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신고 반론] 양극은 산화작용으로 얇아지고 음극은 환원작용으로 두꺼워집니다 양극 Cu -> Cu2+ 와 2e- 음극 Cu2+ 와 2e- -> Cu [해설작성자 : 열공]
13.
두 종류의 금속 접합부에 전류를 흘리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줄열 이외의 열의 흡수 또는 발생 현상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제벡 효과
나.
페란티 효과
다.
펠티에 효과
라.
초전도 효과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제벡 효과 : 상이한 금속을 접합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고, 양쪽 접속점에 온도차가 있으면 회로에 열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 2. 페란티 효과 : 송전 선로가 경부하 또는 무 부하로 되었을 때 선로 분포 커패시턴스로 인한 충전 전류의 영향이 크고, 그로 인한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 3. 펠티에 효과 : 두 도체를 결합하고 전류를 흘리면, 온도가 상승하고 다른 쪽의 접점에서는 흡열하여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 [해설작성자 : 수원하이텍학생]
초전도 효과는 어느온도에 다달햇을데 저항이 0이되는 효과입니다 [해설작성자 : 계전 6기 1수(1학기시험문제다]
전류 → 열 : 펠티에 효과 열 → 전류 : 제베크 효과 (제벡)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14.
자극 가까이에 물체를 두었을 때 자화되는 물체와 자석이 그림과 같은 방향으로 자화되는 자성체는?
<문제 해설> 다이오드 정특성-직류전압 걸었을 때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전류관계 [해설작성자 : 울산에너지고 미남]
16.
공기 중에 10μC과 20μC를 1m 간격으로 놓을 때 발생되는 정전력(N)은?
가.
1.8
나.
2.2
다.
4.4
라.
6.3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9*10^9 * 10*10^-6 * 20*10^-6 이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인천전자마이스터고 학생 중 1人]
[추가 해설]
F = K * (q1 *q2 / r^2) F = 전기력 (N) K = 비례상수 비례상수 : 쿨롱 상수 k =9 .1 × 10^9 Nm2/C2 q1,q2 = 두 전하 크기 (C) r = 거리 (M) [해설작성자 : ㅇㅇ]
17.
200V, 2kW의 전열선 2개를 같은 전압에서 직렬로 접속한 경우의 전력은 병렬로 접속한 경우의 전력보다 어떻게 되는가?
가.
1/2 로 줄어든다
나.
1/4 로 줄어든다
다.
2배로 증가된다
라.
4배로 증가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P=IV라는 공식에 의해 I=10, R=V/I 라는 공식에 의해 R=20 임을 알 수 있다. 저항이 20인 전열기 2개를 직렬로 접속하면 R=20+20=40, 병렬로 접속하면 R=20/2=10 이다. 따라서 P=V^2/R 라는 공식에 의해 직렬로 접속할 때 전력이 병렬의 1/4이다. [해설작성자 : 수도공고 공순이]
P=V^2/R, R=V^2/P=200^2/2000=20, 직렬 Rs=R1+R2=20+20=40, P=V^2/R=200^2/40=1000[W] 병렬 Rp=R1*R2/R1+R2=400/40=10, P=V^2/R=200^2/10=4000[W] Rs/Rp=1000/4000=1/4 [해설작성자 : 수험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직렬은 40 병렬은 10이면 (직렬로 접속한 경우의 전력은 병렬로 접속한 경우의 전력보다 어떻게 되는가?) 이질문에서 직렬이 병력보다 4배증가되는거 아닌가요?
이 문제는 반파 정류회로 즉 단상 반파 회로 이므로 평균치가 0.45v 되어야한다 보기 4번 루트2 나누기 파이(3.14)를 하면 0.45 가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캠프로육군으로]
23.
1차 전압 6300 V, 2차 전압210 V, 주파수 60특수 의 변압기가 있다. 이 변압기의 권수비는?
가.
30
나.
40
다.
50
라.
60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권수비는 1차 전압/2차 전압 공식 이용해서 푸시면 됩니다 그러므로 6300/210 이니까 답은 30 [해설작성자 : 수도공고 전자과]
24.
동기 전동기를 송전선의 전압 조정 및 역률 개선에 사용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댐퍼
나.
동기이탈
다.
제동권선
라.
동기 조상기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댐퍼 : 진동 에너지 흡수 동기이탈 : 위상각 및 주파수 이탈 방지 제동권선 : 난조방지 [해설작성자 : 한전 가자!]
동기 전동기:전력계통에서 역률을 개선하기 위해 그 계자전류를 조정하여 영역률의 진상 또는 지상 전류를 취하면서 보통 무부하로 운전하는 동기 전동기를 이른다. [해설작성자 : .]
25.
3상 동기 발전기의 상간 접속을 Y결선으로 하는 이유 중 틀린 것은?
가.
중성점을 이용할 수 있다.
나.
선간전압이 상전압의 √3배가 된다.
다.
선간전압에 제 3고조파가 나타나지 않는다.
라.
같은 선간전압의 결선에 비하여 절연이 어렵다.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동기기에 있어 Y결선의 경우는 전기각이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 각상에서 유기된 전압의 제 3 고조파 성분이 같아져 단자부에서 서로 없어집니다. 따라서 3번은 맞는 말입니다. 참고로 델타 결선 경우에는 각 상내를 전류가 순환하게 되어서 파형, 순환전류의 측면에서 보아 Y결선이 비람직 합니다. 따라서 특수한 용도에서만 델타 결선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런 문제가 함정에 빠지기 쉽죠) [해설작성자 : 기사 합격 후 다시 정 주행중(화이팅!)]
26.
동기기의 손실에서 고정손에 해당되는 것은?
가.
계자철심의 철손
나.
브러시의 전기손
다.
계자 권선의 저항손
라.
전기자 권선의 저항손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손실에는 부하의 변화에 무관한 손실인 무부하손(고정손)과 부하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손실인 부하손(가변손)이 있다. 동기기의 손실중 무부하손의 대부분은 철손이고 부하손의 대부분은 동손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7.
60 Hz, 4극 유도 전동기가 1700rpm 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 전동기의 슬립은 약 얼마인가?
가.
3.42%
나.
4.56%
다.
5.56%
라.
6.64%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N(회전수) = 120 x f(주파수)/P(극수) 60Hz 4극 전동기의 회전수는 120x60/4=1800rpm 1700rpm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1700/1800=0.944 (1-0.944)x100=5.56%(5.555.. 를 반올림) [해설작성자 : SSH]
제가 다시 풀어봤습니다. 위 문제에서 사용되는 공식은 3가지입니다. 동기 속도 Ns = 1-S = 120f/p 회전자 속도 N = Ns(1-s) = (120/p)xf(1-s) s= Ns-N/Ns 동기속도 부터 구합니다 120x60/4 = 1800rpm 회전자 속도는 이미 나와있네요 1700rpm 동기-회전자/동기 이므로 1800-1700/1800 입니다. 답은 0.055 [해설작성자 : 비둘기야밥먹자]
다음 중 권선저항 측정 방법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및 추후 논의를 통하여 2, 3, 4번이 정답으로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가.
메거
나.
전압 전류계법
다.
켈빈 더블 브리지법
라.
휘이스톤브리지법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메거-고저항 (절연저항) 켈빈 더블 브리지법-저저항 (권선저항은 매우 낮은 저항) 휘트 스톤브리지법-중저항 (일반 회로) [해설작성자 : 의공고 전기과]
권선저항 : 저저항이므로 켈빈 더블 브리지법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권선의 측정은 저항손의 계산 및 권선 온도 상승등을 계산하는데 사용한다.일반적으로 직류를 사용한 전압강하법, 포텐셔메터법, 브리지법으로 1옴 이하(대용량으 권선)는 캘빈브리지 혹은 더블브리지 1옴이상시(소용량의 1차권선) 휘트스톤브리지를 사용 , 따라서 2,3,4 다 정답이다 [해설작성자 : 의정부뽀로로]
[관리자 입니다. 시험지 사진 원본 및 정답 확인결과 답안은 3번으로 발표되었습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정확한 문제집 이름과 정답 신고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권선 저항 측정 (저저항 측정) : 저저항의 정밀 측정에는 켈빈 더블 브리지가 적합하다. ※메거는 절연저항 측정기이다. [해설작성자 : 폴리텍 화성캠퍼스 김승민?]
[추가 오류 신고] Ebs 전기기능사 한권으로 끝내기 2020년 책에 1번 메거는 절연저항 측정에 사용된다고 되어있고 2,3,4번은 권선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이라 나와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26살 대학교 1학년]
[추가 오류 신고] Win-Q 전기기능사 책에는 2,3,4번 모두 정답이라 나와있습니다
권선 저항의 일반적인 측정법은 직류를 사용한 전압강하법, 포텐셔메터법, 브리지법으로 1옴 이하(대용량의 권선)는 켈빈 브리지 혹은 더블 브리지, 1옴 이상 시(소용량의 1차권선)에는 휘트스톤 브리지를 사용한다.
아무래도 일반적인 측정법이라던가, 1옴 이상,이하에 관한 내용이 문제에 명시되지 않아서 2,3,4 모두 답이 가능한 것 같네요. [해설작성자 : 58.66]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 크위주파 크기가 다른 경우, 무효순환전류 발생 위상이 다른 경우, 유효순환전류 발생 (동기화 전류, 동기화력) 주파수가 다른 경우, 난조 발생 파형이 다른 경우, 고조파에 무효순환전류 발생 출력, 전류, 용량은 달라도 무방합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40.
역률과 효율이 좋아서 가정용 선풍기, 전기세탁기, 냉장고 등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가.
분상 기동형 전동기
나.
반발 기동형 전동기
다.
콘덴서 기동형 전동기
라.
셰이딩 코일형 전동기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가정에서 주로사용하는 제품은 콘덴서 라고 외우면 쉽게 외울수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시화공고 조태형]
반>콘>분>셰 라고 외우시는분들은 대부분 반 아니면 셰만 외우셔서 이런문제는 잘 모르실 수 있습니다. 조태형님 말씀 그대로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제품은 콘덴서라고 외우시면 됩니다.
셰이딩 코일형은 효율과 역률이 아주 작으며 기동 토크도 작습니다. [해설작성자 : 2018년도 산소 판매중]
41.
3상 4선식 380/220 V전로에서 전원의 중성극에 접속된 전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접지선
나.
중성선
다.
전원선
라.
접지측선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문제에 답이잇다. 중성극에 접속된전선! 중성선!
42.
플로어덕트 배선의 사용전압은 몇 V 미만으로 제한 되어지는가?
가.
220
나.
400
다.
600
라.
700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플로어덕트 배선은 3종 접지 이기때문에 400V 미만.
4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가.
비상콘센트
나.
발신기
다.
수신기
라.
감지기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비상콘센트설비는 화재설비입니다 [해설작성자 : 소방설비산업기사]
자동화재탐지설비 구성요소 감 수 발 중 (감지기 수신기 발신기 중계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셀룰로이드, 성냥, 석유류 등 기타 가연성 위험물질을 제조 또는 저장하는 장소의 배선으로 틀린 것은?
가.
금속관 배선
나.
케이블 배선
다.
플로어덕트 배선
라.
합성수지관(CD관 제외) 배선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가연성 위험 물질 등을 다루는 장소는 안전이 제일입니다. 공사에는 합성수지관,금속관,케이블(개장된 케이블, MI케이블)이 쓰이고 이동용 전선은 2,3,4종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2018 수도 전기 공업 고등학교 전기과 미남]
가연성 위험물질을 제조 또는 저장하는 장소의 배선은 합금케(합성수지관, 금속관, 케이블) 입니다. 암기합시다. [해설작성자 : 2019 세경고 곽준호]
이해하기 쉽게 설명. 우리나라 땅속에 겨울에 어는 깊이가 있는데 그걸 동결심도라고 하며 그 깊이가 0.75m. 즉 0.75cm이며 그 위로 하면 겨울에 땅속에 얼어있는 수분 등으로 인해 지락이 할생함. 옛날에 김장해서 김장용 큰 항아리 뭍으면 그게 75cm정도 된다고 하네요. 선조들의 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