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물의 끝 부분이나 모서리, 구석부분과 같이 응력이 집중되는 곳에서 용접봉을 갈아 끼우는 것을 피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아크의 중단시는 아크길이를 짧게하여 크레이트를 채운후 재빨리 든다.
핫스타트 아크가 발생하는 초기에만 용접전류를 특별히 커지게 만든 아크의 발생 방법이다. 이 장치를 사용해서 제어를 한다. 이것의 이점은 (1) 아크 발생을 쉽게 한다. (2) 불로 홀을 방지한다. (3) 비드의 이음을 좋게 한다. (4) 아크 발생 초기의 비드의 용입을 좋게 한다는 것 등이다 2번이 답인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빡호]
[오류신고 반론] 일부러 크레이터를 남게 하는건 아닌거 같은데요... [해설작성자 : 딥빡]
[추가 오류 신고] 블로우홀이 기공이란뜻입니다.
[추가 오류 신고] 답 2번 용접 시단부의 기공 발생 방지 대책으로 핫 스타트 장치를 설치한다. 이것도 틀린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2.
대전류, 고속도 용접을 실시하므로 이음부의 청정(수분, 녹, 스케일 제거 등) 에 특히 유의하여야 하는 용접은?
가.
수동 피복 아크 용접
나.
반자동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
다.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라.
가스 용접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대전류, 고속도 용접은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이기 때문에 3번이 정답이다 [해설작성자 : 울마고 전설이 될 남자]
3.
CO2 가스 아크 용접시 작업장의 CO2 가스가 몇 %이상이면 인체에 위험한 상태가 되는가?
가.
1%
나.
4%
다.
10%
라.
15%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이산화탄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3~4% : 두통 및 뇌빈혈 등을 일으킨다.(어지러움, 구토 등) •15% 이상 : 위험상태에 빠진다.(의식불명, 호흡곤란 등) •30% : 사망 [해설작성자 : Infrai]
4.
안전을 위하여 가죽장갑을 사용할 수 있는 작업은?
가.
드릴링 작업
나.
선반 작업
다.
용접 작업
라.
밀링 작업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드릴링 작업, 선반 작업, 밀링 작업은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가죽장갑을 사용하면 손이 같이 빨려들어가 다칠 가능성이 크므로 사용하면 안됨. [해설작성자 : 선반장인]
5.
CO2가스 아크용접을 보호가스와 용극가스에 의해 분류했을 때 용극식의 솔리드 와이어 혼합 가스법에 속하는 것은?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요류 신고 내용] 여기 용접에서는 어떤 용접인지가 없어서 문제에 오류가 있습니다. 전기용접에서는 직류역극성이 용입이 깊고, TIG용접에서는 이론적으로 직류역극성이 용입이 낮습니다. 그러나 TIG용접에서 직류역극성은 실제 사용이 불가능한 전원극성으로 박판, 합금강, 비철금속의 용접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교류 고주파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직류역극성을 사용하는 것은 전기 아크를 이용한 용극식에서 사용하는 용접으로 피복아크용접에서는 직류역극성이 용입이 깊은 용접이며 직류정극성이 용입이 얕고 박판의 용접에 이용합니다. E4313 용접봉도 직류 정극성을 사용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러나 TIG용접에서 직류역극성은 실제 사용이 불가능한 전원극성으로 박판, 합금강, 비철금속의 용접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교류 고주파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34.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제에 합금제로 첨가되는 것은?
가.
규산칼륨
나.
페로망간
다.
이산화망간
라.
붕사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크안정제 : 산화티탄(TiO2), 탄산바륨, 석회석, 규산칼리 가스발생제 : 셀룰로우스, 전분, 톱밥, 석회석, 마그네사이트 슬랙생성제 : 석회석, 일미나이트, 이산화망간, 형석 탈 산 제 : 페로망간, 페로실리콘, 알루미늄 합금첨가제 : 망간(Mn), 실리콘(Si), 니켈(Ni), 구리(Cu), 페로크롬(Cr) 고 착 제 : 규산 나트륨(물유리), 규산 칼륨 [해설작성자 : 산업기사 칠걸]
35.
100A 이상 300A 미만의 피복 금속 아크 용접시 차광유리의 차광도 번호가 가장 적합한 것은?
가.
4 ~5번
나.
8~9번
다.
10~12번
라.
15~16번
정답 : [
3
] 정답률 : 66%
2과목 : 용접재료
36.
가스절단에서 절단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가.
예열 불꽃의 세기
나.
팁과 모재의 간격
다.
역화방지기의 설치 유무
라.
모재의 재질과 두께
정답 : [
3
] 정답률 : 77%
37.
두께가 6.0mm인 연강판을 가스용접하려고 할 때 가장 적합한 용접봉의 지름은 몇 mm인가?
가.
1.6
나.
2.6
다.
4.0
라.
5.0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D=t/2+1 [해설작성자 : 내가 정답]
원래 해설이랑 같은 말인데, 두께(mm)를 2로 나누고 1을 더한다. 라고 머릿속에 넣으시면 더 쉬워요.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학생]
38.
가스의 혼합비(가연성 가스 : 산소)가 최적의 상태일 때 가연성가스이 소모량이 1이면 산소의 소모량이 가장 적은 가스는?
가.
메탄
나.
프로판
다.
수소
라.
아세틸렌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메탄(CH4): 메탄 1몰이 연소하면서 이산화탄소(CO2)와 물(H2O)로 분리됩니다. 이때 연소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 메탄 1몰(연료의 몰수)과 산소 2몰이 필요합니다1. 따라서 산소의 소모량은 2입니다. 프로판(C3H8): 프로판가스가 산소와 연소반응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바뀝니다. 이때, 메탄 1몰, 산소 5몰이 결합하여 이산화탄소 3몰, 물 4몰로 분리됩니다2. 따라서 산소의 소모량은 5입니다. 수소(H2): 수소 1몰이 산소 0.5몰과 반응하여 물을 생성합니다3. 따라서 산소의 소모량은 0.5입니다. 아세틸렌(C2H2): 아세틸렌 1몰이 산소 2.5몰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생성합니다4. 따라서 산소의 소모량은 2.5입니다. 따라서, 가연성 가스의 소모량이 1일 때 산소의 소모량이 가장 적은 가스는 수소입니다.
39.
가변압식 토치의 팁 번호 400번을 사용하여 표준불꽃으로 2시간 동안 용접할 때 아세틸렌가스의 소비량은 몇 ℓ인가?
가.
400
나.
800
다.
1600
라.
2400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가변압식토치(프랑스식)의 번호는 시간당 가스 사용량을 의미하고 불변압식(독일식)의 경우 용접할수있는 T(두께)를 의미한다. 따라서 가변압식 팁 400번으로 두시간을 용접하였기 때문에 시간당 사용량은 400l 두시간이기때문에 800l 이다. [해설작성자 : 광주전자공고 차과지식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