각도는 수직이 아닙니다. 3소점이 맞습니다. 건물을 올려다보이거나 내려다보이는 경우 3소점으로 표현하는데 꼭 3면이 보여지는 것은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한시가 급한데 이걸 내가 왜 찾고 있는건가..]
[오류신고 반론] 3소점 맞음 2소점이라는 사람들 눈 크게 뜨고 잘 보셈 왼쪽끝선 오른쪽끝선이 수직이 아니라서 아래쪽으로 점 하나 더 생김 왜 이게 논쟁인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3소점이 맞습니다. 왼쪽으로 소점1 오른쪽으로 소점 2 아래방향으로 소점 3 입니다 2소점 투시도는 건축물의 벽이나 기둥 등 수직적 요소가 위 그림과 다르게 수직선으로 표현됩니다.
(성안당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책 참고) [해설작성자 : H]
44.
주택의 동선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동선은 일상생활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선이다.
나.
동선이 혼란하면 생활권의 독립성이 상실된다.
다.
동선 계획에서 동선을 이용하는 빈도는 무시한다.
라.
개인, 사회, 가사노동권의 3개 동선이 서로 분리되어 간섭이 없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동선 3요소 : 하중, 길이, 빈도 [해설작성자 : 실건과탑]
45.
벽체의 단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벽체의 열관류율이 클수록 단열성이 낮다.
나.
단열은 벽체를 통한 열손실방지와 보온역할을 한다.
다.
벽체의 열관류 저항값이 작을수록 단열 효과는 크다.
라.
조적벽과 같은 중공 구조의 내부에 위치한 단열재는 난방시 실내 표면 온도를 신속히 올릴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벽체의 열관류 저항값이 클수록 단열효과는 크다 [해설작성자 : 김지혜]
46.
어떤 하나의 색상에서 무채색의 포함량이 가장 적은 색은?
가.
명색
나.
순색
다.
탁색
라.
암색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유채색과 대응되는 말 색상, 채도가 없고 명도만으로 구별된다
[추가 해설] 순색(a Solid Color) 원색(마젠타,옐로우,시안)중 2색을 섞어서 만들어지는 색을 말한다. 2색의비율에 따라 빨강 주황 연두 녹색 보라 등의 색이 만들어진다. 흰색, 회색, 검정인 무채색을 조금도 함유하지 않은 색이다.
47.
공동주택의 단면 형식 중 하나의 주호가 3개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가.
플랫형
나.
듀플렉스형
다.
트리플렉스형
라.
스킵플로어형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플랫형(flat):한 가족을 같은 층에 배치하는 형식의 집합주택 듀플렉스형(duplex):두세대용 건물, 복층아파트 트리플렉스형(triplex):<아파트,건물이> 3가족 용의, 세칸의;3층의 스킵플로어형(skip floor):한층 높이의 반을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설계, 바닥 높이를 차이가 나도록 구분. [해설작성자 : 초보효쟁이]
48.
건축법령상 승용 승강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 기준으로 옳은 것은?
가.
5층 이상으로 연면적 1000m2 이상인 건축물
나.
5층 이상으로 연면적 2000m2 이상인 건축물
다.
6층 이상으로 연면적 1000m2 이상인 건축물
라.
6층 이상으로 연면적 2000m2 이상인 건축물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6층이상으로서 연면적 2,000m2 이상인 건축물을 건축하려면 승용 승강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한다. [건축법] 제 64조 제 1항
49.
증기, 가스, 전기, 석탄 등을 열원으로 하는 물의 가열 장치를 설치하여 온수를 만들어 공급하는 설비는?
가.
급수설비
나.
급탕설비
다.
배수설비
라.
오수정화설비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급수설비: 음료, 세탁, 대소변 등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 2. 급탕설비: 증기, 가스, 전기, 석탄 등을 열원으로 하는 물의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온수를 만들어 공급하는 설비. 3. 배수설비: 건물이나 부지에 생긴 오수, 빗물, 폐수 등을 외부에 배출하는 설비. 4. 오수정화설비: 오수를 침전*분해 등 환경부령이 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정화하는 설비. [해설작성자 : 파이팅!!]
50.
도면작도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원칙으로 한다.
나.
용도에 따라서 선의 굵기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다.
글자체는 수직 또는 15° 경사의 고딕체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라.
축적과 도면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도면에서 글자의 크기는 같아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축척과 도면의 크기에 맞추어 알아보기 쉽게 같은 문자와 일정한 크기로 한다. [해설작성자 : 춘천직업전문학교]
51.
아파트의 평면 형식 중 집중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대지 이용률이 높다.
나.
채광 및 통풍이 불리하다.
다.
독립성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다.
라.
중앙에 엘리베이터나 계단실을 두고 많은 주호를 집중 배치하는 형식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집중형은 코어형이라고 불리는데 중앙보독도와 같이 거주밀도를 높게할때 채택되며 중앙에 계단,승강기를 두고 각 주거단위가 배치된다 이로써 밀도가 높아 대지이용률이 높지만 주거단위가 높은만큼 채광 및 통풍은 낮아지고 개인프라이버시 침해가 상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