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산소병은 40도 이하 온도에서 보관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Brueracer]
2.
맞대기 용접이음에서 모재의 인장강도는 450Mpa이며, 용접 시험편의 인장강도가 470Mpa일 때 이음효율은 약 몇%인가?
가.
104
나.
96
다.
60
라.
69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이음효율 구하는 공식입니다. 용접부 인장강도 / 모재의 인장강도 X 100% 입니다. 470과 450을 나누게 되면 1.0444444가 나오게 되지요 1.04 X 100%를 하게 되면 104%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신교대 윤하사]
3.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용융형 용제에서 입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용제의 입도는 발생 가스의 방출상태에는 영향을 미치나, 용제의 용융성과 비드형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나.
가는 입자일수록 높은 전류를 사용해야 한다.
다.
거친 입자의 용제에 높은 전류를 사용하면 비드가 거칠어 기공, 언더컷 등이 발생한다.
라.
가는 입자의 용제를 사용하면 비드 폭이 넓어지고, 용입이 얕아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용융형 용제는 광물성 원료를 전기로에서 1300도 이상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응고시켜 분쇄한 뒤 적당한 입도로서 만든 것으로서 20메시 정도의 미세한 가루이다. 미세한 입자일수록 비드폭이 넓고 용입이 깊으며 비드의 모양이 아름답다 [해설작성자 : 엘리트기계]
4.
플라스마 아크 용접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전류 밀도가 크고 용접속도가 빠르다.
나.
기계적 성질이 좋으며 변형이 적다.
다.
설비비가 적게 든다.
라.
1층으로 용접할 수 있으므로 능률적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설비비가 적게 든다"가 아니고 설비비가 많이 듭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통합짱 마도현]
5.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용제 중 흡습성이 높아 보통 사용 전에 150~300℃에서 1시간 정도 재건조해서 사용하는 것은?
가.
용제형
나.
혼성형
다.
용융형
라.
소결형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 사용하는 용제의 종류에는 용융형, 소결형, 혼성형이 있는데, 용융형은 흡습성이 가장 작고 소결형에 비해 좋은 비드를 얻는다. 소결형은 흡습성이 가장 크고 혼성형은 중간 특성을 갖는다. [해설작성자 : 기공대장]
6.
CO2 가스 아크 용접에서 용제가 들어있는 와이어 CO2 법의 종류에 속하지 않은 것은?
가.
솔리드 아크법
나.
유니언 아크법
다.
퓨즈 아크법
라.
아코스 아크법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와이어 CO2 법의 종류 유니언 아크법 퓨즈 아크법 아코스 아크법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키왕짱 마도현]
7.
가스 절단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가.
적당한 지그를 사용하여 절단재의 이동을 구속한다.
나.
절단에 의하여 변형되기 쉬운 부분을 최후까지 남겨놓고 냉각하면서 절단한다.
다.
여러 개의 토치를 이용하여 평행 절단한다.
라.
가스 절단 직후 절단물 전체를 650℃로 가열한 후 즉시 수냉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8.
MIG용접에 사용되는 보호가스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가.
순수 아르곤 가스
나.
아르곤-산소 가스
다.
아르곤-헬륨 가스
라.
아르곤-수소 가스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MIG 용접(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용접) 보호가스의 종류 •아르곤 •헬륨 •아르곤 - 헬륨 •아르곤 - 산소 •아르곤 - 탄산가스 •아르곤 - 헬륨 - 탄산가스 [해설작성자 : Infrai]
9.
아크용접작업에 의한 재해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가.
감전
나.
화상
다.
전광성 안염
라.
전도
정답 : [
4
] 정답률 : 77%
10.
다음 중 응력제거 방법에 있어 노내 풀림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일반 구조물 압연강재의 노내 및 국부 풀림의 유지 온도는 725± 50℃이며, 유지시간은 판 두께 25mm에 대하여 5시간 정도이다.
나.
잔류응력의 제거는 어떤 한계 내에서 유지온도가 높을수록 또 유지시간이 길수록 효과가 크다.
다.
보통 연강에 대하여 제품을 노내에서 출입시키는 온도는 300℃를 넘어서는 안 된다.
라.
응력제거 열처리법 중에서 가장 잘 이용되고 또 효과가 큰 것은 제품 전체를 가열로 안에 넣고 적당한 온도에서 얼마동안 유지한 다음 노내에서 서냉하는 것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625플러스,마이너스 25미리당 1시간 입니다 [해설작성자 : 다마저]
11.
금속 아크 용접시 지켜야 할 유의사항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가.
작업시 전류는 적절하게 조절하고 정리 정돈을 잘하도록 한다.
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메인 스위치를 작동시킨 후에 용접기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다.
작업이 끝나면 항상 메인 스위치를 먼저 끈 후에 용접기 스위치를 꺼야 한다.
라.
아크 발생 시에는 항상 안전에 신경을 쓰도록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작업을 시작하기전에는 메인스위치를 작동시킨 후 용접기 스위치를 작동 시킵니다. 그렇다면 끝났을때는 시작할때 작동방법의 역순이겠죠? [해설작성자 : 신교대 윤하사]
12.
가연물 중에서 착화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가.
수소(H2)
나.
일산화탄소(CO)
다.
아세틸렌(C2H2)
라.
휘발유(gasoline)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연물중 착화온도가 가장 높은것은 일산화탄소이며 온도는 609ºC 이며 가장 낮은것은 휘발류이며 온도는300ºC 입니다 [해설작성자 : 진푸]
13.
일반적으로 MIG 용접의 전류 밀도는 아크 용접의 몇 배 정도 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해설> 후진법은 앞부분이 용접열로 다시 가열되므로 천천히 식음. [해설작성자 : 나공 박실장]
35.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제가 연소 후 생성된 물질이 용접부를 어떻게 보호하는가에 따라 분류한 것이 아닌 것은?
가.
가스 발생식
나.
슬래그 생성식
다.
구조물 발생식
라.
반가스 발생식
정답 : [
3
] 정답률 : 62%
2과목 : 용접재료
36.
다음 자기 불림(magnetic blow)은 어느 용접에서 생기는가?
가.
가스 용접
나.
교류 아크 용접
다.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라.
직류 아크 용접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자기불림은 직류 아크 용접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며 방지책으로는 교류아크 용접기를 사용하면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자기 불림(Magnetic Blow)은 직류 전류가 흘러 자기장 발생 → 아크 쏠림 방지법: 교류로 변경, 후퇴법, 아크 짧게 유지 등 [해설작성자 : 나주 박현범실장]
37.
아크 에어 가우징에 사용되는 압축공기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가.
압축 공기의 압력은 2~3kgf/cm2 정도가 좋다.
나.
압축 공기의 분사는 항상 봉의 바로 앞에서 이루어져야 효과적이다.
다.
약간의 압력 변동에도 작업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한다.
라.
압축 공기가 없을 경우 긴급시에는 용기에 압축된 질소나 아르곤 가스를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압축 공기의 압력은 6~7kgf/cm2 정도가 좋습니다. 압축 공기의 분사는 봉의 뒤에서 분출시켜 용융 금속을 밀어내어 홈가공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일마고2기학생회장]
38.
다음 용접자세에 사용되는 기호 중 틀리게 나타낸 것은?
가.
F : 아래보기 자세
나.
V : 수직 자세
다.
H : 수평 자세
라.
O : 전 자세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전자세 : Ap [해설작성자 : Sm3530]
39.
텅스텐 전극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및 구리합금, 스테인리스강 등의 절단에 사용되는 것은?
가.
TIG 절단
나.
MIG 절단
다.
탄소 절단
라.
산소 아크 절단
정답 : [
1
] 정답률 : 64%
40.
철강의 종류는 Fe-C 상태도의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가?
가.
질소 함유량
나.
탄소 함유량
다.
규소 함유량
라.
크롬 함유량
정답 : [
2
] 정답률 : 78%
41.
다음 중 알루미늄 합금이 아닌 것은?
가.
라우탈(lautal)
나.
실루민(silumin)
다.
두랄루민(duralumin)
라.
켈밋(kelmet)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켈밋 : 구리와 납의 합금 [해설작성자 : 용접사]
42.
질화처리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침탄에 비해 높은 표면 경도를 얻을 수 있다.
나.
고온에서 처리되어 변형이 크고 처리시간이 짧다.
다.
내마모성이 커진다.
라.
내식성이 우수하고 피로 한도가 향상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질화법 강의 표면에 질소를 침투시켜 경화시키는 방법 1. 침탄법 보다 경도가 높음 2. 열처리가 필요없으며 고온 가열 후 경도가 낮아지지 않는다. 3. 내마모성, 내열성, 내식성을 증가시킨다. [해설작성자 : Infrai]
43.
주철의 성장 원인이 아닌 것은?
가.
Fe3C 흑연화에 의한 팽창
나.
불균일한 가열로 생기는 균열에 의한 팽창
다.
흡수되는 가스의 팽창으로 인해 항복되어 생기는 팽창
라.
고용된 원소인 Mn의 산화에 의한 팽창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주철을 가열(900℃)시켜 냉각하는 조작을 반복하면 점차 체적이 커지며 변형된다. 이 같은 현상을 주철의 성장이라 한다. 성장의 원인은 시멘타이트(Fe3C)의 흑연화 때문이며, Si가 용적이 큰 산화물을 만드는 것과 A1 변태점을 통과할 때마다 흑연 부분이 가는 균열을 일으켜 성장이 진행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것은 주철의 성장과 그 성분에 따라 다르며, Si와 흑연은 이를 촉진하고, P와 Mn은 이를 감소시킨다. 또 성장을 방지하려면 성분에 Cr을 첨가시키면 좋다. 주철의 성장은 주철을 높은 온도로 사용할 때 큰 문제가 된다 [해설작성자 : 모심기]
44.
Cr-Ni계 스테인리스강의 결함인 입계 부식의 방지책 중 틀린 것은?
가.
탄소량이 적은 강을 사용한다.
나.
300℃ 이하에서 가공한다.
다.
Ti을 소량 첨가한다.
라.
Nb를 소량 첨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5%
45.
구리의 물리적 성질에서 용융점은 약 몇 ℃ 정도인가?
가.
660℃
나.
1083℃
다.
1528℃
라.
3410℃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660℃ - 알루미늄 2.1083℃ - 구리 3.1528℃ - 순철 4.3410℃ - 텅스텐 [해설작성자 : 평택용접학원]
46.
강을 동일한 조건에서 담금질할 경우 ‘질량효과(mass effect)가 적다‘ 의 가장 적합한 의미는?
가.
냉간 처리가 잘된다.
나.
담금질 효과가 적다
다.
열처리 효과가 잘된다.
라.
경화능이 적다.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기계 자체에서 잘라낸 시험편(試驗片)은 그 기계보다 강도가 강하고, 또 모형이 실제의 기계보다 작은 경우에는 모형쪽이 실제의 기계보다 강하다는 것이 밝혀져 있는 현상을 질량 효과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번에 sc480이 아니라 sm480으로 알고잇어서요
[오류신고 반론] 주물의 Fe3-C상태도에서 탄소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음으로 탄소함유량이 가장 적은 것을 고르면 됨니다. 따라서 1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미상]
51.
다음 재료 기호 중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에 속하는 것은?
가.
SPPS 380
나.
SPCC
다.
SCW 450
라.
SM 400C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4. SM 기계구조용 압연강재 SWS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오류 4번은 기계구조용이므로 틀린거입니다 [해설작성자 : 순천폴리텍-특수용접]
[추가 오류 신고] 답4번으로 바꿔주세요 [해설작성자 : 목폴 산설과]
[오류신고 반론] 1-1.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의미 용접구조물용으로 만들어진 열간압연강재로 강판, 강대, 형강 등으로 만들어집니다. 이 재료는 SM재라 불리는데, 이것은 "steel marine"의 의미로 주로 용접조립의 선박구조용으로 사용이 시작되었던 것에 연유합니다.
1-2.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기호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는 탄소강의 한 종류로 KS규격 JIS 규격 모두 SM(steel marine) 입니다.
1-3.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종류 SM 400A, 400B, 400C, 490A, 490B, 490C, 490YA, 490YB, 520C, 570 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