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크롬과 니켈을 함유하면 내성이 강해지고 탄소강의 함류량도 많아 지므로 18-8 스테인리스강이라고 부르는 것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다. [해설작성자 : KWCH]
폐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스텐레스강 중에서도 탄소 함유량이 적고, 크롬 함유량이 많아 순수한 체심입방구조(ferrite)가 된다. 이러한 스테인리스강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라고 불러, 크롬의 함유량이 많아 마텐자이트계보다 내식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가진다. 니켈 함유량이 없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다. 열처리에 의한 경도 향상이 불가능하다.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크롬을 주성분으로 하고 열처리(Quenching)에 의해 경화가 가능하다. 담금질을 하여 마텐자이트화한 뒤 취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풀림처리를 해서 질긴 성질을 높인다. 내식성은 페라이트계와 오스테나이트계가 좋으며 이에 비하여 마텐자이트계는 보통 수준이다. [해설작성자 : 부산 효성직업전문학교 3D프린터 융합 기계설계]
3.
8~12% Sn에 1~2% Zn의 구리합금으로 밸브, 콕, 기어, 베어링, 부시 등에 사용되는 합금은?
코르손합금 - 구리 합금의 일종으로 Corson이 발명, Ni 4, Si 1%, Cu 나머지부이다. 니켈, 규소 형태의 화합물이 구리속에 녹아 석출되므로 시용성이 있다. 따라서 담금질, 뜨임에 의해 성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인성이 풍부하며 전도율이 높다. 용도-고가 통신선, 장거리간 송전선,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트롤리선, 인청동을 대신하는 용수철 재료등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부산 효성직업전문학교 3D프린터 융합 기계설계]
베릴륨 합금 - 구리나 니켈, 철과 혼합하여 강도가 높은 합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구리에 베릴륨을 2% 첨가하여 만든 베릴륨구리는 구리보다 강도가 약 6배 정도 커지고 매마모성이 우수한 합금이기 때문에 강력 요수철,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항공기 엔진등에 사용된다.
규소 청동 - 구리에 3~4% 정도까지의 규소를 첨가한 합금을 규소청동이라 부른다. 구리에 규소를 합금시키면 그 전기적 성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기계적 성질, 내식성, 내열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부산 효성직업전문학교 3D프린터 융합 기계설계]
4.
주철의 여러 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합금 주철에 첨가하는 특수원소 중 크롬(Cr)이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가.
경도를 증가시킨다.
나.
흑연화를 촉진시킨다.
다.
탄화물을 안정시킨다.
라.
내열성과 내식성을 향상 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크롬은 흑연화 방지제 입니다. [해설작성자 : 효원]
5.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합금으로 요구되는 성질 중 틀린 것은?
가.
유동성이 좋을 것
나.
금형에 대한 점착성이 좋을 것
다.
열간 취성이 적을 것
라.
응고수축에 대한 용탑 보급성이 좋을 것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금형에 대한 점착성이 좋다는 것은 다이케스팅 제품이 금형과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으로 좋지 않은 현상이다. 금형과 분리가 잘되어야 한다.
6.
탄소강의 경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시하는 열처리는?
가.
불림
나.
풀림
다.
담금질
라.
뜨임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불림 : 조직의 표준화 풀림 : 내부응력제거 및 연화 뜨임 : 내부응력제거 및 인성부여 [해설작성자 : 전산응용기계제도 기능사 최근5년간 기출문제 (김원중 저)]
7.
고용체에서 공간격자의 종류가 아닌 것은?
가.
치환형
나.
침입형
다.
규칙 격자형
라.
연심 입방 격자형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고용체 : 서로 다른 금속이 용융상태에서 합금되었을 때 기계적인 방법으로 구분할 수 없는 것 침입형 고용체 : Fe3-C 치환형 고용체 : Ag-Cu, Cu-Zn 규칙 격자형 고용체 : Cu3-Au, Ni3-Fe, Fe3-Al [해설작성자 : kooky]
선택지 4번이 오타라서 '면심 입방 격자형'이 맞다면, 이는 금속의 결정입자의 종류 중 하나이다. [해설작성자 : real]
8.
브레이크 드럼에서 브레이크 블록에 수직으로 밀어 붙이는 힘이 1000N 이고 마찰계수가 0.45 일 때 드럼의 접선방향 제동력은 몇 N 인가?
가.
150
나.
250
다.
350
라.
450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제동력= 1000*0.45
9.
지름 D1 = 200mm, D2 = 300mm의 내접 마찰차에서 그 중심 거리는 몇 mm인가?
가.
50
나.
100
다.
125
라.
250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2축간 중심 거리(C)=D1+D2/2 (C)=D1-D2/2 (+는 외접,-는 내접)
식) 200-300/2=50 (길이는 마이너스가 될 수 없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암나사 가공 - 탭핑 작업 수나사 가공 - 다이스 작업 [해설작성자 : 효]
21.
연삭숫돌에 눈 메움이나 무딤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숫돌을 수정하는 작업은?
가.
래핑
나.
드레싱
다.
글레이징
라.
덮개 설치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글레이징 - 자생작용이 잘되지않아 입자가 납작해지는 현상 래핑-랩과 일감사이에 렙제를넣고 상대운동으로 다듬질을 얻는가공법 [해설작성자 : 전북인력개발원2018-216호]
22.
선반가공에서 가공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철형태로 가공하는 것은?
가.
내경 절삭가공
나.
외경 절삭가공
다.
널링 가공
라.
보링 가공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내경절삭 - 안쪽 가공 2.외경절삭 - 바깥족 가공 4.보링가공 - 이미뚫은곳 가공 [해설작성자 : 전북인력개발원2018-216호]
23.
선반 작업 중에 지켜야 할 안전사항이 아닌 것은?
가.
긴 공작물을 가공할 때는 안전장치를 설치 후 가공한다.
나.
가공물이 긴 경우 심압대로 지지하고 가공한다.
다.
드릴 작업시 시작과 끝은 이송을 천천히 한다.
라.
전기배선의 절연상태를 점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선반작업하다가 기계열고 전기배선을 열어보면 위험하겠지요? 문제를 잘 읽어봅시다 [해설작성자 : 없는것보다야낫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선반, 밀링 관련 내용이 출제기준에서 삭제되었습니다. 관리자분은 DB에서 삭제 부탁드립니다.
24.
구성인선의 방지 대책 중 틀린 것은?
가.
윤활성이 좋은 절삭 유제를 사용한다.
나.
공구의 윗면 경사각을 크게 한다.
다.
절삭 깊이를 크게 한다.
라.
고속으로 절삭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절삭깊이를 작게해야 구성인선이 방지될수잇다 [해설작성자 : 혜진사랑]
25.
전기 도금과는 반대로 일감을 양극으로 하여 전기에 의한 화학적 용해작용을 이용하고 가공물의 표면을 다듬질하여 광택이 나게 하는 가공법은?
가.
기계 연마
나.
전해 연마
다.
초음파 가공
라.
방전 가공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기계연마 - 기계로연마 3.초음파가공 - 진동으로 가공 4.방전가공 - 방전가공이란 스파크 가공(spark machining)이라고도 하는데, 그 이름에서 보는 것처럼 전기의 양극과 음극이 부딪칠 때 일어나는 스파크로 가공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전북인력개발원2018-216호]
26.
다음 도면에서 표현된 단면도로 모두 맞는 것은?
가.
전단면도, 한쪽 단면도, 부분 단면도
나.
한쪽 단면도, 부분 단면도, 회전도시 단면도
다.
부분 단면도, 회전도시 단면도, 계단 단면도
라.
전단면도, 한쪽 단면도, 회전도시 단면도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아래 그림 : 한쪽 단면도 / 아래 그림 우측 아래 구멍 부분 : 부분 단면도 / 아래 그림 보강대 부분 : 회전도시 단면도 [해설작성자 : real]
27.
정투상도 1각법과 3각법을 비교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가.
3각법에서는 저면도는 정면도의 아래에 나타낸다.
나.
1각법은 평면도를 정면도의 바로 아래에 나타낸다.
다.
1각법에서는 정면도 아래에서 본 저면도를 정면도 아래에 나타낸다.
라.
3각법에서 측면도는 오른쪽에서 본 것을 정면도의 바로 오른쪽에 나타낸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각법의 저면도는 정면도의 위에 평면도는 아래에 배치한다 [해설작성자 : 호죠 에무]
28.
아래 투상도는 제 3각법으로 투상한 것이다. 이물체의 등각 투상도로 맞는 것은?
가.
나.
다.
라.
정답 : [
2
] 정답률 : 88%
29.
치수 배치 방법 중 치수공차가 누적되어도 좋은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은?
가.
누진치수기입법
나.
직렬치수기입법
다.
병렬치수기입법
라.
좌표치수기입법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직렬치수기입법 : 직렬로 나란히 연속되는 개개의 치수가 계속되어도 상관없는 경우 [해설작성자 : kooky]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 1번 제거가공을 해야한다. 보기 2번 하든 안하든 상관 x. 보기 3번 제거가공 허락 x. [해설작성자 : 김스터픽]
[오류신고 반론] 1. 절삭 등 제거 가공의 필요 여부를 문제삼지 않을 경우에는 면에 지시기호를 붙여서 사용한다.(보기 1번) 2. 제거 가공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지시할때에는 면의 지시 기호의 짧은 쪽의 다리 끝에 선을 부가한다.(보기 2번) 3. 제거 가공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지시할때는 면의 지시기호에 내접하는 원을 부가한다(보기 3번) [해설작성자 : 전응기기능사 필기(2019년 최신판) 책 페이지68]
스프로킷(자전거)의 도시법 ①호칭법: 명칭 체인 호칭 번호 잇수 치형 : 사용하는 체인을 먼저 결정 스프로킷 40 N30 S형/U형 ②제도법: ⑴ 이끝원은 굵은 실선,피치원은 가는 일점 쇄선, 이뿌리원은 가는 실선으로 긋고,이 모양은 2~3개 그린다. ⑵ 이의 부분을 상세히 그릴 때에는 단면 부위를 나타내고 부분 확대로로 그린다. ⑶ 간략하게 그릴 때에는 이끝원과 피치원만을 그린다. ⑷ 요목표에는 톱니의 특성을 기입한다.
[해설작성자 : 채우아빠]
48.
다음 중 평면 캠의 종류가 아닌 것은?
가.
판 캠
나.
정면 캠
다.
구형 캠
라.
직선운동 캠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평면 캠 종류에는 판,정면,직선운동만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개깡이다]
구형 캠은 입체 캠입니다. [해설작성자 : 레고레고~]
*평면 캠: 판 캠, 운동 캠, 정면 캠, 반대 캠, 삼각 캠 *입체 캠: 단면 캠, 경사판 캠(빗판 캠), 원통 캠, 월뿔 캠, 구형 캠 [해설작성자 : (주)글로벌아카데미(구. 글로벌직업전문학교)]
49.
운전 중 결합을 끊을 수 없는 영구적인 축이음을 아래 단어중에서 모두 고른 것은?
가.
커플링, 유니버셜 조인트
나.
커플링, 클러치
다.
유니버셜 조인트, 클러치
라.
커플링, 유니버셜 조인트 클러치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커플링은 조인트라고도 불리는데, 커플링과 유니버셜 조인트(유니버셜 커플링)는 운전 중에 결합을 끊을 수 없으나, 클러치는 운전 중에 결합을 연결하거나 끊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수동 변속기 차량의 클러치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해설작성자 : flowersuzi]
50.
미터 사다리꼴나사 [ Tr 40×7 LH ]에서 'LH‘가 뜻하는 것은?
가.
피치
나.
나사의 등급
다.
리드
라.
왼나사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L레프트 H핸드 [해설작성자 : 척하면 척이지]
51.
볼트의 골 지름을 제도할 때 사용하는 선의 종류로 옳은 것은?
가.
굵은 실선
나.
가는 실선
다.
숨은선
라.
가는 2점쇄선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골지름은 수나사의 최소 지름이고, 암나사의 최대 지름이다. 수나사와 암나사의 골을 표시하는 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해설작성자 : 대공 최은성]
52.
스퍼기어 표준 치형에서 맞물림 기어의 피니언 잇수가 16, 기어 잇수가 44 일 때 축 중심간의 거리로 옳은 것은?(단, 모듈이 5 이다.)
<문제 해설> 테이퍼 핀으로 호칭 지름이 4 mm, 길이가 30 mm, 재료가 SM50C 이다 [해설작성자 : .]
54.
배관을 도시할 때 관의 접속 상태에서 ‘접속하고 있을 때 - 분기 상태’를 도시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가.
나.
다.
라.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①번과 ②번은 접속하고 있지 않을 때는 도시 방법이다. ③의 예시과 문제의 정답예시이며 ④번의 예시는 접속하고 있을 때 - 교차 상태의 도시법이다. 접속하고 있지 않을 때는 교차/분기 상태가 없다. [해설작성자 : 채우아빠]
55.
축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이 축 직각 방향과 축 방향에 동시에 작용하는 곳에 가장 적합한 베어링은?
가.
니들 롤러 베어링
나.
레이디얼 볼 베어링
다.
스러스트 볼 베어링
라.
테이퍼 롤러 베어링
정답 : [
4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①니들 베어링:롤러 길이가 길고 가늘며 내륜없이 사용이 가능. 마찰 저항이 크며, 중하중용이고 충격 하중에 강하다. ②레이디얼 베어링: 하중을 축의 중심에 대하여 직각으로 받는다. ③스러스트 베어링: 축의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다. [해설작성자 : 채우아빠]
56.
다음 그림과 같은 용접점을 용접기호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가.
나.
다.
라.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지름 10 원형 2개 50 간격으로 용접 [해설작성자 : 홍그리]
57.
서피스(surface) 모델링에서 곡면을 절단하였을 때 나타내는 요소는?
가.
곡선
나.
곡면
다.
점
라.
면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서피스는 면과 면의 조합이며, 안쪽이 차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절단 시 곡선이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파오리]
58.
컴퓨터의 기억용량 단위인 비트(bit)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binary digit의 약자이다.
나.
정보를 나타내는 가장 작은 단위이다.
다.
전기적으로 처리하기가 아주 편리하다.
라.
0과 1일 동시에 나타내는 정보 단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0 또는 1의 값을 가질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슈퍄]
2진 기수법 표기의 기본 단위. 2진 숫자라고도 한다. 2진 기수법에서는 모든 수를 0과 1로만 표기하는 데 이 0또는 1이 각각 하나의 비트가 된다. [해설작성자 : (주)글로벌아카데미(구. 글로벌직업전문학교)]
59.
CAD 시스템에서 마지막 입력 점을 기준으로 다음 점까지의 직선거리와 기준 직교축과 그 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입력하는 좌표계는?
가.
절대 좌표계
나.
구면 좌표계
다.
원통 좌표계
라.
상대 극좌표계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절대 좌표계: 도면상 임의의 점을 입력할 때 변하지 않는 원점(0,0)을 기준으로 정함 구면 좌표계: 3차원 구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거리r과 두개의 각으로 표현 원통 좌표계: 3차원 공간을 나타내기 위해 평면 극좌표계에 평면 부터의 높이를 더해서 나타남 상대 죄표계: 임의의 점을 지정할 때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해서 사용 상대 극좌표계: 마지막 입력점을 기준으로 다음점까지의 직선거리와 기준 직교축과 그 직전이 이루는 각도를 입력 직교 좌표계: 두 개의 직교하는 축 위 두 점의 교점을 이용해 평면 공간상의 좌표를 표시 극좌표계: 평면 위의 위치를 각도와 거리를 써서 나타내는 2차원 좌표계 [해설작성자 : 몇번째 떨어지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