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세라믹-산화물계, 질화물계, 탄화물계등이 있고 산화물계-SiO2(산화규소) [해설작성자 : 수원아이티컴퓨터학원]
산화물(산소와 다른 화합물의 2원화합물을 총칭)이려면 일단 산소가(O2) 있어야겠죠. [해설작성자 : cgh]
2.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강으로 항공기용 재료 등에 사용되는 것은?
가.
두랄루민
나.
인바
다.
콘스탄탄
라.
서멧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인바-온도에 대하여 불변이라는 뜻으로 in var라고 한다. 온도 변화에 민감한 정밀기계,광학기계의 부품,시계부품등에 사용된다. 콘스탄탄-Cu60%,Ni40%의 합금, 온도측정에 사용 서멧-금속과 세라믹의 합성, 소결작업한것으로 세라믹의 특성인 경도,내열성,내산화성,내약품성,내마모성과 금속의 강인성,가소성,기계적 강도 등을 겸비한 신재료 이다. [해설작성자 : 부산 미래직업전문학교 3D프린터-기계설계 이복기]
3.
브레이크 재료 중 마찰계수가 가장 큰 것은?
가.
주철
나.
석면직물
다.
청동
라.
황동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석면직물의 마찰계수가 가장 크기 때문에 석면브레이크라이닝(마찰재) 등에 이용
4.
18-8계 스테인리스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라고도 하며 담금질로써 경화되지 않는다.
나.
내식, 내산성이 우수하며, 상온 가공하면 경화되어 다소 자성을 갖게 된다.
다.
가공된 제품은 수중 또는 유중 담금질하여 해수용 펌프 및 밸브 등의 재료로 많이 사용한다.
라.
가공성 및 용접성과 내식성이 좋다.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오스테나이트계인 18-8형 스테인리스강은 담금질에 의해서가 아니라 냉간가오에 의해서만 재료가 경화되며 내부의 응력 제거를 위해 약 800℃에서 2~4시간 유지시킨 후 노냉이나 공랭을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나랑께]
<문제 해설> 1,2,3번은 면과 면이 만나는 면짝, 맞물리는 기어는 선짝 [해설작성자 : 수원아이티컴퓨터학원]
13.
강을 Ms점과 Mf 점 사이에서 항온 유지 후 꺼내어 공기 중에서 냉각하여 마텐자이트와 베이나이트의 혼합조직으로 만드는 열처리는?
가.
풀림
나.
담금질
다.
침탄법
라.
마템퍼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풀림 -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후 노 안에서 서냉시키는 열처리 방법,단조나 압연 작업에서 생긴 내부 응력을 없애기 위해서 실시한다. 담금질 - 금속을 가열한 후 물이나 기름에서 급냉시키는 열처리 방법, 강도와 경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뜨임 - 담금질한 강은 강도와 경도가 크나 내부 응력에 의해 충격이 약하다. 재 가열한 후 공기 중에서 서서히 냉각하여 내부 응력을 제거 시킴으로써 안정화 시키는 열처리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부산미래직업전문학교-3D프린터와기계설계제작]
숫돌입자가 작은 숫돌로 일감을 가볍게 누르면서 진동을 주어 접촉시키면서 고정 밀도의 표면으로 일감을 다듬질하는 가공법은?
가.
호닝
나.
래핑
다.
브로칭
라.
슈퍼피니싱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셰이퍼 / 플레이너(일감 – 대형) 바이트의 왕복 운동으로 고정된 일감을 가공하는 기계로, 평면 가공 및 측면 가공, 곡면 가공, 더브테일 가공, 홈 가공이 가능하다. 2, 슬로터 셰이퍼를 세워 놓은 형태의 공작기계로, 구멍의 내면이나 곡면, 내접 기어, 스플라인 구멍 등을 가공할 수 있다. 3, 브로칭 머신 가늘고 긴 일정한 단면 모양을 가진 공구면에 많은 날을 가진 브로치라는 절삭공구를 사용하여 공작물의 내면이나 외경에 필요한 형상의 부품을 가공하는 절삭 방법 4, 호빙 머신 호브라는 공구를 사용하여 기어를 절삭한다 5, 호닝 머신 직사각형 단면의 긴 숫돌을 지지봉의 끝에 방사 방향으로 붙여 놓은 혼을 구멍에 넣고 회전 운동이나 축 방향의 운동을 동시에 시켜가며 구멍을 내면을 정밀 다듬질하는 가공 6, 슈퍼 피니싱 머신 미세하고 연한 숫돌 입자를 일감의 표면에 낮은 압력으로 접촉시키면서 매끈하고 고밀도의 표면으로 일감을 다듬는 가공 방법 7, 래핑 랩이라고 하는 공구와 다듬질하려고 하는 일감 사이에 랩제를 넣고 상대운동 시킴으로 매끈한 다듬면을 얻는 가공 방법 8, 방전 가공기 아크 방전에만 열작용과 가공액의 기하 폭발 작용으로 일감을 미소량씩 용해하여 가공하는 방법 9, 초음파 가공기 물이나 경우 등에 연삭 입자를 혼합한 가공액을 공구의 진동면과 일감 사이에 주입시켜가며 초음파에 의한 상하 진동으로 표면을 다듬는 가공 방법 10, 전해 연마기 일감을 양극으로 하고 전해액 속에 달아 매면 일감이 전기분해에 의해 깨끗하고 아름답게 된다. [해설작성자 : 폴리텍학생]
19.
CNC공작기계의 가공 프로그램의 기호와 그 의미가 잘못 연결된 것은?
가.
M : 보조기능
나.
T : 공구 기능
다.
S : 절삭 기능
라.
F : 이송 기능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CNC S-주축기능임 [해설작성자 : 수원아이티컴퓨터학원]
20.
숫돌의 입자가 탈락되지 않고 마모에 의해서 납작하게 둔화된 무딤(glazing)의 원인과 거리가 먼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연삭숫돌의 결함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다.
나.
숫돌입자가 가늘고 조직이 치밀하다.
다.
연삭숫돌의 원주속도가 너무 빠르다.
라.
숫돌재료가 공작물 재료에 부적합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무딤(글레이징) - 눈메움현상발생시, 숫돌결합도가 큰경우, 원주속도가 큰경우, 숫돌과 공작물의 재질이 맞지 않는 경우에 발생 [해설작성자 : 수원아이티컴퓨터학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눈메움(loading)이 발생할 경우 무딤(glazing)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번 보기의 숫돌입자가 가늘고 조직이 치밀한 경우 눈메움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이 또한 무딤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해당 문제에는 답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확인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21.
방전 가공에서 가공액의 역할이 아닌 것은?
가.
가공열을 냉각시킨다.
나.
가공칩의 제거 작용을 한다.
다.
가공 부분에 변질층을 제거한다.
라.
방전할 때 생기는 용융금속을 비산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방전 가공은 크게 형조 방조가공과 와이어 방전가공이 있으며, 앞에서부터 등유, 증류수를 사용하며 각각 가공 변질층은 침탄층과, 탈탄층이 형성된다. [해설작성자 : pdh]
22.
현장에서 매일 기계설비를 가동하기 전 또는 가동 중에는 물론이고 작업의 종료시에 행하는 점검은?
가.
일상점검
나.
특별점검
다.
정기점검
라.
월간점검
정답 : [
1
] 정답률 : 81%
23.
만능공구 연삭기에서 지름 50㎜의 밀링 커터를 연삭할 때, 5°의 여유각을 갖기 위한 편심거리는 약 몇 ㎜인가? (단, sin5°=0.0871로 계산한다.)
가.
2.2㎜
나.
4.4㎜
다.
8.7㎜
라.
17.4㎜
정답 : [
1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편심거리는 중심에서 시작하므로 반지름으로 계산한다 sin5= 0.0871 = 편심거리/커터반지름 = x / 25 에서 x=2.2 [해설작성자 : 수원아이티컴퓨터학원]
지름/2 * 각도 (여기선 0.0871) 하면 2.1775나오는데 반올려서 약 2.2로 나옵니다
24.
밀링 머신에서 테이블의 이송속도(f)를 나타내는 식으로 맞는 것은?(단, f : 테이블의 이송속도(㎜/min), fz : 커터의 날 당 이송량(㎜/날), Z : 커터의 날 수, n : 커터의 분당 회전수(rpm)이다.)
<문제 해설> 단면하기 때문에 이해를 방해하는 것 또는 절단하여도 의미가 없는 것은 원칙적으로 긴 쪽(가로) 방향으로는 절단하지 않는다. - 리브, 바퀴의 암, 기어의 이 - 축, 핀, 볼트, 너트, 와셔, 작은 나사, 리벳 키, 강구, 원통 롤러 [해설작성자 : 햄벅]
34.
다음 치수기입의 원칙을 설명할 것 중 틀린 것은?
가.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도시한 대상물의 마무리 치수를 기입한다.
나.
서로 관련되는 치수는 되도록 분산하여 기입한다.
다.
기능상 필요한 경우 치수의 허용한계를 기입한다.
라.
참고치수에 대해서는 수치에 괄호를 붙여 기입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관련치수는 한곳에 모아 기입(예를 들어 정면도 기재) [해설작성자 : 수원아이티컴퓨터학원]
35.
재료 기호 [ GC200 ]이 나타내는 명칭은?
가.
황동 주물
나.
회주철품
다.
주강
라.
탄소강
정답 : [
2
] 정답률 : 70%
36.
다음 중 단면 도시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단면 부분을 확실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보통 해칭을 한다.
나.
해칭을 하지 않아도 단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때에는 해칭을 생략해도 된다.
다.
같은 절단면 위에 나타나는 같은 부품의 단면은 해칭선의 간격을 달리한다.
라.
단면은 필요로 하는 부분만을 파단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같은 부품의 단면은 해칭선의 간격이나 방향을 같이 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필기책]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숨은선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일반인]
[추가 오류 신고] 답은 숨은선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답 3번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
[추가 오류 신고] 겹쳐지는 거로 우선한다면 숨은선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
[오류신고 반론] 정답오류 없습니다. 답 치수 맞구요. 치수보조선 아닙니다. 치수에요. 잘 보시기 바랍니다. 어떤 선이 치수보다 우선하나요.. 도면에서..;; [해설작성자 : 쫌!]
[오류신고 반론] "치수" 라고만 나와있는 것이 "선"을 의미하는지 "문자"를 의미하는지 애매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명확하게 명시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이용민]
[오류신고 반론] 치"수" 입니다. 저희가 수를 선으로 나타내진 않죠? 치수선 or 치수 보조선이면 외형 - 숨은 - 절단 - 중심 - 무게 중심- 치수 보조 로 마지막에 오는게 맞지만 문자나 숫자가 들어올 시 선보다 우선시 되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아니면 말고,,]
[오류신고 반론] 치수=숫자 이므로, 치수>외숨절중무치 입니다. [해설작성자 : ㅋㅋ]
46.
기어의 제작상 중요한 치형, 모듈, 압력각, 피치원 지름등 기타 필요한 사항들을 기록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