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장치 : 배기가스의 일부를 연소실로 재순환하여 연소 온도를 낮추어 NOx의 발생을 저감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12.
공기량 검출 센서 중에서 초음파을 이용하는 센서는?
가.
핫필름식 에어플로 센서
나.
칼만와류식 에어플로 센서
다.
댐핑챔버를 이용한 에어플로 센서
라.
MAP을 이용한 에어플로 센서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핫필름식 : 질량유량의 변화에 의해 흡입공기량을 직접 검출(핫와이어 방식과 동일) - 칼만와류식 : 공기 유동에 따른 소용돌이의 수를 초음파 변조에 의해 검출하여 공기유량을 계측 - 베인방식 : 흡입공기량을 포텐쇼미터(메저링 플레이트)에 의해 전압비로 검출 - MAP 센서 : 흡기다기관의 절대압력을 검출(간접계측)하여 흡입공기량 계측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13.
차량 주행 중 급감속시 스로틀 밸브가 급격히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성을 좋게 하는 것은?
가.
아이들업 솔레노이드
나.
대시포트
다.
퍼지 컨트롤 밸브
라.
연료 차단 밸브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대시포트(Dash pot) : 급감속시 스로틀 밸브가 급격히 닫히게 되면 흡입공기량 부족으로 배기가스 증가, 기관이 불안정해지므로 스로틀 밸브를 천천히 닫히게 해주는 장치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14.
내연기관에서 언더 스퀘어 엔진은 어느 것인가?
가.
행정 / 실린더 내경 = 1
나.
행정 / 실린더 내경 <1
다.
행정 / 실린더 내경 >1
라.
행정 / 실린더 내경 <= 1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행정/실린더 내경 = 1인 엔진은 스퀘어(정방형 엔진) - 행정/실린더 내경 < 1인 엔진은 오버스퀘어(단행정 엔진) - 피스톤이 짧고 뚱뚱하다 - 행정/실린더 내경 > 1인 엔진은 언더스퀘어(장행정 엔진) - 피스톤이 길고 날씬하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15.
피스톤 헤드 부분에 있는 홈(Heat dam)의 역할은?
가.
제 1 압축링을 끼우는 홈이다.
나.
열의 전도를 방지하는 홈이다.
다.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한 홈이다.
라.
응력을 집중하기 위한 홈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피스톤 헤드부의 열이 스커트부로 전달 되는것을 방지 [해설작성자 : 몰랑]
- 히트댐(Heat dam)의 역할은 피스톤 헤드부의 열이 스커트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 강에 있는 댐이 물을 막듯이, 히트댐은 열을 막는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16.
전자제어엔진의 연료펌프 내부에 있는 체크밸브(Check Valve)가 하는 역할은?
가.
차량이 전복 시 화재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나.
연료라인의 과도한 연료압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다.
인젝터에 가해지는 연료의 잔압을 유지시켜 베이퍼록 현상을 방지한다.
라.
연료라인에 적정 작동압이 상승될 때까지 시간을 지연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체크밸브는 유체가 한쪽으로만 흐르게 제어한다. 따라서, 연료의 공급 차단시 닫혀 연료라인 내의 잔압유지, 재시동성 향상, 베이퍼록을 방지한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17.
기관의 체적효율이 떨어지는 원인과 관계있는 것은?
가.
흡입 공기가 열을 받았을 때
나.
과급기를 설치할 때
다.
흡입 공기를 냉각할 때
라.
배기밸브보다 흡기밸브가 클 때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흡입 공기는 온도 상승시 밀도가 감소하므로, 노크를 유발 하거나 체적효율을 저하시킨다. [해설작성자 : 장도경]
- 공기를 가열하면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즉, 체적효율이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18.
디젤기관의 연소실 형식에서 직접분사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가.
분사노즐의 상태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나.
연소실 구조가 간단하다.
다.
냉시동이 용이하다.
라.
열효율이 좋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디젤기관의 직접분사식 연소실 형식의 장점은 연소실 구조가 간단하며 냉시동이 용이하며 열 효율이 좋고 연료소비율이 낮으나 사용연료에 민감하여 노크발생이 쉽다 [해설작성자 : 장도경]
2~3번은 직접분사 장점 1번은 단점 [해설작성자 : 곪]
◎ 직접분사실식의 특징 - 나, 다, 라, 항 이외에 연료소비량이 적다. - 연소실 표면적이 작아 냉각손실이 적다. - 기동이 쉬워 예열플러그가 필요 없다(히트레인지 설치) - 분사압력이 높아 분사펌프나 노즐의 수명이 짧다. - 사용연료의 변화에 민감하고 노킹발생이 쉽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19.
배기통에 설치되어 있는 지르코니아 산소센서(O2 sensor)가 배기 가스 내에 포함된 산소의 농도를 검출하는 방법은?
가.
기전력 변화
나.
저항력의 변화
다.
산화력의 변화
라.
전자력의 변화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산소센서는 배기관에 붙어있으며 배기가스 중의 산소농도차에 따라 전압(기전력)이 발생되면 이를 피드백하여 이론공연비로 제어해준다 [해설작성자 : 장도경]
◎ 지르코니아 산소센서의 특징 - 고체 전해질인 지르코니아 소자 양면에 백금전극을 설치하고 세라믹으로 코팅 - 센서 내부에는 대기가 접촉, 센서 외부에는 배기가스가 접촉하여 산소농도 차이에 따라 기전력이 발생되는 원리 - 공연비가 농후할 때 출력전압이 높아지고, 공연비가 희박할 때 출력전압이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20.
디젤 기관의 연료 세탄가와 관계없는 것은?
가.
세탄가는 기관성능에 크게 영향을 준다.
나.
옥탄가가 낮은 디젤 연료일수록 그의 세탄가는 높다.
다.
세탄가가 높으면 착화지연시간을 단축시킨다.
라.
세탄가란 세탄과 알파 메틸 나프탈린의 혼합액으로 세탄의 함량에 따라서 다르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디젤연료에는 옥탄가와는 관계가 없다. 옥탄가와 관계있는 연료는 가솔린연료 입니다. [해설작성자 : 명범]
<문제 해설> - 퍼지컨트롤 밸브(PCSV) : 캐니스터에 포집된 연료증발가스를 흡기다기관으로 유입하도록 제어 - 차콜 캐니스터 : 활성탄을 봉입하여 연료 증발가스를 포집 - EGR 장치 :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다기관으로 재순환시켜 연소온도를 낮춤으로써 질소산화물 저감 - 가변밸브 타이밍 제어장치(CVVT) : 엔진 회전수 변화에 따라 밸브 개폐시기를 진각, 지각 제어하여 출력 상승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22.
LP 가스 용기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폭발 등의 위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가.
안전밸브
나.
과류방지밸브
다.
긴급 차단 밸브
라.
과충전 방지 밸브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안전밸브 : 봄베 내부의 압력이 규정값 이상이 되면 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여 봄베 파손을 방지 - 과류방지밸브 : 가스 배관의 손상시 연료가 과도하게 흐르면 밸브가 닫혀 연료의 유출을 방지 - 긴급차단밸브 : 고압가스 설비의 이상사태가 발생할 때 해당설비를 신속히 차단 - 과충전 방지밸브 : 봄베 용적의 85% 이상 충전되면 충전통로를 막아 과충전을 방지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 열선식, 열막식(핫와이어, 핫필름) : 공기의 질량유량에 의해 흡입공기량을 직접 검출 - 칼만와류식 : 소용돌이의 수를 초음파 변조에 의해 검출하여 공기유량을 감지(체적유량 검출방식) - 베인방식 : 흡입공기량을 포텐쇼미터(메저링 플레이트)에 의해 전압비로 검출(체적유량 검출방식) - MAP 센서 : 흡기다기관의 절대압력을 검출(간접계측, D제트로닉)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24.
자동차의 중량을 액슬 하우징에 지지하여 바퀴를 빼지 않고 액슬축을 빼낼 수 있는 형식은?
가.
반부동식
나.
전부동식
다.
분리 차축식
라.
3/4 부동식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반부동식 : 차축이 차량 하중의 1/2을 지지 - 전부동식 : 차축 하우징이 차량 하중의 전부를 지지하고 차축은 동력만 전달하므로, 바퀴를 빼지 않고 액슬축 탈거 가능 - 3/4부동식 : 차축이 차량 하중의 1/3을 지지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25.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TCU(Transaxle Control Unit)에 입력되는 신호가 아닌 것은?
가.
인히비터 스위치
나.
스로틀 포지션 센서
다.
엔진 회전수
라.
휠 스피드센서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휠스피드 센서는 ABS ECU에 입력
[추가 해설] - TCU에 입력되는 신호에는 가, 나, 다, 항 이외에 스로틀 위치센서(TPS), 펄스 제너레이터(A,B), 수온센서(WTS), 가속스위치, 오버드라이브 스위치, 킥다운서보 스위치, 차속리드 스위치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26.
자동변속기에서 일정한 차속으로 주행 중 스로틀 밸브 개도를 갑자기 증가시켜 시프트 다운(감속 변속)되어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은?
가.
스톨
나.
킥 다운
다.
킥 업
라.
리프트 풋업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킥다운 현상 : 가속페달을 끝까지 밟았을 때 현재의 주행단수에서 강제적으로 시프트다운(하향변속)하여 가속력을 증대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27.
수동변속기 차량의 클러치판에서 클러치 접속 시 회전충격을 흡수하는 것은?
가.
쿠션스프링
나.
댐퍼스프링
다.
클러치스프링
라.
막스프링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댐퍼스프링 = 완충 스프링을 말한다. ELC A/T의 댐퍼 스프링을 조합하여 댐퍼 클러치 자체에 토크 변동 흡수 기능을 갖게 한 것이다. 원활한 주행 감각을 유지하면서 토크 컨버터의 슬립 양은 절감시켜 저연비를 실현시켰다. [해설작성자 : ds2qgd]
- 쿠션스프링 : 클러치 접속시 수직방향의 충격을 흡수 - 댐퍼스프링(비틀림 코일스프링) : 클러치 접속시 발생하는 회전충격 흡수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28.
전자제어 제동장치(ABS)에서 바퀴가 고정(잠김)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은?
가.
브레이크 드럼
나.
하이드로릭 유니트
다.
휠 스피드 센서
라.
ABS-E.C.U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휠 스피드 센서 : 영구자석과 코일로 구성되어 바퀴의 회전상태, 잠김을 감지하여 ECU로 입력 - ABS ECU : 휠 스피드 센서의 신호에 의해 바퀴가 잠기지 않도록 하이드롤릭 유닛을 제어 - 하이드로릭 유닛 : ECU의 제어를 통해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압력을 감소, 유지)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문제 해설> - 기관의 회전수를 높여주는 것은 변속기가 아닌 가속장치(악셀레이터)이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31.
자동차가 주행 중 앞 부분에 심한 진동이 생기는 현상인 트램핑(tramping)의 주된 원인은?
가.
적재량 과다
나.
토숀바 스프링 마멸
다.
내압의 과다
라.
바퀴의 불 평형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 바퀴의 정적 불평형이 트램핑 현상을 발생시킨다.(바퀴의 상하진동) - 바퀴의 동적 불평형이 시미 현상을 발생시킨다.(바퀴의 좌우진동)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32.
주행 중 타이어의 열 상승에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은?
가.
주행속도 증가
나.
하중의 증가
다.
공기압의 증가
라.
주행거리 증가(장거리 주행)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타이어의 열상승의 원인은 가, 나, 라, 항 이외에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을 때 이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33.
전자제어 현가장치(ECS)에서 보기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가.
안티 스쿼트 제어
나.
안티 다이브 제어
다.
안티 롤 제어
라.
안티 시프트 스쿼트 제어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안티 스쿼트 : 급출발, 급가속시 차량의 앞쪽이 들리는 현상 - 안티 다이브 : 주행 중 급제동시 차량의 앞쪽이 가라앉는 현상 - 안티 롤 : 주행 중 선회시 원심력에 의해 차량이 좌, 우로 치우치는 현상 - 안티 바운싱 : 주행 중 차량이 상하로 튀는 현상 - 안티 피칭 : 주행 중 차량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시소와 같이 움직이는 현상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34.
동력조향장치에서 오일펌프에 걸리는 부하가 기관 아이들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경우 오일펌프 압력 스위치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가.
유압을 더욱 다운 시킨다.
나.
부하를 더욱 증가 시킨다.
다.
기관 아이들링 회전수를 증가 시킨다.
라.
기관 아이들링 회전수를 다운 시킨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 파워스티어링 오일압력 스위치는 ISC(공회전 속도 조절장치)와 마찬가지로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켜 아이들링 안정화를 해준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35.
자동변속기 차량의 토크컨버터 내부에서 고속회전 시 터빈과 펌프를 기계적으로 직결시켜 슬립을 방지하는 것은?
가.
스테이터
나.
댐퍼 클러치
다.
일방향 클러치
라.
가이드 링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 스테이터 : 토크컨버터 내부에 설치되어 오일의 흐름방향을 펌프의 회전방향 쪽으로 바꿔 토크를 증대 - 댐퍼 클러치(록업클러치) : 동력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유체클러치가 아닌 펌프와 터빈을 기계적으로 직결(마찰클러치) - 일방향 클러치 : 스테이터, 유성기어 캐리어에 장착되어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이 전달 - 가이드링 : 유체클러치 내부에 오일의 맴돌이 흐름(와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36.
제동 배력 장치에서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하이드로백 내의 작동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공기 밸브는 닫힌다.
나.
진공 밸브는 닫힌다.
다.
동력 피스톤이 하이드로릭 실린더 쪽으로 움직인다.
라.
동력 피스톤 앞쪽은 진공상태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진공밸브와 공기밸브의 작동 -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진공밸브는 닫히고, 공기밸브는 열린다. [해설작성자 : 명범]
- 하이드로백은 흡기다기관의 부압과 대기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브레이크의 조작력을 증대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37.
일반적인 브레이크 오일의 주성분은?
가.
윤활유와 경유
나.
알콜과 피마자 기름
다.
알콜과 윤활유
라.
경유와 피마자 기름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브레이크 오일은 피마자 기름에 알콜 등의 용제를 혼합한 식물성 오일
[추가 해설]
- 브레이크 오일은 알콜(에틸렌글리콜)과 피마자 기름 - 브레이크 오일 성분 중에 에틸렌글리콜은 수분을 잘 흡수하여 베이퍼록 현상이 발생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38.
조향장치가 갖추어야 할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가.
조향 조작이 주행 중의 충격에 영향을 받지 않을 것
나.
조작하기 쉽고 방향 전환이 원활하게 행하여 질 것
다.
선회 시 저항이 적고 선회 후 복원선이 좋을 것
라.
조향 핸들의 회전과 바퀴 선회의 차가 클 것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 조향핸들의 회전과 바퀴의 선회(회전)의 차가 작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39.
유압식 브레이크장치에서 브레이크가 풀리지 않는 원인은?
가.
오일 점도가 낮기 때문
나.
파이프 내의 공기 혼입
다.
첵밸브의 접촉 불량
라.
마스터 실린더의 리턴구멍 막힘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브레이크가 풀리지 않는 원인 - 마스터 실린더 내부의 리턴 스프링 불량할 때 - 마스터 실린더 내부의 리턴구멍이 막혀 오일의 리턴이 불량할 때 - 드럼과 라이닝, 디스크와 캘리퍼가 소결시 - 브레이크 페달의 푸시로드가 너무 길어 페달의 유격이 작을 때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40.
증 감속 및 차동장치에서 구동피니언의 잇수가 6, 링기어의 잇수가 60, 추진축이 1000rpm 일 때 왼쪽바퀴가 150rpm이었다. 이 때 오른쪽 바퀴는 몇 rpm 인가?
가.
25 rpm
나.
50 rpm
다.
75 rpm
라.
100 rpm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종감속비 = 링기어의 잇수/구동피니언의 잇수 60/6 = 10
한쪽 바퀴의 회전 수 = 추진축 회전수/종 감속비 *2 - 다른쪽 바퀴의 회전수 = 1000/10 *2 -150
200- 150 = 50rpm [해설작성자 : 2021 군무원 차량직 준비중]
41.
2Ω, 3Ω, 6Ω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12V의 전압을 가하면 흐르는 전류는?
가.
1A
나.
2A
다.
3A
라.
12A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E = I * R I = E/R R = 1/(1/2+1/3+1/6) = 1 12(E) = 12(I)*1(R) I=12A
42.
자동차의 경음기에서 음질 불량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다이어램프의 균열이 발생하였다.
나.
전류 및 스위치 접촉이 불량하다.
다.
가동판 및 코어의 헐거운 현상이 있다.
라.
경음기 스위치 쪽 배선이 접지 되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 경음기 스위치 쪽의 배선이 접지 되었을 때에는 경음기를 작동하지 않아도 계속 소리가 난다. 즉, 음질 불량의 원인이 아니라 작동상태가 불량해진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43.
다음 전기 기호 중에서 트랜지스터의 기호는?
가.
나.
다.
라.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가 : 다이오드, 다 : 가변저항, 라 : 램프(전구)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44.
백워닝(후방경보) 시스템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차량 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이다.
나.
차량후방의 장애물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다.
다.
차량 후방의 장애물 감지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차속을 감속시킨다.
라.
차량 후방의 장애물 형상에 따라 감지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백워닝(후방경보)은 장애물 감지시 단순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는 장치이다. - 자동주차 보조시스템은 후방의 장애물 감지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차속을 감속해준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문제 해설> - 파워 트랜지스터(파워 TR)는 ECU의 신호에 따라 1차 전류를 단속(스위칭작용)하고, 증폭 작용을 한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47.
논리소자 중 입력신호 모두가 1일 때에만 출력이 1로 되는 회로는?
가.
NOT(논리부정)
나.
AND(논리곱)
다.
NAND(논리곱 부정)
라.
NOR(논리합 부정)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NOT(논리부정) : 1일때는 0, 0일때는 1로 반대로 출력 - AND(논리곱) : 입력신호가 모두 1일 때, 1이 출력 - NAND(논리곱 부정) : AND회로의 반대로 출력 - OR(논리합) : 입력신호가 하나라도 1일 때 1이 출력 - NOR(논리합 부정) : OR회로의 반대로 출력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48.
자동차용 배터리의 급속 충전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가.
배터리를 자동차에 연결한 채 중전할 경우, 접지(-) 터미널을 떼어 놓을 것
나.
충전 전류는 용량 값의 약 2배 정도의 전류로 할 것
다.
될 수 있는 대로 짧은 시간에 실시할 것
라.
충전 중 전해액 온도가 45℃ 이상 되지 않도록 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급속충전시 충전전류는 배터리 용량의 1/2 값으로 충전한다.(80Ah의 배터리의 경우 40A의 전류로 충전)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49.
자동차용 AC 발전기의 내부구조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가.
슬립링
나.
전기자
다.
어버러닝 클러치
라.
정류자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AC 발전기의 구성부품 : 스테이터, 로터, 슬립링 [해설작성자 : 명범]
AC발전기의 구성부품은 해설과 같이 3가지도 있지만 정류자라는 실리콘 다이오드도 추가해서 총 4가지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Who am I]
- 슬립링 : 교류(AC)발전기의 브러쉬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로터코일에 전류를 공급하여 전자석이 되게 한다. - 전기자 : 전동기(모터)의 회전자 부분(동력이 발생하는 부분) - 오버러닝 클러치 : 일방향 클러치로서 기동전동기의 회전력은 플라이휠로 전달하고, 플라이휠의 회전력이 전동기로 공급시 차단하여 기동전동기의 손상을 방지 - 정류자 : 전기자 끝부분에 위치하고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일정한 방향으로 바꿔준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50.
다음 그림과 같은 자동차 전원장치에서 IG1과 IG2로 구분된 이유로 옳은 것은?
가.
점화 스위치의 ON/OFF에 관계없이 배터리와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나.
START시에도 와이퍼회로, 전조등회로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다.
점화 스위치가 ST일 때만 점화코일, 연료펌프회로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라.
START시 시동에 필요한 전원이외의 전원을 차단하여 시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IG1 : 점화스위치가 ON 이상일 때 들어오는 전원으로, 스타트모터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전원이 나온다. - IG2 : 스타트모터가 회전할 때 전원이 끊긴다.(라이트를 점등하고 시동을 걸면 라이트가 꺼지고 시동 후 다시 켜진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51.
공기공구 사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공구 교체시에는 반드시 밸브를 꼭 잠그고 해야 한다.
나.
활동 부분은 항상 윤활유 또는 그리스를 급유한다.
다.
사용시에는 반드시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라.
공기공구를 사용할 때에는 밸브를 빠르게 열고 닫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공기공구를 사용할 때에는 에어라인의 밸브를 천천히 열고 닫는다.(파손방지)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52.
정밀한 기계를 수리할 때 부속품을 세척하기 위하여 가장 안전한 방법은?
가.
걸레로 닦는다.
나.
와이어 브러시를 사용한다.
다.
에어건을 사용한다.
라.
솔을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물기가 있는 걸레로 닦으면 좁은 부분은 닦지 못합니다 솔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부품에 기스또는 파손가능성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9/15 토요일]
- 가, 나, 라, 항은 모두 부속품과 접촉(마찰)하기 때문에 손상의 우려가 있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53.
산업현장에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인적문제와 물적 문제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다음 중 인적 문제에 해당되는 것은?
가.
기계 자체의 결함
나.
안전교육의 결함
다.
보호구의 결함
라.
작업 환경의 결함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인적문제는 안전교육의 결함, 근로자의 불안전 행동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54.
엔진 가동시 화재가 발생하였다. 소화작업으로 가장 먼저 취해야 할 안전한 방법은?
가.
모래를 뿌린다.
나.
물을 붓는다.
다.
점화원을 차단한다.
라.
엔진을 가속하여 팬의 바람으로 끈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 엔진 가동시 계속적으로 연료가 공급되기 때문에 엔진 시동부터 끄는게 우선이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55.
스패너 작업시 가장 안전한 작업방법은?
가.
고정 조오에 가장 힘이 많이 걸리도록 한다.
나.
볼트머리보다 약깐 큰 스패너를 사용한다.
다.
스패너 자루에 파이프를 끼워서 사용한다.
라.
가동 조오에 가장 힘이 많이 걸리도록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고정 조오(Jaw)는 스패너 바디부분과 일체이기 때문에 힘을 많이 받아도 파손의 우려가 적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고정 조오에 -> 고정조에
56.
자동창서 와이퍼 장치 정비 시 안전 및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가.
전기회로 정비 후 단자결선은 사전에 회로 시험기로 측정 후 결선한다.
나.
와이퍼 전동기의 기어나 캠 부위에 세정액을 적당히 유입시켜야 한다.
다.
블레이드가 유리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작동 시험을 할 수 있다.
라.
겨울철에는 동절기용 세정액을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 와이퍼 전동기의 기어(gear)나 캠(cam) 부위에는 세정액이 아닌 그리스나 윤활제를 유입시켜야 한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자동차에서 인데 자동창서 라고 오타났습니다
[관리자 입니다. 자동차에서인지 자동창에서 인지 애매하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57.
부동액의 점검은 무엇으로 측정하는가?
가.
마이크로미터
나.
비중계
다.
온도계
라.
압력게이지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 부동액 비중, 배터리 전해액 비중 등은 비중계로 측정을 한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58.
자동변속기 분해 조립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가.
작업 시 청결을 유지하고 작업한다.
나.
분해된 모든 부품은 걸레로 닦아낸다.
다.
클러치판, 브레이크 디스크는 자동변속기 오일로 세척 한다.
라.
조립 시 개스킷, 오일 실 등은 새 것으로 교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분해된 모든 부품은 걸레로 닦을 필요가 없다. 정밀 조립 작업시에는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청소를 하는게 더 청결한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59.
자동차 정비 작업 시 안전 및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가.
기관 운전 시는 일산화탄소가 생성되므로 환기장치를 해야 한다.
나.
헤드 개스킷이 닿는 표면에는 스크레이퍼로 큰 압력을 가하여 깨끗이 긁어낸다.
다.
점화 플러그의 청소시는 보안경을 쓰는 것이 좋다.
라.
기관을 들어낼 때 체인 및 리프팅 브라켓은 무게 중심부에 튼튼히 걸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스크레이퍼로 큰 압력을 가하면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브러쉬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카닷tv(자동차정비)]
60.
자동변속기와 같이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때의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
가.
인력으로 운반시 다른 사람과 협조하여 조심성 있게 운반한다.
나.
체인 블럭이나 리프트를 이용한다.
다.
작업장에 내려놓을 때에는 충격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라.
반드시 혼자 힘으로 운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중장비 및 다른 인원의 도움 없이 혼자 힘으로 작업하려고 하면 오히려 더 심각한 사고를 당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②
③
③
②
③
②
③
④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②
②
③
②
③
①
①
①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①
③
②
④
②
②
③
②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④
③
③
③
②
①
②
④
④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④
②
③
②
③
②
②
①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③
②
③
①
②
②
②
②
④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8일(2회)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동차정비기능사, 기출문제, 자동차정비, 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