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 전동기의 2차에 있어 E2가 127V, r2가 0.03Ω, x2가 0.05Ω, s가 5%로 운전하고 있다. 이 전동기의 2차 전류 I2는?(단, s는 슬립, x2는 2차 권선 1상의 누설리액턴스, r2는 2차 권선 1상의 저항, E2는 2차 권선 1상의 유기 기전력 이다.)
*주기 T=T(온)on+T(오프)off *공식이니깐 알아두세요! [해설작성자 : 에너지 고등학교 전기과]
추가 설명입니다. 강압이니 낮추어야 하고 비율이 2:1이 0.5입니다. [해설작성자 : MDP조아]
41.
일반적으로 분기회로의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는 전압옥내간선과의 분기시점에 전선의 길이가 몇[m] 이하의 곳에 시설하여야 하는가?
가.
3[m]
나.
4[m]
다.
5[m]
라.
8[m]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분기회로의 보안으로는 - 저압 옥내 간선의 분기점에서 3[m] 이하인 곳에 개폐기, 과전류(자동)차단기를 설치 - 분기회로의 허용전류가 저압 옥내 간선 보호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 55[%] 이상 : 분기점에서 3[m]를 초과하는 곳에 설치 가능 - 분기회로의 허용전류가 저압 옥내 간선 보호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 35[%] 이상 55[%] 미만 : 분기점에서 8[m] 이내까지 설치 가능 정답 : 3[m] [해설작성자 : 군기공 최강 전기과 수영]
42.
가공전선의 지지물에 송탑 또는 승각용으로 사용하는 발판 볼트 등은 지표상 몇 [m]미만에 설치하여서는 안되는가?
가.
1.2[m]
나.
1.5[m]
다.
1.6[m]
라.
1.8[m]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예전에는 180cm 면 큰 키라서 애들이 올라가서 장난 못 치도록 하기 위해 180cm 즉 1.8m 이상에 설치했다고 하는 설을 다른 문제 해설에서 보았음. 그래서 1.8m [해설작성자 : 어둠을 밝히는 빛]
나전선 상호를 접속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전선의 세기를 몇 [%]이상 감소시키지 아니하여야 하는가?
가.
2[%]
나.
3[%]
다.
20[%]
라.
80[%]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전선의 접속시 전선의 기계적 강도를 20%이상 감소시키면 안된다 즉, 전선의 기계적 강도를 80%이상 유지시켜야 한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45.
전동기에 공급하는 간선의 굵기는 그 간선에 접속하는 전동기의 정격전류의 합계가 50A를 초과하는 경우 그 정격전류 합계의 몇 배 이상의 허용전류를 갖는 전선을 사용하여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1.1배
나.
1.25배
다.
1.3배
라.
2배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간선의 허용전류 - 전동기의 전류가 50[A]이하의 경우 1.25배 - 전동기의 전류가 50[A]초과의 경우 1.1배 [해설작성자 : 꿀꿀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한국전기설비규정 개정으로 이 부분은 시험범위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고 있음 [해설작성자 : 그루터기]
46.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굵기로 알맞은 것은?(단, 공칭단면적으로 나타내며, 연동선의 경우이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0.75mm2 이상
나.
2.5mm2 이상
다.
6mm2 이상
라.
16mm2 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종접지공사시 6mm2 이상 2종접지공사시 16mm2 이상 3종및특3종접지공사시 2.5mm2 이상 [해설작성자 : 백선생]
[규정 개정] 2021년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개정으로 인하여 접지대상에 따라 일괄 적용한 종별접지는 폐지되었습니다. 본 문제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하시기 바랍니다.
47.
저압 연접 인입선의 시설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옥내를 통과하지 아니할 것
나.
전선의 굵기는 1.5mm2 이하 일 것
다.
폭 5m를 넘는 도로를 횡단하지 아니할 것
라.
인입선에서 분기하는 점으로부터 100m를 넘는 지역에 미치지 아니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연접 인입선의 시설 규정 - 분기점으로부터 100[m]를 넘는 지역에 미치지 아니할 것 - 폭이 5[m]를 넘는 도로를 횡단하지 말 것 - 옥내를 관통하지 말 것 - 저압에서만 가능 - 2.6[mm]경동선을 사용하지만 긍장이 20[m]이하인 경우 2.0[mm]경동선도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꿀꿀이]
48.
금속관공사에서 금속관을 콘크리트에 매설할 경우 관의 두께는 몇 [㎜]이상의 것이어야 하는가?
가.
0.8[㎜]
나.
1.0[㎜]
다.
1.2[㎜]
라.
1.5[㎜]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콘크리트에 매설하는 것은 1.2[mm] 이상, 기타 1[mm] 이상이다 [해설작성자 : 군기공 최강 전기과 수영]
49.
절연 전선으로 가선된 배전 선로에서 활선 상태인 경우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것은 매우 곤란한 작업이다. 이런 경우 활선 상태에서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공구는?
가.
전선 피박기
나.
애자커버
다.
와이어 통
라.
데드엔드 커버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이문제 와이어 통으로 하시는 분들이 간혹 있는데 와이어통은 옮길때 쓰는거지 피복을 벗기는 거와는 상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설명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