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 용접물이 로봇의 작업 공간보다 클 경우, 로봇의 작 업 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트랙, 갠트리, 칼 럼 등이 있다. 이러한 기구는 로봇의 작업 공간 확장과 유연성 부여, 생산성 향상 등 여러 가지 이점을 준다. 또한, 단일 로봇으로 복수 작업대의 용접물을 연속으 로 작업하도록 하여 로봇의 아크 타임을 증가시킨다. (1) 트랙 로봇을 트랙 위에 위치시켜 이동 영역을 줌으로써 아 크 로봇의 작업 공간을 확장시키며, 용접물의 크기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로봇의 아크 시간 향상 과 생산성을 증진하기 위해 단일 로봇과 복수 작업대 가 활용될 수 있다. (2) 갠트리 갠트리는 철 구조물에 2대(이상)의 로봇이 설치되어 용접을 진행하는 기구이다. 칼럼이나 트랙에 비해 용접 물의 크기에 구애 받지 않기 때문에 매우 큰 용접물을 여러 대의 로봇으로 동시 용접이 가능하며, 고정형, 로 봇 상단 이동형, 로봇과 갠트리 동시 이동형이 있다. 갠 트리는 로봇을 상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로봇의 설치 공 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일반로봇과 달리 갠트리용 로봇 은 관절에 로봇의 무게가 부가되기 때문에 일반 로봇 을 갠트리용 로봇으로 사용할 수 없다. (3) 칼럼 칼럼은 트랙이 단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는 달리 수 직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지상에 고정되어 있는 영역이 작으므로 공장 배치에 있어서 효율적이며 용접와이어와 전원 및 센서의 케이블을 칼럼내 덕트화 하여 불필요한 노출을 피하게 되어있다. 로봇은 매달 린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접근성과 용접 자세가 향상된 다. 칼럼의 형태로는 고정형, 이동형, 회전형, 이동 회 전 겸용이 있다. -출처 네이버블로그- [해설작성자 : 복수ㆍ]
4.
CO2 가스 아크 용접에서 기공의 발생 원인으로 틀린 것은?
가.
노즐에 스패터가 부착되어 있다.
나.
노즐과 모재사이의 거리가 짧다.
다.
모재가 오염(기름, 녹, 페인트)되어 있다.
라.
CO2 가스의 유량이 부족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Co2가스 용접에서 노즐과 모재 사이의 거리가 멀어 기공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Co2가스 아크 용접에서 기공발생 원인》 •노즐에 스패터가 부착되었을 때 •노즐과 모재 사이의 거리가 멀 때 •Co2 가스(보호가스)의 유량이 부족할 때 •모재가 오염(기름이나 녹, 페인트)되어 있을 때 [해설작성자 : 용접이]
5.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가.
콘택트 팁에서 통전되므로 와이어 중에 저항열이 적게 발생되어 고전류 사용이 가능하다.
나.
아크가 보이지 않으므로 용접부의 적부를 확인하기가 곤란하다.
다.
용접 길이가 짧을 때 능률적이며 수평 및 위보기 자세 용접에 주로 이용된다.
라.
일반적으로 비드 외관이 아름답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수평 및 아래보기 자세 용접에 주로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마도현]
6.
주철 용접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가.
용접 전류는 약간 높게 하고 운봉하여, 곡선비드 배치하며 용입을 깊게 한다.
나.
가스 용접 시 중성불꽃 또는 산화불꽃을 사용하고 용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다.
냉각되어 있을 때 피닝작업을 하여 변형을 줄이는 것이 좋다.
라.
용접봉의 지름은 가는 것을 사용하고, 비드의 배치는 짧게 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주철용접시 주의사항
1. 용접전류는 필요 이상 높이지말고, 직선비드를 사용, 깊지않게 용입한다 2. 가스 용접 시 중성불꽃 및 탄화불꽃을 사용하며, 플럭스를 충분히 사용한다 3. 피닝작업은 용접직후 신속하게 한다 [해설작성자 : 1sik]
7.
다음 중 CO2 가스 아크 용접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가.
용착 금속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나.
슬래그 혼입이 없고, 용접 후 처리가 간단하다.
다.
전류밀도가 높아 용입이 깊고, 용접 속도가 빠르다.
라.
풍속 2m/s 이상의 바람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Co2 가스는 바람의 영향을 받습니다. [해설작성자 : (대)충 해설]
8.
용접 흠 이음 형태 중 U형은 루트 반지름을 가능한 크게 만드는데 그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문제 해설> 용접 작업 전 예열을 하는 목적은 작업성 향상이나 변형 및 잔류응력 제거, 열영향부의 연성 및 인성 향상이 있다. 그러나 열영향부의 경도 향상은 열처리와 관련이 있을 뿐 예열과는 거리가 멀다.
12.
전기저항용접 중 플래시 용접 과정의 3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가.
업셋→플래시→예열
나.
예열→업셋→플래시
다.
예열→플래시→업셋
라.
플래시→업셋→예열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플레시 용접과정은 예열과정 → 플래시 과정 → 업셋과정의 3단계로 구성된다 [해설작성자 : 1sik]
1. 맞대기 용접 설명 1) Upset 맞대기 용접(upset butt welding) 맞대기 저항용접은 금속봉, 선, 판 등의 단면을 맞대고 용접하는 방법이다. 업셋 맞대기 용접 특징 ① 불꽃의 비산이 없다. ② 플래시 용접에 비해 열영향부가 커진다. ③ 비대칭 단면적이 큰 것, 박판 등의 용접은 곤란 하다. ④ 용접부의 접합 강도는 우수하다. ⑤ 용접부의 산화물이나 개재물이 밀려 나와 건전한 접 합이 이루어진다. 2) 플래시 맞대기 용접(Flash butt welding) 용접물에 간격을 두어 설치하고 전류를 통하여 발열 및 불꽃비상을 지속시켜 접합면이 골고루 가열되었을 때 가압하여 접합하는 방법 작업 순서는 예열> 플래시 > 업셋 플래시 용접 특징 ① 열 영향부 및 가열 범위가 좁다 ② 이음의 신뢰도가 높고 강도가 좋다 ③ 용접시간, 소비전력이 적다 ④ 용접면에 산화물의 개입이 적다 ⑤ 종류가 다른 재료의 용접이 가능하다 ⑥ 강재, 니켈, 니켈합금 등에 적합 [해설작성자 : 복수혈전]
13.
다음 중 다층용접 시 적용하는 용착법이 아닌 것은?
가.
빌드업법
나.
캐스케이드법
다.
스킵법
라.
전진블록법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스킵법(비석법): 용접 길이를 짧게 나누어 간격을 두면서 하는 용접 (단층용접법) [해설작성자 : 1sik]
직류(DC : Direct Current) 직류는 한 방향으로만 흐른다. 일반적으로 전류 는 양극에서 음극으로 흐르는 것으로 정의하지 만 전자 즉 전기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흐른다고 가정한다. 직류의 경우 용접 케이블을 용접 기계 에 연결하는 방법은 전류가 전극 홀더와 작업 클 램프(모재)를 통과하는 것에 따라 결정된다. 따 라서 직류는 극성이 존재한다. 전극을 음극(-)에 모재를 양극(+)에 연결하거나 반대로 전극을 양 극(+)에 모재를 음극(-)에 연결할 수 있다. 즉 극 성은 회로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두 가 지 유형이 있다. 직류 정극성(DCSP : Direct Current Straight Polarity) 전극에 음극(-)을 연결하고 모재에 양극(+)을 연 결한다. 또한 직류 전극이 음극이란 의미에서 DCEN (Direct Current Electrode Negative)°| 라 불리기도 하며 DC-로 사용하기도 한다. 직류 역극성(DCRP : Direct Current Reverse Polarity) 전극에 양극(+)을 연결하고 모재에 음극(-)을 연 결한다. 또한 직류 전극이 양극이란 의미에서 DCEP (Direct Current Electrode Positive)°| 라 불리기도 하며 DC+로 사용하기도 한다. 직류 정극성과 직류 역극성을 비교하여 보면 직 류 정극성의 경우 모재 쪽에 부착된 케이블이 양 극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전극 홀더가 음극에 연 결되어 있으므로 전기가 전극을 따라 곧바로 흐 르고 아크 간격을 지나 모재로 건너뛰어 기계로 돌아간다. 따라서 직류 정극성에서 대부분 열은 모재 금속에 집중하게 되어, 직류 정극성을 사용 할 경우 직류 역극성에 비해 두꺼운 판 용접에 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복수혈전]
28.
다음 중 아세틸렌가스의 관으로 사용할 경우 폭발성 화합물을 생성하게 되는 것은?
가.
순구리관
나.
스테인리스강관
다.
알루미늄합금관
라.
탄소강관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세틸렌 가스는 구리와 화합하여 아세틸라이드를 만드는데 열이나 충격에 쉽게 폭발합니다. 아세틸린가스를 사용하는 부분은 구리나 62%이상의 구리합금은 사용하지 말아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다옴직업학교 특수용접8기]
29.
가스절단 시 예열 불꽃이 약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가.
드래그가 증가한다.
나.
절단면이 거칠어진다.
다.
역화를 일으키기 쉽다.
라.
절단속도가 느려지고, 절단이 중단되기 쉽다.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예열불꽃이 강하면 절단면이 거칠어지고, 슬래그 박리가 어려워지며, 모서리가 둥글게 용융됩니다. 반대로 예열불꽃이 약해지면 드래그가 증가하고 절단 속도가 느려지며 역화로 절단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인천공업직업전문훈련학교 수료중인 학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지문에서는 예열 불꽃이 약할때 입니다. 고로 1번2번은 약할때가 나타나는 증상이 맞습니다. 3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섭 and 병윤 ]
교류 아크용접기는 구조 단순 무부하 전압 높음 (70~80V) 감전 위험 크다 자기쏠림 방지에 유리 직류보다 아크 안정성은 다소 떨어짐 [해설작성자 : 나주 박현범실장]
31.
재료의 접합방법은 기계적 접합과 야금적 접합으로 분류하는데 야금적 접합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리벳
나.
융접
다.
압접
라.
납땜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기계적 접합법은 나사,리벳 등으로 결합하는방법은 말하며, 야금적 접합법은 용접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호남직업학교 금속재료용접과]
32.
피복아크 용접기를 사용하여 아크 발생을 8분간 하고 2분간 쉬었다면, 용접기 사용률은 몇 %인가?
가.
25
나.
40
다.
65
라.
80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사용률=아크발생시간*100/아크발생시간+정지시간
아크발생 시간 8분 쉬는 시간 2분 총 시간은 10분 8/(8+2)*100=80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마도현]
사용률 = 아크발생시간 X 100 / 아크빌생시간 + 정지시간 = 8 X 100 / 8 + 2 = 800 / 10 = 80 [해설작성자 : 진주 김효정]
33.
다음 중 알루미늄을 가스 용접할 때 가장 적절한 용제는?
가.
붕사
나.
탄산나트륨
다.
염화나트륨
라.
중탄산나트륨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다음 중 알루미늄을 가스 용접할 때에는 염화나트륨(NaCl)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수도공고 에너지기계과 교사 권기라]
34.
아크 용접에서 아크쏠림 방지 대책으로 옳은 것은?
가.
용접봉 끝을 아크쏠림 방향으로 기울인다.
나.
접지점을 용접부에 가까이 한다.
다.
아크 길이를 길게 한다.
라.
직류용접 대신 교류용접을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아크쏠림 방지 대책 ●용접봉 끝을 아크쏠림 반대방향으로 기울린다. ●직류 대신 교류 전원을 사용한다. ●아크의 길이를 짧게 유지한다. ●긴 용접에는 후진법(후퇴 용접법)으로 용착한다. ●접지점을 용접부에서 멀리한다. ●보조판(앤드 탭)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취업역량강화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번 답이 정답같습니다. 문제 해설과 답에도 1번이 정답으로 남아있어요 그리고 4은 아닌것은 일때 답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용접준비생]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의 합금으로 바닷물과 알칼리에 대한 내식성이 강하고 용접성이 매우 우수하여 주로 선박용 부품, 화학 장치용 부품 등에 쓰이는 것은?
가.
실루민
나.
하이드로날륨
다.
알루미늄 청동
라.
애드미럴티 황동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하이드로날륨(Al+Mg 4~7%)
내식성이 매우 우수하다. 선박용품, 건축용 재료, 화학 장치용 부품 [해설작성자 : 1sik]
40.
다음 금속 중 용융 상태에서 응고할 때 팽창하는 것은?
가.
Sn
나.
Zn
다.
Mo
라.
Bi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창연(蒼鉛) 질소족에 속하는 약간 붉은빛을 띤 은백색의 금속 원소. 결정질이 매우 무르고, 태우면 푸른 불꽃을 내며, 질산과 진한 황산에 녹는다. 녹는점이 낮고 응고할 때는 부피가 늘어나며, 자석에 반발하는 반자성 성질이 있고, 전기 전도성과 열전도성이 금속 가운데 가장 낮다. 납ㆍ주석ㆍ카드뮴과의 합금을 만들거나 약용(藥用)하고, 안료 따위로도 쓴다. 원자 기호는 Bi, 원자 번호는 83, 원자량은 208.9804. [해설작성자 : 농어]
41.
60%Cu – 40%Zn 황동으로 복수기용 판, 볼트, 너트 등에 사용되는 합금은?
가.
톰백(Tombac)
나.
길딩메탈(Gilding metal)
다.
문쯔메탈(Muntz metal)
라.
애드미럴티메탈(Admiralty metal)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톰백 90% Cu - 10% Zn = 톰백의 대표적인것. 메달,뱃지 등 쓰임
정확히는 145-125 = 20 20/125 = 0.16 0.16 X 100 = 16 으로 외우시면 될듯합니다.
43.
주철의 유동성을 나쁘게 하는 원소는?
가.
Mn
나.
C
다.
P
라.
S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S=황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마도현]
주철에서 황은 주로 황화철(Sulfide Iron) 형태로 존재하며, 이는 주철의 유동성을 저하시킵니다. 황화철은 금속의 결정을 불균일하게 하고, 고온에서 금속의 유동성을 감소시켜 주철의 주조 성능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황이 주철에 포함되면, 주철의 유동성이 떨어지고, 주조 과정 중에 기공이 생기거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철을 주조할 때는 황의 함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오매규]
황은 주철의 유동성 저하 및 취성을 증가시킴. [해설작성자 : 나주 박현범실장]
44.
주변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재료가 가지고 있는 열팽창계수나 탄성계수 등의 특정한 성질이 변하지 않는 강은?
가.
쾌삭강
나.
불변강
다.
강인강
라.
스테인리스강
정답 : [
2
] 정답률 : 72%
45.
열과 전기의 전도율이 가장 좋은 금속은?
가.
Cu
나.
Al
다.
Ag
라.
Au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전기 전도율이 가장 좋은것은 Ag(은)이다. Cu(구리)는 Ag(은) 다음으로 전기 전도율이 좋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마도현]
열전도 순서는 은 - 구리 - 금 - 알루미늄 [해설작성자 : jooswoo]
46.
비파괴검사가 아닌 것은?
가.
자기탐상시험
나.
침투탐상시험
다.
샤르피충격시험
라.
초음파탐상시험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샤르피충격시험은 노치 취성시험(재료에 균열등의 노치가 발생하는 경우 그 재료의 취성을 조사하는 시험방법)으로 여러 가지 형상의 노치로 된 시험편을 순가적으로 파단하여 취성을 시험하는 방법입니다.
-자기탐상시험(자분탐상시험) 1.전류를 통하여 자화가 될 수 있는 금속재료 즉 철, 니켈과 같이 자기변태를 나타내는 금속 또는 그 합금으로 제조된 구조물이나 기계부품의 표면부에 존재하는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시험법 2.내부결함의 검출 시에는 직류를 사용 3.결함 모양이 표면에 직접 나타나 육안으로 관찰 가능 4.작업이 신속 간단 5.표면 균열검사에 적합 6.정밀한 전처리가 요구되지 않아 검사가 용이 7.얇은 도장 및 비자성 물질의 도포ㅓ에도 작업이 가능.
-침투 탐상시험 : 시험체 표면의 결함을 검사 하기 위한 시험 방법으로 침투제를 시험체 표면에 침투시키고 시간이 지난후 지시상태를 관찰하여 결함의 위치 또는 모양을 검사 하는 방법 장점:1.시험 방법이 간단 2.고도의 숙련이 요구되지 않는다. 3.제품의 크기, 형상 등에 구애 받지 않는다. 4.미세한 균열도 탐상이 가능 5.국부적 시험가능 6.철,비철,플라스틱,세라믹 등 거의 모든 제품에 적용이 용이 단점:1.검사체의 표면이 침투제와 반응하여 손상되는 제품은 탐상할 수 없다. 2.검사체의 표면이 거칠거나 기공이 많을 경우 허위 지시모양을 만들 수 있다. 3.침투제가 오염되기 쉽다. 4.주변환경 특히 온도에 둔감해 제약을 받는다.
- 초음파 탐상시험 1.펄스 반사법 : 초음파의 펄스를 시험체의 한쪽면으로부터 송신하여 그 결함에서 반사되는 반사파의 형태로 결함을 판정하는 방법 2.투과법 : 투과한 초음파를 분석하여 검사하는 방법 3.공진법 : 공진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여친 생기게 해주세요 ㅜㅜ]
47.
구상흑연주철에서 그 바탕조직이 펄라이트이면서 구상흑연의 주위를 유리된 페라이트가 감싸고 있는 조직의 명칭은?
기호를 기입한 위치에서 먼 면에 카운터 싱크가 있으며, 공장에서 드릴 가공 및 현장에서 끼워 맞춤을 나타내는 리벳의 기호 표시는?
가.
나.
다.
라.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현장에서 드릴 가공 및 끼워 맞춤, 먼 면에 카운터 싱크 있음 2:공장에서 드릴 가공, 현장에서 끼워 맞춤, 먼 면에 카운터 싱크 있음 3:현장에서 드릴 가공 및 끼워 맞춤, 양쪽 면에 카운터 싱크 있음 4:공장에서 드릴 가공, 현장에서 끼워 맞춤, 양쪽 면에 카운터 싱크 있음 [해설작성자 : 창원기계공고]
59.
그림과 같은 입체도의 화살표 방향 투시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가.
나.
다.
라.
정답 : [
3
] 정답률 : 77%
60.
치수기입의 원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치수는 필요에 따라 기준으로 하는 점, 선 또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기입한다.
나.
대상물의 기능, 제작, 조립 등을 고려하여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치수를 명료하게 도면에 지시한다.
다.
치수 입력에 대해서는 중복 기입을 피한다.
라.
모든 치수에는 단위를 기입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도면에서 단위는 원칙으로서 mm를 사용하며, 단위 기호를 붙이지 않는다. 그리고 mm이외에는 단위 기호를 붙인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②
①
②
③
④
④
③
②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③
③
③
①
②
②
③
④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③
③
④
④
③
④
①
②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④
③
④
②
③
③
②
②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①
④
②
③
③
④
③
①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①
①
③
②
④
③
②
③
④
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10일(5회)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용접기능사, 기출문제, 용접, 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