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체에 자계를 가하면 도체 측면에 정∙부(+,-)의 전하가 나타나 두 면간에 전위차가 발생하는 현상은?
가.
홀효과
나.
핀치효과
다.
톰슨효과
라.
지벡효과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핀치효과 : 동일 방향의 평행 전류간에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 중심을 향해서 수축하려는 성질 톰슨효과 : 단일 도체 양단에 전위차 발생시 양단에서 열흡수,방출이 일어나는 현상 지벡효과 : 서로 다른 두 도체의 두 접점의 온도가 다를 시 전위차가 발생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히히]
전류에 의한 자기현상 1. 핀치효과: 액체 도체에 전류를 흘리면 자장에 의해 수축력이 생겨 단면적 감소로 저항이 증가하는 현상 2. 홀효과: 도체/반도체에 전류와 자장을 수직으로 흘리면 그에 대해 직각으로 힘이 발생 3. 스트레치 효과: 정사각형 도체에 대전류를 흘리면 평행왕복도선과 같이 반발력이 발생해 도체의 모양이 원형이 되는 현상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핀치효과 : 동방 흡인력 톰슨효과 : 단도체 전위차 발생 열흡수,방출 지벡효과 : 두 도체온도 전위차발생 홀 효과: 도체/반도체 전류. 자장. 수직. 직각. 힘. [해설작성자 : 성중]
19.
그림과 같이 직렬로 접속된 두 개의 코일이 있을 때 L1=20[mH], L2=80[mH], 결합계수 k=0.8이다. 여기에 0.5[A]의 전류를 흘릴 때 이 합성코일에 저축되는 에너지는 약 몇 [J]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
1.13×10-3
나.
2.05×10-2
다.
6.63×10-2
라.
8.25×10-2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M=k√L1L2 = 0.8 X √20x10^-3x80x10^-3 = 0.032 L1,L2에 흐르는 전류가 같은방향이므로 L=L1+L2+2M = (20x10^-3)+(80x10^-3)+(2x0.032)= 0.164
여기서 저축되는에너지 W = 1/2 L I^2 = 1/2 x 0.164 x 0.5^2 = 0.0205
따라서 정답은 2.05x10^-2 [해설작성자 : 암욜맨 암욜맨그대여~ 따랏땃따 오늘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암욜맨님 해설이 맞습니다. 위 그림은 분리된 회로가 아니라서 극점 위치 보면 차동으로 보일 수 있으나 가동입니다. 따라서 합성 인덕턴스 값 L=L1+L2+2M(M=k루트L1L2)를 구하고 W=1/2LI^2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20.
도체 1을 Q가 되도록 대전시키고, 여기에 도체 2를 접촉했을 때 도체 2가 얻는 전하를 전위계수로 표시하면? (단, P11, P12, P21, P22는 전위계수이다.)
가.
나.
다.
라.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편의상 도체1을 A, 도체2를 B라고 합니다.
A도체에 Q를 대전 시켰을때 중첩의 원리에 의해 Va=P11Q+P12*0=P11Q Vb=P21Q+P22*0=P21Q
이후 두 A,B 두 도체를 접촉시켰을 때 A에 대전된 전하 일부가 B로 옮겨지고 A,B 두 도체는 등전위를 가지게 됩니다. 이때 등전위가 된 두 도체의 전위를 V, A에 남은 전하 Q1, B에 옮겨진 전하 Q2 라 하면 V=P11Q1+P12Q2 =P21Q1+P22Q2 가 됩니다. 이때 Q1+Q2=Q 이므로 Q1=Q-Q2 이를 위 식에 대입하면 P11(Q-Q2)+P12Q2=P21(Q-Q2)+P22Q2 괄호를 모두 풀면 P11Q-P11Q2+P12Q2=P21Q-P21Q2+P22Q2 이를 각각 Q와 Q2로 묶어주면 (P11-P21)Q=(P11-P12-P21+P22)Q2 이때 P12=P21 (전위계수의 특성)이므로 (P11-P12)Q=(P11-2*P12+P22)Q2 이를 Q2에 대해 정리하면 Q2=(P11-P12)Q/(P11-2*P12+P22) [해설작성자 : 미국돈]
어떤 주상 변압기가 4/5 부하일 때 최대효율이 된다. 전부하에 있어서의 철손과 동손의 비 Pc/Pi는 약 얼마인가?
가.
0.64
나.
1.56
다.
1.64
라.
2.56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변압기가 최대 효율을 가질 때 : 철손과 동손이 같을 때 Pi = (1/m)^2Pc (1/0.8)^2 = 1.56 [해설작성자 : 제어공학제일싫다.]
최대효율 조건 m^2Pc = Pi에서 Pi = (4/5)^2Pc = (16/25)Pc Pc/Pi = 25/16 = 1.56 [해설작성자 : Jacky]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jacky님 해설에 오류가 있습니다.
최대효율은 동손=철손 이라는 조건을 충족시킬 때, 발생합니다. 즉, Pi=(1/m)^2Pc를 충족시켜야 합니다. m=4/5를 대입하고 전개를 하면 Pi/Pc=25/16=1.56 가 나옵니다. 이 말은 제어공학제일싫다. 님의 해설이 맞게되는 것이죠.
문제에 이상이 있는 것 같은데 철손과 동손의 비는 1.56이 맞지만 Pc/Pi(동손/철손)은 0.64가 맞습니다. 문제를 지문을 수정해야할 것 같네욤. [해설작성자 : GAT관종_8기]
[오류신고 반론] 1.56Pi=Pc 따라서 Pc/Pi는 1.56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ㄴㅇ]
[오류신고 반론] 최대효율 철손 = 동손일때 발생 Pi = m제곱2 × Pc = (4/5)제곱 × pc = 25/16 = 1.56
엔트미디어 전기산업기사필기 과년도 17년 2회 56번 638p [해설작성자 : 이성관]
[추가 오류 신고] pi = (1/m)^2 * pc 이항하여 pi/pc = (1/m) ^2 이므로 m에 0.8을 대입하여 식을 풀어주면 pi/pc = 1/0.64 = 1.5625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선 pc/pi를 묻고 있기 때문에 0.64/1 이 됩니다 2번이 맞으려면 지문을 바꿔야 할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용산철도고 현자]
<문제 해설> 벡터 궤적.(알고 나면 꽁으로 먹는 문제) 각 세로축:X, 가로축:R 1. 임피던스 궤적(직선) 직렬 회로: 주파수 변화 -> 변화하지 않는 쪽 즉, 가로축에서 세로축과 평행하게 직선이 그어짐. ex) R-L 직렬 회로: 주파수 변화. 위쪽으로 세로축과 대칭으로 직선 (L:1사분면,C:4사분면)
2. 어드미턴스 궤적(반원) - 위의 원리와 동일 직렬 회로: 주파수 변화. 원점에서부터 가로축을 지름으로 반원을 그림 (L:4사분면, C:1사분면) 따라서, 어드미턴스 궤적 RLC 직렬회로이기 때문에 원점을 지나는 원의 형태가 그려짐(차근차근 그려보면서 이해하면 다음부터는 무조건 맞춤.)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69.
대칭 6상 기전력의 선간전압과 상기전력의 위상차는?
가.
120°
나.
60°
다.
30°
라.
15°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선간전압은 상전압보다 (π/2)*(1-(2/n))만큼 차이가 난다. (π/2)*(1-(2/6))=60 90*2/3=60 [해설작성자 : Hanjy]
70.
RL 병렬회로에 양단에 e=Emsin(wt+θ)[V]의 전압이 가해졌을 때 소비되는 유효전력[W]은?
가.
나.
다.
라.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p=VI =I^R =V^2/R 여기서 I^2*R은 주로 직력 V^2/R은 주로 병렬에 적용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e=Emsin(wt+θ)[V] 교류 최대값이니 실효값으로 만들어야 겠죠 Em/루트2 이러면 실효값!
위의 식에 대입하면 p=(V^2/R)
(Em/루트2)^2/R =Em^2/R 이 되겠네요 [해설작성자 : flagship]
71.
2단자 회로 소자 중에서 인가한 전류파형과 동위상의 전압파형을 얻을 수 있는 것은?
가.
저항
나.
콘덴서
다.
인덕턴스
라.
저항+콘덴서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동위상 2. 전류가 90도 앞섬 3. 전류가 90도 뒤짐 4. 전류가 저항과 콘덴서의 위상비(아크 탄젠트C/R)만큼 앞섬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72.
다음과 같은 교류 브리지 회로에서 Z0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되기 위한 각 임피던스의 조건은?
가.
나.
다.
라.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임피던스 회로 평현 조건 : 서로 마주보는 변의 임피던스 곱의 실수부는 실수부 끼리 허수부는 허수부끼리 서로 같을 때이다. [해설작성자 : hanjy]
73.
불평형 3상 전류가 Ia=15+j2[A], Ib=-20-j14[A], Ic=-3+j10[A] 일 때의 영상전류 I0[A]는?
고압 옥내배선 등의 시설(판단기준 제209조) 1. 다른 고압 옥내배선․저압 옥내전선․관등회로의 배선․약전류 전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15cm이상 2. 수관․가스관이나 이와 유사한 것 사이의 이격거리는 15cm이상 3. 가스계량기 및 가스관의 이음부와 전력량계 및 개폐기와의 이격거리 60cm이상 4. 애자사용 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저압 옥내전선이 나전선인 경우 이격거리 30cm이상 5. 애자사용 공사(건조한 장소로서 전개된 장소에 한한다), 케이블 공사, 케이블 트레이 공사로 시설. 7. 애자사용 공사에 의한 고압 옥내배선은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6m 이하일 것. 다만, 전선을 조영재의 면을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2m 이하이어야 한다. 8. 전선 상호 간의 간격은 8cm 이상,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5cm 이상일 것 [해설작성자 : Jacky]
배선: 케이블 배선, 애자사용 배선, 케이블 트레이 배선 전선: 단면적 6 이상의 케이블, 특고압 절연전선, 인하용 고압 전선 전선 간 이격거리: 8cm 이상 전선과 조영재 이격거리: 5cm 이상 전선과 지지점 간 이격거리: 6미터 이하(조영재 옆면 따라서 시설 2미터 이하) 고압선 to 고압선/저압선/관등회로전선/약전류 전선/수관/가스관: 0.15미터 이상 저압 옥내전선이 나전선인 경우: 0.3미터 이상 가스 계량기, 가스관 이음부, 전력량계, 개폐기: 0.6미터 이상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83.
특고압 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1차 및 2차 전압은?
가.
1차 : 35[kV] 이하, 2차 : 저압 또는 고압
나.
1차 : 50[kV] 이하, 2차 : 저압 또는 고압
다.
1차 : 35[kV] 이하, 2차 : 특고압 또는 고압
라.
1차 : 50[kV] 이하, 2차 : 특고압 또는 고압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특고압 배전용 변압기의 시설(판다기준 제29조) 특고압 전선에 특고압 절연전선 또는 케이블사용 1차 전압은 35KV이하, 2차측 전압은 저압 또는 고압 특고압측에는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할 것 [해설작성자 : Jacky]
84.
관∙암거∙기타 지중전선을 넣은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케이블을 지지하는 금구류는 제외한다.) 금속제의 전선 접속함 및 지중전선의 피복으로 사용하는 금속체에 시설하는 접지공사의 종류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제1종 접지공사
나.
제2종 접지공사
다.
제3종 접지공사
라.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조가용선,지중전선,네온변압기는 3종접지공사 [해설작성자 : kjmjk]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85.
폭연성 분진 또는 화약류의 분말이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저압 옥내 전기설비를 케이블 공사로 할 경우 관이나 방호장치에 넣지 않고 노출로 설치할 수 있는 케이블은?
가.
미네럴인슈레이션 케이블
나.
고무절연 비닐 시스케이블
다.
폴리에틸렌절연 비닐 시스케이블
라.
폴리에틸렌절연 폴리에틸렌 시스케이블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먼지가 많은 장소에서의 저압의 시설(판단기준 제199조) 1. 케이블 공사에 의하는 때에 전선은 케이블 또는 미네럴인슈레이션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이외에는 관 기타의 방호 장치에 넣어 사용할 것. 2. 이동 전선은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캡타이어케이블을 사용하고 또한 손상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할 것. [해설작성자 : Jacky]
86.
지선을 사용하여 그 강도를 분담시켜서는 아니되는 가공전선로 지지물은?
가.
목조
나.
철주
다.
철탑
라.
철근콘크리트주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철탑은 지선이 필요없음 [해설작성자 : 나그넴]
87.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중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철탑은?
가.
내장형 철탑
나.
인류형 철탑
다.
보강형 철탑
라.
각도형 철탑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양 경간의 차가 클 경우 = 내장형 철탑 (자주 나옵니다 꼭 외워두세요) [해설작성자 : 하나]
풀용 수중조명등의 시설공사에서 절연변압기는 그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이 몇 [V] 이하인 경우에는 1차권선과 2차권선 사이에 금속제의 혼촉방지판을 설치하여야 하며,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30[V], 제1종 접지공사
나.
30[V], 제2종 접지공사
다.
60[V], 제1종 접지공사
라.
60[V], 제2종 접지공사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풀용 수중조명등 일때는 절연변압기 사용 2차측 30[v] 이하일때 1,2권선 사이에 금속제 혼촉방지판 설치 후 제 1종접지공 [해설작성자 : 합격가즈아]
풀용 수중조명등 등의 시설(판단기준 제241조) 1. 조명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1차측 전로의 사용전압 및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이 각각 400V 미만 및 150V 이하인 절연 변압기를 사용할 것. 2. 절연 변압기는 그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이 30V 이하인 경우에는 1차 권선과 2차권선 사이에 금속제의 혼촉방지판을 설치하여야 하며 또한 이를 제1종 접지공사를 할 것. 3. 제1종 접지공사에 사용하는 접지선을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할 때에는 접지선은 450/750V 일반용 단심비닐절연전선,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케이블이어야 한다. 4. 절연 변압기의 2차측 전로는 접지하지 아니할 것. [해설작성자 : Jacky]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접지는 빼지만 30v 외우셔야해요~!!
30v 이하 —-> 혼촉방지판(접지해야함) 설치 30v 이상 —-> 차단기 설치 [해설작성자 : 중앙고 전기박사]
90.
수소냉각식 발전기 및 이에 부속하는 수소냉각장치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발전기안의 수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나.
발전기안의 수소의 순도가 70[%]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다.
발전기안의 수소의 압력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압력이 현저히 변동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라.
발전기는 기밀구조의 것이고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일 것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2. 발전기안의 수소의 순도가 85%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것 [해설작성자 : 필기만3개인 공학도]
[무인변전소 시설] 1. 경보장치 시설 - 운전조작에 필요한 차단기가 자동동작(재폐로한 경우 제외) - 메인 변압기 전원측 전로가 무전압이 된 경우 - 제어 회로의 전압이 급감한 경우 - 옥내변전소 화재 - 타냉식 변압기의 냉각장치 고장 - 출력이 3000kVA 초과하는 변압기의 온도가 급상승한 경우 - 조상기 내부 고장 - 수소의 순도가 90프로 이하, 압력 급변, 온도 급상승 - 가스절연기기의 절연가스 압력 급감 2. 자동차단장치 시설 - 수소 순도 85% 이하 - 전기철도용 변전소 메인 변압기 고장, 전원측 전압 급감 [해설작성자 : 원마고 전기박사]
91.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에 과부하 보호장치의 시설을 생략할 수 없는 경우는?(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적용됨)
가.
정격출력이 0.75[kW]인 전동기
나.
전동기의 구조나 부하의 성질로 보아 전동기가 소손할 수 있는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는 경우
다.
전동기가 단상의 것으로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20[A] 이하인 경우
라.
전동기가 단상의 것으로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6[A] 이하인 경우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출처: 한솔 아카데미]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가공통신선의 높이 1) 도로횡단 경우 6M 이상(교통 지장x 5M) 2) 철도 횡단 :6.5M이상 3)룅단 보도교위: 5M이상(저압 또는 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3.5M , 특고압전선로의 지지물,광섬유케이블 사용 시4M이상) [해설작성자 : yong]
93.
물기가 있는 장소의 저압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락이 생긴 경우, 0.5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자동차단기의 정격감도 전류가 50[mA]라면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저항 값은 몇 [Ω]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접지공사의 특례와 관련하여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 금속체와 대지 간의 전기저항 값이 몇 [Ω] 이하인 경우에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한 것으로 보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가.
3
나.
10
다.
50
라.
100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제3종 접지공사 등의 특례(판단기준 제20조) 1.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 금속체와 대지 사이의 전기저항 값이 100Ω 이하인 경우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한 것으로 본다. 2.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 금속체와 대지 사이의 전기저항 값이 10Ω 이하인 경우에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한 것으로 본다. [해설작성자 : Jacky]
교류식 전기철도는 그 단상부하에 의한 전압불평형의 허용한도가 그 변전소의 수전점에서 몇 [%] 이하이어야 하는가?
가.
1
나.
2
다.
3
라.
4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전압불평형에 의한 장해방지(판단기준 제267조) 교류식 전기철도는 그 단상 부하에 의한 전압불평형의 허용한도는 교류식 전기철도 변전소의 변압기 결선방식에 따라 다음의 계산식에 의하여 계산하며 그 변전소의 수전점에서 3% 이하일 것. [해설작성자 : Jacky]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