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연료 압력 조절기는 흡기다기관 내의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연료 분사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고속에서는 연료 분사량이 많기 때문에 작동하지 않으나 저속 회전에서는 연료 소비량이 적으므로 과잉의 연료는 연료 탱크로 되돌려보내 엔진의 회전 속도와 관계없이 연료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담희맘]
5.
흡기다기관의 진공시험 결과 진공계의 바늘이 20~40 ㎝Hg 사이에서 정지되었다면 가장 올바른 분석은?
가.
엔진이 정상일 때
나.
피스톤링이 마멸되었을 때
다.
밸브가 소손 되었을 때
라.
밸브 타이밍이 맞지 않을 때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흡기 다기관 진공도 시험의 목적은 점화시기 밸브 작동 상태, 배기장치 막힘 등의 점검이다.
준비사항 1. 엔진을 가동하여 정상운전 온도로 한다. 2. 엔진 정지 후 다기관의 진공 구멍에 진공게이지 호스를 연결한다. 3. 공회전 상태에서 진공계 눈금으로 판독한다.
판정 방법 1. 정상 : 공전상태에서 약 45~50cmHg 에서 정지하거나 조용히 움직임 2. 실린더 벽, 피스톤 링 마모 : 30~40cmHg에서 정지 3. 밸브 타이밍(개폐시기)이 맞지 않음 : 20~40cmHg에서 정지 4. 밸브 밀착 불량 및 점화시기 지연 : 정상보다 5~8cmHg 낮음 5. 실린더헤드 개스킷 파손 : 13~45Hg 6. 밸브 소손 : 정상보다 5~8cmHg 정도 낮음. 7. 배기장치 막힘: 조기 정상에서 0으로 하강 후 다시 회복하여 40~43cmHg [해설작성자 : 기]
6.
디젤 분사펌프시험기로 시험할 수 없는 것은?
가.
연료 분사량 시험
나.
조속기 작동시험
다.
분사시기의 조정시험
라.
디젤기관의 출력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디젤엔진의 분사 펌프 시험기의 시험 항목 연료 분사량, 조속기 작동, 분사시기의 조정, 자동 타이머 조정, 연료공급펌프 [해설작성자 : 기능사화이팅]
<문제 해설> 대시 포트는 급감속 시 스로틀 밸브를 천천히 닫아 CO의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시동꺼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해설작성자 : 11AD 현장계]
8.
기관 연소실 설계시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가.
화염전파에 요하는 시간을 가능한 짧게 한다.
나.
가열되기 쉬운 돌출부를 두지 않는다.
다.
연소실의 표면적이 최대가 되게 한다.
라.
압축행정에서 혼합기에 와류를 일으키게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3. 연소실의 표면적이 최소가 되게 한다.
9.
다음 중 흡입 공기량을 계량하는 센서는?
가.
에어플로 센서
나.
흡기온도 센서
다.
대기압 센서
라.
기관 회전속도 센서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에어플로 센서(AFS) 는 에어클리너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 공기량을 측정한 후 ECU에 보낸다. [해설작성자 : 11AD 현장계]
10.
4행정 기관의 행정과 관계없는 것은?
가.
흡입 행정
나.
소기 행정
다.
배기 행정
라.
압축 행정
정답 : [
2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소기행정은 2행정과 관계 [해설작성자 : 운전직 9급 준비생]
11.
사용 중인 라디에이터에 물을 넣으니 총 14L 가 들어갔다. 이 라디에이터와 동일 제품의 신품 용량은 20L라고 하면, 이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은 몇 %인가?
가.
20%
나.
25%
다.
30%
라.
35%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신품용량-총들어간용량 ------------------*100 신품용량
따라서 20-14/20*100=30% [해설작성자 : 까니]
12.
커넥팅로드 길이가 150 ㎜, 피스톤의 행정이 100㎜ 라면 커넥팅로드 길이는 크랭크 회전반지름의 몇배가 되는가?
가.
1.5배
나.
3배
다.
3.5배
라.
6배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피스톤 행정이라 함은 상사점에서 하사점까지의 거리(100mm)를 말하므로, 크랭크 축 회전지름의 반지름은 50mm이 된다. 따라서 150÷50 = 3 3배이다. [해설작성자 : 기능사화이팅]
13.
기관의 실린더(cylinder) 마멸량 이란?
가.
실린더 안지름의 최대 마멸량
나.
실린더 안지름의 최대 마멸량과 최소 마멸량의 차이 값
다.
실린더 안지름의 최소 마멸량
라.
실린더 안지름의 최대 마멸량과 최소 마멸량의 평균 값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실린더 마멸량이란 실린더 안지름의 최대 마멸량과 최소 마멸량의 차이값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기능사화이팅]
14.
자동차 배출 가스의 구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블로바이 가스
나.
연료증발 가스
다.
배기 가스
라.
탄산 가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탄산가스탄산가스는 식품공업에서는 탄산음료, 탄산수의 제조에 이용된다. 고형의 탄산가스는 드라이아이스라 부르고 -80℃의 저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냉각제로 널리 이용된다. 액화탄산 가스도 냉각제로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서연아빠]
블로바이 가스 : 실린더 벽 또는 피스톤 링 마모 등으로 인해 압축 또는 폭발 가스가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로 새는 것을 말한다. 블로바이 가스 저감장치 : PCV 밸브 급감속(저부하) : PCV 밸브가 열려 블로바이 가스가 서지탱크로 유입 급가속(고부하) : 블리더 호스를 통하여 서지탱크로 유입 연료 증발 가스 : 주 성분은 탄화수소(HC)로 연료장치의 가솔린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가스를 말한다. 연료증발가스 저감장치 : 캐니스터 -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하였다가 엔진이 워밍업 되었을때 PCSV 제어에 의하여 흡기다기관을 통해 재연소 배기가스 : 피스톤 행정이 끝난 후 배기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기능사화이팅]
15.
디젤기관의 분사노즐에 관한설명으로 옳은것은?
가.
분사개시 압력이 낮으면 연소실 내에 카아본 퇴적이 생기기 쉽다.
나.
직접 분사실식의 분사개시 압력은 일반적으로 100-120kgf/㎠이다.
다.
연료 공급펌프의 송유압력이 저하하면 연료 분사압력이 저하한다.
라.
분사개시 압력이 높으면 노즐의 후적이 생기기 쉽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분사개시 압력이 낮으면 연소실 내에 카본 퇴적이 생기기 쉬우며, 직접 분사실식의 분사압력은 일반적으로 200~300kgf/cm2 이다. [해설작성자 : 11AD 현장계]
16.
스프링 정수가 2kgf/㎜ 인 자동차 코일 스프링을 3㎝ 압축하려면 필요한 힘은?
가.
6 kgf
나.
60 kgf
다.
600 kgf
라.
6000kgf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0.2x3x100 [해설작성자 : 한국지엠태훈]
k = F/x k : 스프링정수(kgf/mm) F : 스프링에 작용하는 힘(kgf) x : 스프링의 변형량(mm)
∴ 2 * 30(cm을 mm으로 단위변환) = 60kgf [해설작성자 : 기능사화이팅]
17.
크랭크 핀 축받이 오일 간극이 커졌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가.
유압이 높아진다.
나.
유압이 낮아진다.
다.
실린더 벽에 뿜어지는 오일이 부족해진다.
라.
연소실에 올라가는 오일의 양이 적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유압이 낮아지는 원인 1. 유압조절밸브 스프링 장력 저하 2. 베어링 마모로 오일간극이 커졌을 때 3. 오일의 희석 및 점도 저하 4 오일부족 5. 오일펌프 불량 및 유압회로의 누설 [해설작성자 : 11AD 현장계]
크랭크 핀 축받이 오일간극이란 크랭크축 메인 저널과 베어링 간극을 말한다.
메인저널과 베어링 간극이 커지게 되면 1. 윤활유가 많이 소모되며 유압이 떨어진다. 2. 오일이 누설되어 백색 연기가 배출된다. 3. 피스톤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으므로 타음이 난다.(노킹) [해설작성자 : 기능사화이팅]
18.
윤활장치 내의 압력이 지나치게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회로 내의 유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은 ?
가.
오일 펌프
나.
유압 조절기
다.
오일 여과기
라.
오일 냉각기
정답 : [
2
] 정답률 : 88%
19.
가솔린 옥탄가를 측정하기 위한 가변압축비 기관은?
가.
카르노 기관
나.
CFR 기관
다.
린번 기관
라.
오토사이클 기관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연료의 옥탄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압축비를 임의로 변화시킬수 있는 가변압축 기관
20.
디젤기관에 사용되는 경유의 구비조건은?
가.
점도가 낮을 것
나.
세탄가가 낮을 것
다.
유황분이 많을 것
라.
착화성이 좋을 것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체크밸브 :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이다 !!역류방지..(역류방지 나오면 무조건 체크밸브) 거버너 밸브 : 조속기라고 하고요,, 자동차의 속도에 알맞은 오일의 압력을 형성하기 위한 밸브,, 자동변속기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있어요. 메뉴얼 밸브 :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는 시프트 레버(변속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용 밸브로서, 오일 라인에 압력을 P, R, N, D, 2, L 레인 인에 따라 작동 부분에 유도된다. [해설작성자 : 서연아빠]
레귤레이터 밸브:오일필터와 오일쿨러를 통해 오일 주요 저장 통로로 흐르는 오일 압력을 조정 [해설작성자 : 운전직 9급 준비생]
<문제 해설> 주차 브레이크 점등 조건 주차브레이크가 당겨져 있을 떄,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때, EBD시스템에 결함이 발생했을 때 [해설작성자 : 11AD 현장계]
EBD 시스템 승차인원이나 적재하중에 맞추어 앞뒤 바퀴에 적절한 제동력을 자동으로 배분함으로ㅓ써 안정된 브레이크 성능을 바휘할 수 있게 하는 전자식 제동력 분배 시스템이다. 기존 차량은 프로포셔닝 밸브에 의해 앞뒤 브레이크에 정해진 비율로 제어하지만, EBD는 센서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외에 차량 자세, 적재 하중 변화, 노면상태 등을 고려하여 앞뒤 브레이크 배분을 제어, 제동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동거리를 단축시킨다. [해설작성자 : 기능사화이팅]
49.
자동차용 축전지의 비중이 30℃에서 1.276이었다 기준 온도 20℃에서의 비중은?
가.
1.269
나.
1.275
다.
1.283
라.
1.290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S20=St+0.0007(t-20)
S20: 표준 온도 20C로 환산한 비중 St: t에서 실제 측정한 비중 t: 측정할 때 전해에 온도
1.276+0.0007*(30-20)
50.
쿨롱의 법칙에서 자극의 강도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가.
자석의 양끝을 자극이라 한다.
나.
두 자극 세기의 곱에 비례한다.
다.
자극의 세기는 자기량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라.
거리에 비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거리에 반비례합니다. [해설작성자 : 서기훈]
51.
작업 현장의 안전표시 색채에서 재해나 상해가 발생하는 장소의 위험 표시로 사용되는 색채는?
가.
녹색
나.
파랑색
다.
주황색
라.
보라색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빨간색 : 금지, 긴급정지 노란색 : 주위, 경고 주황색 : 위험 파랑색 : 주의, 지시 보라색 : 방사능 위험 [해설작성자 : 행공사]
52.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시설점검의 가장 큰 이유는?
가.
위해요소를 사전점검하여 조치한다.
나.
시설장비의 가동상태를 점검한다.
다.
공장의 시설 및 설비 레이아웃을 점검한다.
라.
작업자의 안전교육 여부를 점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53.
임팩트 렌치의 사용 시 안전 수칙으로 거리가 먼 것은?
가.
렌치 사용시 헐거운 옷은 착용하지 않는다.
나.
위험 요소를 항상 점검한다.
다.
에어 호스를 몸에 감고 작업을 한다.
라.
가급적 회전 부에 떨어져서 작업을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에어호스를 몸에 감고 작업을 할 시 간지는 날 수 있으나 결코 안전하다고 할 수 없겠죠 ㅋㅋㅋㅋㅋ [해설작성자 : 서기훈]
54.
조정렌치의 사용방법이 틀린 것은?
가.
조정너트를 돌려 조(jaw)가 볼트에 꼭 끼게한다.
나.
고정 조에 힘이 가해지도록 사용해야 한다.
다.
큰 볼트를 풀 때는 렌치 끝에 파이프를 끼워서 세게 돌린다.
라.
볼트 너트의 크기에 따라 조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55.
일반적인 기계 동력 전달 장치에서 안전상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가.
기어가 회전하고 있는 곳은 뚜껑으로 잘 덮어 위험을 방지한다.
나.
천천히 움직이는 벨트라도 손으로 잡지 않는다.
다.
회전하고 있는 벨트나 기어에 필요 없는 접근을 금한다.
라.
동력전달을 빨리하기 위해 벨트를 회전하는 풀리에 손으로 걸어도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회전중인 물체에 손들 대면...잘못하면 손목이 절단될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관리자인 제가 봐도 알꺼같네요..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6.
전자제어 가솔린 기관의 실린더 헤드 볼트를 규정대로 조이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가.
냉각수의 누출
나.
스로틀 밸브의 고착
다.
실린더 헤드의 변형
라.
압축가스의 누설
정답 : [
2
] 정답률 : 65%
57.
ECS(전자제어 현가장치) 정비 작업시 안전작업 방법으로 틀린 것은?
가.
차고조정은 공회전 상태로 평탄하고 수평인 곳에서 한다.
나.
배터리 접지단자를 분리하고 작업한다.
다.
부품의 교환은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작업한다.
라.
공기는 드라이어에서 나온 공기를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58.
회로 시험기로 전기회로의 측정 점검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가.
테스트 리드의 적색은 +단자에, 흑색은 –단자에 연결한다.
나.
전류측정시는 테스터를 병렬로 연결하여야한다.
다.
각 측정 범위의 변경은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한다.
라.
저항 측정시엔 회로전원을 끄고 단품은 탈거한 후 측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회로에 직렬로 테스터기를 연결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러]
59.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TPMS)의 점검, 정비 시 잘못 된 것은?
가.
타이어 압력센서는 공기 주입 밸브와 일체로 되어있다.
나.
타이어압력센서 장착용 휠은 일반 휠과 다르다.
다.
타이어 분리 시 타이어 압력센서가 파손되지 않게 한다.
라.
타이어 압력센서용 배터리 수명은 영구적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60.
자동차 정비 작업시 작업복상태로 적합한것은?
가.
가급적 주머니가 많이 붙어 있는 것이 좋다.
나.
가급적 소매가 넓어 편한 것이 좋다.
다.
가급적 소매가 없거나 짧은 것이 좋다.
라.
가급적 폭이 넓지 않은 긴바지가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적합한 작업복 상태는 가급적 소매가 없거나 짧은 것이 좋습니다 [해설작성자 : siwon]
[오류신고 반론] 소매가 없으면 팔부분에 스크래치 같은 긁힘 상처가 생길수도 있겠지요?? 그래서 정답이 더 가까운것은 4번! [해설작성자 : 궤도핑핑이]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④
③
③
④
④
②
③
①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②
②
④
①
②
②
②
②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①
④
③
④
①
②
①
①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②
④
③
④
②
②
③
①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④
④
②
①
②
④
③
③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①
③
③
④
②
③
②
④
④
자동차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1월26일(1회)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동차정비기능사, 기출문제, 자동차정비, 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